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의 본성에 대한 연구방법 제안 -현상학적 접근 및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의 활용-
Suggesting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Nature of Earth Science: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NO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1, 2020년, pp.51 - 60  

박원미 (성남여자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현상학적 접근 및 NOS-가족 유사성 접근을 적용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상학적 접근은 지구과학에 고정된 본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상황의 요청에 따라 본성 자체가 유동적인 것임을 전제로 한다. 이는 직관적으로 드러난 감각적 현상들을 통해 지구과학의 다면적 특성을 편견 없이 모두 수집,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법이다. 현상학적 접근은 학문적 세계의 토대를 이루는 생활세계를 직시하면서 지구과학의 본성을 탐구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구과학이 가지는 풍부함과 복잡성, 역동성을 드러낼 수 있다. 현상학적 관점에서 지구과학의 본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을 제안하였다. NOS-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해, 조금씩 차이점을 가지는 다양한 과학의 영역들이 서로서로 공유하는 특성들을 조합함으로써 과학의 본성(NOS)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지구과학의 본성에 적용하면 지구과학을 '가족'으로 만들어주는 일반적인(domain-general) 특성과 영역별로 특수한(domain-specific) 특성을 동시에 규명할 수 있다. 예컨대 지구과학을 구성하는 학문영역인 지질학, 대기 과학, 해양학, 천문학, 지구시스템 과학 등등이 서로 공유하는 특징들의 네트워킹을 통해 이들 학문영역을 지구과학이라는 가족으로 특징짓는 가족유사성을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구과학의 본성을 총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구과학의 본성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해 지구과학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 학문의 특성이 달라짐에 따라 변화하는 지구과학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과목으로서 지구과학의 위상과 발전체계를 정립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opos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nature of earth science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NOS-family resemblance approa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exploring the nature of earth science is a method of collecting, analyzing and sy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측면에서 현상학적 접근은 현상의 상호주관성이라는 연구 대상의 본질에 적합한 방법론적 발전의 결과이다(Lee, 2017). 그러므로 현상학적 접근에서는 여러 가지 측면의 현상을 보여 주는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여 그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상학적 접근은 연구 대상과 수집한 자료들을 고정적이고 양적인 구성단위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추상적이고 통계 적인 접근을 하는 방법을 따르지 않는다.
  • 이와 같이 NOS-가족유사성 접근을 취함으로써, 지구과학의 일부 영역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영역 일반적인(domain-general) 특징과 각각의 영역이 가지는 영역 특이적인(domain-specific) 특성들을 포괄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해양 과학이나 환경 과학, 그리고 현대 과학의 발전으로 새롭게 추가된 영역들을 추가해가면서 각 영역의 다양한 특성들을 살펴볼 수 있다. 더 나아가 1차적으로 도출한 지구과학의 특성들을 적절한 범주로 묶고 그들 간의 공통적인 특성들을 얻어낸다면 새로운 차원의 범주 또는 본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지구과학의 본성 연구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과학의 본성 관련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미래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과학의 본성 탐구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지구과학의 본성 탐구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구과학의 본성 연구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과학의 본성 관련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미래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과학의 본성 탐구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지구과학의 본성 탐구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 , 2018; Lee & Kwon, 2010; Oh, 2006; 2018; Oh, & Kim, 2005). 이 연구들은 교육과정에 지구과학의 본성을 반영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지구과학의 본성 연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 및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을 활용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연구하는 방법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 또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구과학 내에 고정된 본성이 존재한다고 보는 실재론적, 객관주의적 입장이기 때문에, 다양한 철학적 관점 의 견해들을 수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급속도로 사회, 경제, 문화 및 학문의 지형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학문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 이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통합적이고 유연한 관점을 반영한 지구과학의 본성 연구방법 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지구과학의 본성 연구를 수행하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지구과학의 본성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연구로, 지구과학 교육, 과학철학, 현대 철학 등 관련 분야의 문헌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지구과학의 본성 연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 및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을 활용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연구하는 방법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의 본성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다 보면 과학을 엄격하게 정의하거나 정확한 경계 조건을 제시하려는 시도는 실패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다 보면 과학을 엄격하게 정의하거나 정확한 경계 조건을 제시하려는 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실패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과학의 풍부함과 복잡성을 담아내지 못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철학적 관점의 한계이다. 즉, 과학자들이 하는 모든 것(관찰, 실험, 모델링, 검증 등)과 과학이라는 범주에 포함되는 모든 분야들(물 리, 화학, 생물학, 지질학, 동물학, 식물학 등)을 고려할 때, 과학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들을 특징짓는 것은 과학의 풍부함과 복잡성을 담아내기에는 비현실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Irzik & Nola, 2011a). 또한, 실재론자, 경험주의자, 구성주의자, 페미니스트, 다문화주의자, 포스트 모더니스트 등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지닌 전문가 집단의 서로 다른 견해들을 수렴하는 것 역시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Irzik & Nola, 2011a). 따라서 많은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교육적 필요에 의해 다양한 경로를 거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과학의 본성(NOS) 내용 요소의 합의를 추구해왔다.
과학의 본성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경우는 과학교육자들 뿐만 아니라, 과학철학자, 과학역사가, 과학사회학자, 심리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 집단에서 과학의 본성에 관해서 꾸준히 연구해왔다. 이들 전문가가 속한 각 분야의 학문적 입장에서 과학을 조망한 결과들로부터 도출되는 ‘과학에 대한 메타지식(meta-knowledge)’을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이하 NOS)’ 이라고 한다(Clough, 2011). 그러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다 보면 과학을 엄격하게 정의하거나 정확한 경계 조건을 제시하려는 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지구과학의 본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는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지구과학의 본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학문적 정체성이나 교과목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함이고, 두 번째는 지구과학의 본질적 속성을 지구과학 교육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의 본성 연구의 한계점으로 영역 특이적인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면서 지구과학 영역에서 과학의 본성을 살펴본 연구들도 있다(Breslyn & McGinnis, 2012; Choi, 2012; 2016; LaDue, Libarkin, & Thomas, 2015).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에는 첫 번째 목적으로 많이 연구되어 지구과학의 학문적 특성을 기반으로 지구과학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는 형태의 연구들이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An, H. S, Lee, M. S., Kwon, B. D., Choe, S. U. & Lee, M. (1989).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earth science curriculum with finding the domestic educational materials, Part 1: Analysis of terminologies, graphs and figures appeared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 books. Journal of the College of Education, 39, 1-35. 129-140. 

