$\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2, 2020년, pp.106 - 115  

장정걸 (대구수목원) ,  유성태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김병도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손성원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이명훈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and temperature index for the past nine years (2010~2018),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changes and trends in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of sprouting, flowering and leaf unfolding of Pinu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 ) 6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따 른 산림식물종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식물종의 보전에 필요한 식물 생육의 장기변화 경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계절은 무엇인가? 식물계절(Phenology)은 식물이 계절을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발아, 개화, 낙화, 개엽 및 낙엽, 단풍, 열매 생성과 결실등을 말한다. 봄 식물계절이란 발아, 개화, 개엽을 말하며 이러 한 식물의 개화 및 개엽에 영향을 주는 기후인자는 온도, 수분, 광량 등 다양하나, 특히 겨울 및 봄철의 온도가 가장 민감한 요인이다(Chmielewski et al.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변화는 어떠한가?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에서 기온의 변화 특징은?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deck, F.W., A. Bondeau, K. Bottcher, D. Doktor, W. Lucht, J. Schber and S. Sitch. 2004. Responses of spring phenology to climate change. New Phytol. 162(2):295-309. 

  2. Cannell, M.G.R. and R.I. Smith. 1983. Thermal time, chill days and prediction of budburst in picea sitchensis. J. Appl. Ecol. 20(3):951-963. 

  3. Chmielewski, F.M. and T. Roter. 2001. Response of tree phenology to climate change across Europe. Agric. Forest Meteorol. 108(2):101-112. 

  4. Chmielewski, F.M., A. Muller and E. Bruns. 2004. Climate change and trends in phenology of fruit trees and field crops in Germany, 1961-2000. Agric. Forest Meteorol. 121:69-78. 

  5. Choi, C.H., S.G. Jung and K.H. Park. 2016.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based plant phenology and temperature. Journal of the KAGIS. 19(1):30-42 (in Korean). 

  6. Donnelly, A., M.B. Jones and J. Sweeney. 2004. A review of indicatiors of climate change for use in Ireland. Int. J. Biometeorol. 48:1-12. 

  7. Fitter, A.H., R.S.R. Fitter, I.T.B. Harris and M.H. Williamson. 1995. Relationship between frist flowering data and temperature in the flora of a locality in central England. Funct. Ecology 9:55-60. 

  8. Heo, I.H., S.Y. Kim, K.M. Lee, W.T. Kwon and S.H. Lee.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in Naju. J. Clim. Res. 3(1):17-30 (in Korean). 

  9. Ho, C.H., E.J. Lee, I. Lee and S.J. Jeong. 2006. "Earlier spring in Seoul, Korea". Int. J. Climatol. 26:2117-2127. 

  10. Jeong, S.J., C.H. Ho, S.D. Choi, J.W. Kim, E.J. Lee and H.J. Gim. 2013. Satellite data-based phenological evaluation of the nationwide reforestation of South Korea. PloS ONE. 8(3):e58900. 

  11. Jo, H.K. and T.W. Ahn. 2008. Differences in phenological phases of plants subsequent to microclimate change. Korean J. Environ. Ecol. 22(3):221-229 (in Korean). 

  12. Jung, E.J. and S.H. Lee. 2018. The realtionship between air temperature variability and the growth date of Cirtus unshiu in Jeju and Seogwipo. J. Clim. Res. 13(2):119-130 (in Korean). 

  13. Kang, H.S. 2013. Ecological responses of plants to climate change: Research trends and its applicability in Korea. Korean J. Ecol. Environ. 46(3):319-331 (in Korean). 

  14. Kim, H.J., J.K. Hong, S.C. Kim, S.H. Oh and J.H. Kim. 2011.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z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 Korean J. Plant Res. 24(5):549-556 (in Korean). 

  15. Kim, J.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08 (in Korean). 

  16. Kitazono, K., Y. Kawakubo and K. Fujita. 2012.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cultivation of Satsuma Mandarin in Kumamoto prefecture. Research Bulletin of the Kumamoto Prefectur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19:1-17 (in Japanese). 

  17.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Manual of conservation projec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Korean Moonhwa-Printing Associ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Seoul, Korea. pp. 11-13.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3. Manual of conservation projec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Sumeung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1-34 (in Korean). 

  19. Lechowicz, M.J. 1995. Seasonality of flowering and fruiting in temperate forest trees. Can. J. Bot. 73(2):175-182. 

  20. Lee, K.M., W.T. Kwon and S.H. Lee. 2009. A study on plant phenological trends in South Korea. Journal of KARG. 15(3):337-350 (in Korean). 

  21. Lee, S.H., I.H. Heo, K.M. Lee, S.Y. Kim, Y.S. Lee and W.T. Kwon.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growth of crops: In the case of Naju. J. Geol. Soc. Korea 43(1):20-35 (in Korean). 

  22. Lee, S.H. and K.M. Lee. 2003. The trend on th change of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J EIA. 12(1):45-54. 

  23. Lee, S.I., S.H. Yeon, J.S. Cho and C.H. Lee. 2020. Growth characteristic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 Yamaz. according to several cultivation conditions. Korean J. Plant Res. 33(1):24-32 (in Korean). 

  24.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p. 141-165 (in Korean). 

  25. Linderholm, H.W. 2006. Growing season changes in the last century. Agric. Forest Meteorol.137(1):1-14. 

  26. Lu, P., Q. Yu, J. Liu and X. Lee. 2006. Advance of treeflowering dates in responses to urban climate change. Agric. Forest Meteorol. 138:120-131. 

  27. Menzel, A., T.H. Sparks, N. Estrella, E. Koch, A. Aasa, R. Ahas, K. Alm-Kubler, P. Bissolli, O. Braslavska, A. Briede, F.M. Chmielewski, Z. Crepinsek, Y. Curnel, A. Dahl, C. Defila, A. Donnelly, Y. Filella, K. Jatczak, F. Mage, A. Mestre, O. Nordli, J. Penuelas, P. Pirinen, V. Remisova, H. Scheifnger, M. Striz, A. Susnik, A.J.H. Van vliet, F.E. Wielgolaski, S. Zach and A. Zust. 2006. European phenologi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matches the warming pattern. Global Change Biol. 12(10):1969-1976. 

  28. Nuttonson, M.Y. 1948.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of phenological data as a tool in the study of photoperiodic and thermal requirements of various plant material: In Murneed, A.E. and R.D. Whyte (eds.), Vernalization and Hotoperiodism-A Symposium. Chronica Botanica Publishing Co., Waltham, MA (USA). pp. 129-143. 

  29. Sagarin, R. and F. Micheli. 2001. Climte change in nontraditional data sets. Science 294:811 

  30. Schwartz, M.D. 1999. Advancing to full bloom: planning phenological research for the 21st century. Int. J. Biometeorol. 42:113-118. 

  31. Schwartz, M.D., R. Ahas and A. Aasa. 2006. Onset of spring starting earlier across the Northern hemisphere. Global Change Biol. 12(2):343-351. 

  32. Sparks, T.H., E.P. Jeffree and C.E. Jeffree. 2000.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times and temperature at the national scale using long-term phenological records from the UK. Int. J. Biometeorol. 44(2):82-87. 

  33. Walkovszky, A. 1998. Changes in phenology of the locust tree (Robinia pseudoacacia L.) in Hungary. Int. J. Biometeorol. 41:155-160. 

  34. Whitfield, J. 2001. Climate change data: the budding amateurs. Nature 414:578-579. 

  35.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2):77-8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