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주환경 포용성이 고령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ttlement Inclusivity on Older People's Mental Health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4, 2020년, pp.3 - 23  

이새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령층의 사회적 배제와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 '정주환경 포용성'을 개념화하고 이를 분석틀로 하여 고령자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거지 인근 환경은 일상생활이 시작하는 장소이자 사회적 관계가 맺어지는 공간으로 생활 범위가 좁은 고령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포용의 공간 범위를 주택을 구심점으로 하는 정주환경으로 삼았다. '정주환경 포용성'은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영역과 주택 내외의 환경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고 기본적인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적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상호의존, 참여, 안전성, 접근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개인 및 정주환경의 속성이 고령자 우울 증상 수에 미치는 영향을 영과잉-음이항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주환경의 사회적 포용성에 해당하는 지역사회관계망과 사회활동 참여 수준이 우울감을 완화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다. 둘째, 정주환경의 공간적 포용성 요인 중 근린환경 만족도와 대중교통시설·구매시설에 대한 우수한 접근성은 우울감의 심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포용적 정주환경의 공간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 사이의 상호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지역사회관계와 참여가 우울증상의 심화에 미치는 영향은 고령친화형 주택 및 안정적 점유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분석 결과는 정주환경 포용성이 다면적일 뿐 아니라 복합적으로 고령자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며, 고령자의 심리적 안녕을 제고하기 위한 도시 계획 및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the settlement inclusivity for overcoming social exclusion and the decline in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The concept of the settlement inclusivity for older people focuses on the immediate environment around th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55)

  1. 강수진.서원석, 2019, 주거특성이 거주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주택점유형태별 주거비부담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9(1), pp.13-29. 

  2. 고정은.이선혜, 2012,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0(1), pp.322-351. 

  3. 김동배.유병선, 2013,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3(1), pp.105-123. 

  4. 김수린.김주현.정순둘, 2018, 고령층의 주관적 건강상태, 고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고령친화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3(2), pp.9-47. 

  5. 김용진.안건혁, 2011,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2(6), pp.89-99. 

  6. 노시학, 1998, 도시의 교통소외계층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를 위한 제언: 노인 및 장애인과 여성 인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 pp.47-60. 

  7. 문하늬.채철균.송나경, 2018,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19(2), pp.87-103. 

  8. 박근덕.이수기.이은영.최보율, 2017, 개인 및 가구특성과 물리적 환경이 거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토계획, 52(3), pp.93-108. 

  9. 박경숙, 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 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34(F), pp.621-647. 

  10. 박미진, 2010,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0(3), pp.895-910. 

  11. 박성준, 2019,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7(1), pp.174-203. 

  12.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25(1), pp.95-139. 

  13.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공간과 사회, 26(4), pp.109-158. 

  14. 박종용.김갑성, 2017, 도시공간의 물리적 안전요소와 활동적 노화간의 관계분석, 국토계획, 52(6), pp.169-182. 

  15. 양희진.윤희연, 2020, 기후위험에 대비한 폭염 적응정책의 효과성 평가: 지역수준 건강영향평가 방법론의 적용, 국토계획, 55(2), pp.101-110. 

  16. 이선재.박소현, 2018, 스마트폰 보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노인의 역세권 이용실태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4(3), pp.129-138. 

  17. 이형석 외 5인, 2003, 노인 삶의 질척도의 표준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pp. 859-881. 

  18. 장미희.박창기, 2012, 영과잉 가산자료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노인학대 발생과 심각성에 미치는 위험요인 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6), pp.819-832. 

  19. 정경희 외,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최종 보고서, 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20. 주수산나.전혜정.최봄이, 2018,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38(1), pp.243-259. 

  21. 한재원.이수기, 2019,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분석 - 2016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4(5), pp.33-47. 

  22. Beard, J. R. et al., 2009,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Residents of New York C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9, pp.1308-1314. 

  23. Berke, E. M., Gottlieb, L. M., Moudon, A. V. & Larson, E. B., 2007, Protective Association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Depression in Older 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 pp. 526-533. 

  24. Cameron, A. C. & Trivedi, P. K., 1998,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Chao, S. F., 2011, Assessing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Chinese adults: a longitudinal perspective, Aging & Mental Health, 15(6), pp.765-774. 

  26. Cheung, Y. B., 2002, Zero-inflated models for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a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Stat Med, 21, pp.1461-1469. 

  27. Coleman, P. G., Philp, I. & Mullee M. A., 1995, Does the Use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make redundant the Need for Separate Measures of Well-being on Geriatrics Wards?, Age and Ageing, 24(5), pp.416-420. 