  2. An, J. S. (2013). Elucidate of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cience and life-world: Focusing on Husserl's the crisis of European sciences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Philosophical Forum, 41, 213-249. 

  3. An, Y. M., Jeong, D. S., Cha, H. J., Choe, J. Y., Kim, C. J., & Choe, S. E. (2006). Nature of earth science through the history of atmospheric sciences (Abstract). Proceedings of the 200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pp. 158-159). Cheongju, Korea. 

  4. Breslyn, W., & McGinnis, J. R. (2012). A comparison of exemplary biology, chemistry, earth science, and physics teachers' conceptions and enactment of inquiry. Science Education, 96(1), 48-77. 

  5. Chang, Y. H., Chang, C. Y., & Tseng, Y. H. (2010). Trend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 automatic content analysi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4), 315-331. 

  6. Cheong, E. H. (2004). Husserl's the crisis of European sciences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3(21), pp. 1-198. Institute of Philosoph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7. Cho, E. J., Kim, C. J., & Choe, S. U. (2018). A study on the plurality of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5), 721-738. 

  8. Cho, K. J. (2004). The world of body, a body in the world. Seoul: Ehak Publishing Co. 

  9. Cho, S. S. (2015). How to establishing and realizing a new view of academic ability for innovation of future educatio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Dongguk University. 

  10. Choe, S. U., & Shin, M. K. (1994). Development model of th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and its goals. Journal of the College of Education, 49, 1-35. 

