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다수 지상 연성표적에 대한 최적 조준점 산출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ptimal Aiming Point Computation Against Multiple Soft Targets on Ground 원문보기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29 no.1, 2020년, pp.47 - 55  

김종환 () ,  안남수 (육군사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드론봇 전투체계를 운용하여 전투전단의 적 보병부대 위치정보를 수집하였을 시, 지휘관이 요구하는 적 부대 피해수준을 충족하면서 적 보병부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하여, 보유한 화력체계의 살상범위를 기초로 최적의 사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실시간 자동으로 산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연구이다. 이를 위해, 100m×200m 크기의 야지 전장환경에서 증강된 소대급 규모의 적 보병부대를 임의로 전개 및 모의하고, 약 15m의 살상범위를 갖는 가상의 화력체계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각개 적병사의 무피해/경상 및 중상/사망 등의 피해유형 및 임무수행 가능여부를 모의하기 위하여 연성표적의 피해효과에 적용되는 칼튼피해함수를 적용하고 전장의 불확실성을 모의하기 위하여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휘관 의도에 부합된 적부대의 피해수준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모의 및 비지도학습k-mean clustering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사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0.4초 이내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드론봇 전투체계를 운용하는 대대급 규모의 전투부대에서 '탐지-결심-타격' 의사결정시간의 단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autonomous computation of shot numbers and aiming points against multiple soft targets on grounds by applying an unsupervised learning, k-mean clustering and Monte carlo simulation. For this computation, a 100 × 200 square meters size of virtual battlefield is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드론봇 전투체계를 운용하여 전투전단의 적 보병부대 위치정보를 수집하였을 시, 지휘관이 요구하는 적 부대 피해수준을 충족하고 적 부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하여, 타격수단의 살상범위를 기초로 최적의 사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실시간 자동으로 산출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100m× 200m 크기의 야지 전장환경에서 소대급 규모의 적 보병 부대를 임의로 전개 및 모의하고, 약 15m의 살상범위를 갖는 가상의 화력체계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각 개 적병사의 무피해/경상 및 중상/사망 등의 피해유형을 모의하기 위하여 연성표적의 피해효과에 적용되는 칼튼 피해함수(Driels, 2004)를 적용하고 전장의 불확실성을 모의하기 위하여 몬테칼로 시뮬레이션(Binder 등, 1993) 을 수행하였다.
  • 본 논문은 정찰용 드론봇 전투체계를 운용하여 전투전단의 적 보병부대 위치정보를 수집하였을 시, 지휘관이 요구하는 적 부대 피해수준을 충족하고 적부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하여, 타격수단이 보유한 살상범위를 기초로 최적의 사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실시간 자동으로 산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 본 논문은 지상 다수 연성표적에 대하여 지휘관이 요구하는 적 부대의 피해수준을 충족하면서 가상무기체계 의 살상범위를 기초로 최적 사격발수 및 조준점을 산출하기 위해 Fig.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3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드론봇 전투체계로부터 표적의 위 치정보를 수집하고 군사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지휘관이 요구하는 적 부대 피해수준을 충족하고 수집된 연성표적의 위치정보를 통해 타격수단의 살상범위를 기초로 최적의 사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실시간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총 3가지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증강된 소대급 규모 의 적 보병부대가 아군을 공격하기 위해 전형적인 종대 대형으로 전개되어 아군의 좌측방향으로 집중된 상황이고, 두 번째 시나리오는 첫 번째 시나리오와 반대로 증강된 소대가 아군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전단에 위치한 1제대 및 그 후방에 예비대로 위치한 2제대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횡대대형으로 전개되어 있는 상황이며, 세 번째 시나리오는 적 부대가 곡사화력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격 및 방어 형태와 다르게 산개된 상황이다.