  28. Dahlgren, G. & Whitehead, M., 1991,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Background document to WHO, Stockholm, Sweden: Institute for Futures Studies. 

  29. Evans, G. W., Wells, N. M., Chan, H. Y. E., & Saltzman, H., 2000, Housing Quality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3), pp.526-530. 

  30. Galea, S., Ahern, J., Rudenstine, S., Wallace, Z. & Vlahov, D., 2005, Urban Built Environment and Depression: a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9, pp.822-827. 

  31. Glass, T. A. & Balfour, J. L., 2003,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In: Kawachi, I. & Berkman, L. F.(Eds.),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pp.303-334. 

  32. Glass, T. A., De Leon, C. F. M., Bassuk, S. S., & Berkman, L. F., 2006,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Life: Longitudinal Finding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8(4), pp.604-628. 

  33. Guite, H. F., Clark, C. & Ackrill, G., 2006, The Impact of the Physical and Urban Environment on Mental Well-being, Public Health, 120(12), pp.1117-1126. 

  34. Hilbe, J. M., 2014, Modeling Count Data,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Hoffmann, J. P. 2016,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Count, and Related Variables: An Applied Approach, Oakland,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Kubzansky, L. D. et al., 2005, Neighborhood Contextual Influences on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 162(3), pp.253-260. 

  37. Kim, D., 2008, Blues from the Neighborhoo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Epidemiologic Reviews, 30(1), pp.101-117. 

  38. Lee, J. H., 2015, Older Adults' Third Places and Perceived Social Connectedness, Doctoral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39. Lee, S. & Chou, K., 2019, Assess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ocial Exclusion, Income-Poverty and Financial Strain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people in Hong Kong, Aging & Mental Health, 23(11), pp.1487-1495. 

  40. Murie, A., & Musterd, S., 2004, Social Exclusion and Opportunity Structures in European Cities and Neighbourhoods, Urban Studies, 41(8), pp.1441-1459. 

  41. Saarloos, D. et al., 2011, The Built Environment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The Health In Men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5), pp.461-470. 

  42. Scharf, T., Phillipson, C., & Smith, A.E., 2005, Social Exclusion of Older people in Deprived Urban Communities of England, European Journal of Ageing, 2(2), pp.76-87. 

  43. Schwarzbach, M., Luppa, M., Forstmeier, S., Konig, H. H. & Riedel-Heller, S. G., 2014, Social Relations and Depression in Late Life: A systematic review, Int J Geriatr Psychiatry, 29, pp.1-21. 

  44. Silva, M., Loureiro, A. & Cardoso, G., 2016, Social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a review of the evidence, The European Journal of Psychiatry, 30(4), pp.259-292. 

  45. Social Exclusion Unit, 2003, Making the Connections: Final report on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London. 

  46. Stahl, S. T., Beach, S. R., Musa, D. & Schulz, R., 2017, Living Alone and Depression: the Modifying Role of the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Aging & Mental Health, 21(10), pp.1065-1071. 

  47. Sugisawa, H. et al., 2002, The Impact of Social 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U.S. and Japanese Elderly, Journal of Social Issues, 58, pp.785-804. 

  48. Sugiyama, T., & Thompson, C. W., 2007, Outdoor Environments, Activity and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Conceptualising Environmental Support, Environment and Planning A, 39(8), pp.1943-1960. 

  49. Tong, H. M., Lai, D. W. L., Zeng, Q.. & Xu, W. Y., 2011,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ve Symptoms: Elderly Chinese Living alone in Shanghai, China, J Cross Cult Gerontol, 26(4), pp.349-364. 

  50. Walsh, K., Scharf, T. & Keating, N., 2017, Social Exclusion of Older persons: a Scoping Review and Conceptual Framework, Eur J Ageing, 14, pp.81-98. 

  51. WHO, 2002,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67215 

  52. Xu, T., Zhu, G., Han, S., 2017, Study of Depression Influencing Factors with Zero-inflated Regression Models in a Large-scale Population survey, BMJ Open, 7, pp.1-6. 

  53. Zaninotto, P. & Falaschetti, E., 2011, Comparison of Methods for Modelling a Count Outcome with Excess Zeros: Applic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65(3), pp.205-210. 

  54. 통계청, 고령인구비율, 노인의 우울증상, http://kostat.go.kr, 2020년 9월 15일. 

  55.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 자살예방백서, http://spckorea-stat.or.kr, 2020년 9월 15일.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