  11. Choi, H. J. (2012). The views about physics and biology of science teachers who majored in phys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341-353. 

  12. Choi, H. J. (2016). High school students' views about physics and biolog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2), 243-267. 

  13. Clough, M. P. (2011). Teaching and assessing the nature of science. The Science Teacher, 78(6), 56. 

  14. Dagher, Z. R., & Erduran, S. (2016). Reconceptualizing the nature of science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25(1-2), 147-164. 

  15. Dagher, Z. R., & Erduran, S. (2017). Abandoning patchwork approaches to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7(1), 46-52. 

  16. Denzin, N. K., & Lincoln, Y. S. (Eds.). (2011).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s Angeles: Sage Publication, Inc. 

  17. Eflin, J. T., Glennan, S., & Reisch, G. (1999). The nature of science: A perspective from the philosophy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 107-116. 

  18. Engelhardt, W. von & Zimmermann, J. (1982). Theory of earth science (translated by L. Fischer).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Erduran, S., & Dagher, Z. R. (2014). Reconceptualizing the nature of science for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knowledge, practices and other family categories. Dordrecht: Springer. 

  20. Dagher, Z. R., & Erduran, S. (2016). Reconceptualizing the nature of science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25(1-2), 147-164. 

  21. Erduran, S., Kaya, E., & Dagher, Z. R. (2018). From lists in pieces to coherent wholes: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practices,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J. Yeo, T. W. Teo, & K.-S. Tang (Eds.),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Asia-Pacific and beyond (pp. 3-24). Singapore: Springer. 

  22. Finley, F. N., Nam, Y., & Oughton, J. (2011). Earth systems science: An analytic framework. Science Education, 95(6), 1066-1085. 

  23. Hacking, I. (1996). The disunities of the sciences. In P. Galison & D. Stump (Eds.), The disunity of science (pp. 37-74).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Hodson, D. (2009).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Language, theories, methods, history, traditions and values. Taipei: Sense Publishers. 

  25. Hodson, D. (2014). Nature of science in the science curriculum: Origin, development, implications and shifting emphases. In M. R. Matthews (Ed.),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pp. 911-970). Dordrecht: Springer. 

  26. Irzik, G., & Nola, R. (2011a). A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20, 591-607. 

  27. Irzik, G., & Nola, R. (2011b). A family resemblance approach. Plenary presentation session with N. Lederman titled: Current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issues in nature of science (NOS) research, and possible future directions. In International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IHPST) Conference, Thessaloniki, Greece. 

  28. Irzik, G., & Nola, R. (2014). New directions for nature of science research. In M. R. Matthews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pp. 999-1021). Dordrecht: Springer. 

  29. Kampourakis, K. (2016). The "general aspects" conceptualization as a pragmatic and effective means to introducing students to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5), 667-682. 

  30. Kaya, E., Erduran, S., Akgun, S., & Aksoz, B. (2017). Nature of science in teacher education: A holistic approach. Necatibey Faculty of Education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 Mathematics Education, 11(2). 

  31. Kaya, E., Erduran, S., Aksoz, B., & Akgun, S. (2019). Reconceptualise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nature of scienc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 21-47. 

  32. Kim, B. H., Kim, K. J., Park, I. S., Lee, K. J., Kim, J. K., Hong, J. J., Lee, M. H., Kim, Y. H., Yoo. I. Y., & Lee., H. Y. (1999).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bout the Methods of Giorgi, Colaizzi, Van Ka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6), 1208-1220. 

  33. Kim, C. J., Park, I. S., An, J. S., Oh, P. S., Kim, D. Y., & Park, Y. S. (2005). Development of an inquiry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features of earth science inquiry methodology and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8th grade 'Earth history and diastrophism' uni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8), 751-758. 

  34. Kim, H. J., Kim, Y. D., Kim, D. Y., & Wee, W. M. (2018). The case study of strategies for abductive reason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earth science inquiry ques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5), 799-820. 