가설 설정

  • 부대의 피해효과는 해당 부대의 임무수행 수준과 연관 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임무수행 수준이 낮을 경우 피해효과가 큰 것으로, 반대로 임무수행 수준이 높을 경우 피해효과가 낮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임무수행 수준은 병사의 피해유형에 따라 무피해 혹은 경상의 경우는 임무수행이 가능한 것으로, 중상 혹은 사망의 경우는 임무수행이 불가한 경우로 설정하였다.
  • 첫 번째 단계는 드론봇 전투체계로부터 표적의 위 치정보를 수집하고 군사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 단 계는 본 연구에서 이미 표적위치정보를 확보 및 전환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사격발수를 설정하고,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조준점 산출, 살상범위 산출, 그리고 피해효과추정의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정과 연구범위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일반 보병연대 및 대대 단위의 부대에서 드론봇 전투체계를 운용하고 전투전단의 적부대를 탐지 및 식별하여 각 개 표적의 위치정보를 군사좌표계로 전환 및 수집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표적은 증강된 소대급 규모의 보병부대로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적 병사는 반경 30cm의 원형으로 모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론봇 전투체계의 임무 및 운용개념의 구성요소는? 드론봇 전투체계의 임무 및 운용개념은 크게 정찰감시용(Recon. and Surveillance), 전투용(Combat) 그리고 전투지원용(Combat Support)으로 구성된다(Springer, 2013). 정찰감시용 드론은 작전지역 및 관심지역에 대한 정찰임 무를 수행하고, 핵심 및 고가치 표적에 대한 정밀정찰 및 표적획득을 수행한다.
k-mean clustering 과 반복적인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사 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산출한 결과는? 이를 위해, 비지도학습의 k-mean clustering 기법을 적용하고 반복적인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사 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지휘관의 요구를 충족하는 최적의 사격발수 및 조준점 위치를 0.4 초 이내에 산출하였으며, 정확성과 더불어 적시성을 충족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실시간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드론봇 전투체계란? 드론봇 전투체계(Dronebot Combat System)는 드론 (Drone)과 로봇(Robot)의 합성어로, ‘군사목표 달성을 위한 군사 및 비군사작전에 운용되고 전투력을 발휘하는 무인전투체계이며, 하나 또는 다수의 드론과 로봇으로 편성된 구성체’로 정의된다(Kim, 2019). 또한, 드론봇 전투체계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인명 및 전투효율성을 중시하는 미래전 양상에 의해 육군의 5대 게임체인저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드론봇의 전투수행개념 정립, 운용개념 및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Kim,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rthur, D. and S. Vassilvitskii (2007). k-means++: The advantages of careful seeding. Proceedings of the eighteenth annual ACM-SIAM symposium on Discrete algorithms,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2. Binder, K., et al. (1993). "Monte Carlo simulation in statistical physics." Computers in Physics, 7(2): 156-157. 

  3. Bortz, A. B., et al. (1975). "A new algorithm for Monte Carlo simulation of Ising spin systems." Journal of Computational Physics, 17(1): 10-18. 

  4. Chen, C. W., et al. (1998). "Image segmentation via adaptive K-mean clustering and knowledgebased morphological operations with biomedical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7(12): 1673-1683. 

  5. Driels, M. R. (2004). Weaponeering: conventional weapon system effectiveness,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Reston, VA. 

  6. Fager, C. F. (2007). Weaponeering the Future: Direct Energy Weapons Effectiveness Now and Tomorrow, AIR WAR COLL MAXWELL AFB AL CENTER FOR STRATEGY AND TECHNOLOGY. 

  7. J-H Kim, "Concept and development of Dronebot combat system," in Dronebot combat development seminar, 2019. 

  8. Jong-Hwan Kim, C. J. J., Mira Heo (2018). "Autonomous Battle Tank Detection and Aiming Point Search Using Imager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7(2): 1-10. 

  9. Lee, S. Jung, B. Jung, D. & Kim, G., 2012. Weapons engineering. Chungmungak: Korea Military Academy 

  10. M-H, Ahn, et-al., "Tactical Fire Direction Automation for Command and Control of Artilliary Battalion Unit"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35, Issue 11, pp.1,738-1,747, 2010. 

  11. Sariego, J. (2006). "CCATT: a military model for civilian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 response, 4(4): 114-117. 

  12. Springer, P. J. (2013). Military robots and drones: a reference handbook, ABC-CLIO. 

  13. T.Kim, et-al., "Suggestions to support Dronebot Combat system for networks", in Defense and Technology, Vol.486, pp.102-111,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