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프스윙 시 지면반력 크기와 시간 차이가 클럽헤드 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ubhead Velocity on GRF Magnitude and Time during 7-iron Swing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30 no.1, 2020년, pp.27 - 35  

Woo, Byung Ho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lubhead velocit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the magnitude and time difference of the forward-backward, mediolateral,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peak forces generated by force plate during golf swing. Method: 16 subjects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골프스윙 시 체중이동에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이한 결론을 제시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많은 접근을 통해 클럽헤드 속도 상승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면반력에서 힘의 전환을 의미하는 피크힘(peak force)을 이용하여 전후, 좌우, 수직 지면반력에서 생성되는 피크힘 사이의 힘의 크기 차이와 소요된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골프스윙 시 좌우, 전후, 수직 지면반력 크기와 시간 차이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클럽헤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면반력에서 힘의 전환을 의미하는 피크 힘(peak force)을 이용하여 전후, 좌우, 수직 지면반력에서 생성되는 피크힘 사이의 힘의 크기 차이와 소요된 시간 차이를 산출하여, 골프스윙 시 좌우, 전후, 수직 지면반력 크기와 시간 차이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클럽헤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프에서 좋은 스윙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골프는 파워를 통한 비거리, 목표지점으로 정확하게 보내는 정확성, 동일한 스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관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스포츠이다(Chun, 1988; Milburn, 1982). 좋은 스윙을 위하여 적절한 체중이동이 필요하고 (Leadbetter, 2002), 상지와 상체 동작의 연계도 중요하지만, 하체와 유기적인 협응 과정은 필수적이다(Seong, Lee & Kwak, 2017). 하체에서 양발은 신체중심을 고정시키고 힘을 전달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고, 좋은 골프스윙을 수행하는데 있어 그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Toski & Love, 1998).
골프는 무엇인가? 골프는 파워를 통한 비거리, 목표지점으로 정확하게 보내는 정확성, 동일한 스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관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스포츠이다(Chun, 1988; Milburn, 1982). 좋은 스윙을 위하여 적절한 체중이동이 필요하고 (Leadbetter, 2002), 상지와 상체 동작의 연계도 중요하지만, 하체와 유기적인 협응 과정은 필수적이다(Seong, Lee & Kwak, 2017).
체중이동은 어떠한 경우에 가장 큰 속도를 얻을 수 있는가? 체중이동은 던지기나 치기 동작에서 수행자의 운동량이 투사체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될 때 가장 큰 속도를 얻을 수 있고(Hume, Keogh & Reid, 2005), 골프스윙에서 체중이동은 발과 지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클럽의 궤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체중이동의 결과로 볼의 구질, 방향, 거리, 탄도 등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Park, 2010; Son, Yang & Lee, 2009). 골프스윙 시 적절한 체중이동은 좋은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고, 자연스러운 상체 회전을 통해 볼에 최대 운동량을 전달하는데 필수 요인이 된다(Zumerchik,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C. J., Back, J. H. & Kwak, C. S. (2005). Driver swing motion analysis of ground reaction in pro-golf player.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6(1), 130-139. 

  2. Ball, K. A. & Best, R. J. (2007a). Different centre of pressure patterns within the golf stroke I: Cluster analysis. Journal of Sports Sciences, 25(7), 757-770. 

  3. Ball, K. A. & Best, R. J. (2007b). Different centre of pressure patterns within the golf stroke II: Group-based analysis. Journal of Sports Sciences, 25(7), 771-779. 

  4. Chu, Y., Sell, T. C. & Lephart, S. M.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biomechanical variables and driving performance during the golf swing. Journal of Sports Science, 28, 1251-1259. 

  5. Chun, H. S. (1988). Kinematic analysis of the golf sw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Korea University. 

  6. Cooper, J. R., Bates, B. T., Rede, J. & Scheuchenzuber, J. (1974).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the golf swing. In: Nelson RC, Morebouse CA (Eds.), Biomechanics IV.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298-305. 

  7. Hellstrom, J. (2009). Competitive elite golf: A re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ying results, technique and physique. Sports Medicine, 39(9), 723-741. 

  8. Hume, P. A., Keogh, J. & Reid, D. (2005). The role of biomechanics in maximizing distance and accuracy of golf shots. Sports Medicine, 35(5), 429-449. 

  9. Koenig, G., Tamres, M. & Mann, R. W. (1994). The biomechanics of the shoe-ground interaction in golf. In A. J. Cochran, & M. R. Farrally (Ed), Science & golf II: Proceedings of the World Scientific Congress of Golf. 40-45. Padstow, Cornwall, GB: E & FN Spon. 

  10. Leadbetter, D. (1995). A lesson with Leadbetter: The swing. London: Telstar Video Entertainment, Festival Records. 

  11. Leadbetter, D. (2002). Golf swing (Park, H. T.), Seoul: Sam-ho media. 

  12. Mason, B. R., McGann, B. & Herbert, R. (1995). Biomechanical golf swing analysis. In T. Bauer (Ed.), Proceedings of the XIII International Symposium for Biomechanics in Sport (pp. 67-70). Thunder Bay, ONT: Lakehead University. 

  13. Milburn, P. D. (1982). Summation of segmental velocities in the golf sw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4(1), 60-64. 

  14. Neal, R. T. & Wilson, B. D. (1985). 3D kinematics and kinetic of the golf sw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 221-232. 

  15. Okuda, I., Armstrong, C. W., Tsunezumi, H. & Yoshiiko, H. (2002). Biomechan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golfer's swing. Hidemichi Tanaka. Science & golf VI: Proceedings of the World Scientific Congress of Golf. In Eric. Thain (Eds), 18-27. 

  16. Padstow, Cornwall, GB: TJ international Ltd. Okuda, I., Gribble, P. & Armstrong, C. (2010). Trunk rotation and weight transfer patterns between skilled and low skilled golfers.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9, 127-133. 

  17. Park, J. Y. (2010). Ground reaction force and foot pressure analysis during golf iron swing by gender.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2), 167-174. 

  18. Queen, R. M., Butler, R. J., Dai, B. & Barnes, C. L. (2013). Difference in peak weight transfer and timing based on golf handicap.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7(9), 2481-2486. 

  19. Richards, J., Farrell, M., Kent, J. & Kraft, R. (1985). Weight transfer patterns during the golf swing.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6, 361-365. 

  20. Robinson, R. L. (1994).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wing characteristics and clubhead velocity. In A. J. Cochran & F. R. Farrally (Eds.), Science and golf II: Proceedings of the 1994 World Scientific Congress of Golf (pp. 84-90). London: E & FN Spon. 

  21. Seong, G. J., Lee, K. C. & Kwak, C. S. (2017). A Study about difference of ground reaction forces on foot with golf club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4), 133-146. 

  22. Son, D. J., Yang, J. O. & Lee, J. S. (2009). Influence of different slope analysis during pitching wedge swing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pattern.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9(2), 297-309. 

  23. Son, J. H. (2011). Research analysis of GRF peak value and timing before and after golf shot.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5), 1217-1228. 

  24. Toski, B. & Love, D. (1998). How to feel a real golf swing. New York. Three Rivers Press. 

  25. Vaughan, C. L. (1981).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forces and torques applied by a golfer during the downswing. International Series on Biomechanics, 3B(VII-B), 325-331. University Park Press Baltimore. 

  26. William, K. & Cavanagh, P. (1983). The mechanics of foot action during the golf swing and implication for shoe desig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3), 247-255. 

  27. Zumerchik, J. (2002). Newton on the tee: A good walk through the science of golf. Simon & Schuster, Inc.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