  35. Kwak, Y. S. (2009). Qualitative research: Philosophy, art and education. Paju: Kyoyookbook Publication Co. 

  36. Kwak, Y. S. (2019). Scientific writing for teachers. Paju: Kyoyookbook Publication Co. 

  37. LaDue, N. D., Libarkin, J. C., & Thomas, S. R. (2015). Visual representations on high school biology, chemistry, earth science, and physics assess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4(6), 818-834. 

  38. Laudan, R. (1987). From mineralogy to geology: the foundations of a science, 1650-183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 Lee, C. J. (2003). Identity and academic classification of earth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7), 650-656. 

  40. Lee, G. H., & Kwon, B. D. (2010). Reasoning-based inquriy model embedded in earth science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2). 

  41. Lee, I. S. (2008). Great Convergence of Knowledge. Seoul: Gozwin. 

  42. Lee, J. J. (2017). The Phenomenological-Hermeneutic Reflection on the Methodological Assumptions of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75, 69-108. 

  43. Lee, K. S., Lee, W. H., & Jang, W. J. (1996).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each subject-centered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4(3), 94-122. 

  44. Lee, S. J. (2005). Form of life and language games. Philosophical Analysis, 12, 121-138. 

  45. Libarkin, J. C., Anderson, S. W., Beilfuss, M., & Boone, W. (2005).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deas about the Ear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1), 17. 

  46. Libarkin, J. C., & Kurdziel, J. P. (2006). Ontology and the teaching of Earth system scienc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3), 408-413. 

  47. Matthews, M. R. (2012). Changing the focus: From nature of science (NOS) to features of science (FOS). In M. S. Khine (Ed.), Advances in nature of science research: Concepts and methodologies (pp. 3-26). Dordrecht: Springer. 

  48. Mayer, V. J. (1995). Using the earth system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4), 375-391. 

  49. MSIT & KISTEP (2018).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Science and ICT (MSIT)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50. NIA (2018).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nds Korea's futur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51. Needham, R. (1975). Polythetic classification: Convergence and consequences. Man, 10(3), 349-369. 

  52. Oh, P. S. (2006). Rule-inferring strategies for abductive reason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an earth-environmental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4), 546-558. 

  53. Oh, P. S. (2018). An exploratory study of the 'method of multiple working hypotheses' as a method of earth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5), 501-515. 

  54. Oh, P. S., & Kim, C. J. (2005). A theoretical study on abduction as an inquiry method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5), 610-623. 

  55. Park, J. H., & Lee, J. H. (2013). A Systematic Review of the Studies of Integrative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4(1), 97-135. 

  56. Related ministries (2016). Mid- to long-term master plan in preparation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manag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57. Selles-Martinez, J. (2004).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What to test and how to do so. In Seoul Conference for the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Conference Proceedings (pp. 136-142). 

  58. Seol, M. (2016). The problem of the (external) world in the phenomen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59, 157-190. 

  59. Shin, C. S. (2009).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Phenomenology. Social science, 42(1), 85-112. 

  60. Shin, D. H. (2000).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4), 479-487. 

  61. Shin, S. K. (2004).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3(22), pp. 1-172. Institute of Philosoph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62. Sin, M. Y., Lee, S. U., Go, S. Y., Park, H. Y., Jang, H. Y., & Choe, S. E. (2006). Exploring the nature of earth science through the change of a view of the universe (Abstract). Proceedings of the 200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pp. 182-183). Cheongju, Korea. 

  63. Son, D. H. (2009). The basis of integrative educ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y colleg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3(1), 21-32. 

  64. Sung, W. J., & Hwang, S. S. (2017). A review of intelligent society studies: A look on the future of AI and policy issues. Informatization Policy, 24(2), 3-19. 

  65. Woo, J. O., & Lee, K. S. (1992). The study of direction for education on earth science subject matter of high schoo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3(2), 113-126. 

  66. Yoo, H. R. (2015). Logic and Method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on Max van Manen's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of Family and Counseling, 5, 1-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