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정주공간 유형별 주관적 삶의 질 수준 비교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Settlement Typ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8 no.2, 2022년, pp.21 - 41  

권인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환경계획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도시-농촌, 수도권-비수도권 등 서로 다른 정주공간 속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전국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균형발전을 위한 삶의 질 만족도 설문조사' 원자료를 이용하고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도입하여 정주공간 유형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생활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든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고, 행복도의 경우 농촌 주민이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 거주 주민에 비해 더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영역별 삶의 질을 살펴보면, 기초생활환경, 의료,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대체로 가장 높은 반면, 일자리·소득, 환경, 공동체, 복지 영역에서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 주민보다 높다. 흥미롭게도 비수도권 도시가 강점을 보이는 영역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 결과는 점점 더 고도화되는 도시화 경향 속에서도 농촌이 갖는 가치를 보여주며, 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만의 가치를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농촌의 환경·경관 가치를 훼손하는 난개발 문제에 대응하고 농촌 정주환경을 조화롭게 정비·개발해가기 위해 공간계획에 기반한 농촌재생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QoL) perceived by residents in different settlement spaces such as urban vs. rural and Seoul Capital Area (SCA) vs. Non-Capital Area (NCA). Using the data of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Survey for Balanc...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52)

  1. 고명철.최상옥, 2012,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보」, 46(4), pp.103-126. 

  2. 구교준.김성배.윤종현, 2012, 용인 가능한 지역 간 격차와 지역정책, 「한국행정학보」, 46(3), pp.173-92. 

  3. 김병섭.강혜진.김현정, 2015, 지방정부서비스가 주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주거영역 삶의 질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3(3), pp.29-56. 

  4. 김이수, 2016,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주관적 웰빙의 결정요인 연구-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0(2), pp.157-82. 

  5. 네모토 마사쯔구, 2013, 도.농 지역별 삶의 질 분석에 따른 사회적 경제조직의 발전방향-충청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0(1), pp.77-93. 

  6. 류지아, 2016, 행복에 대한 소득의 상대적 효과: 위계선형모형의 수준간 상호작용항을 사용한 분석, 「한국사회학」, 50(1), pp.255-88. 

  7. 모종린, 2020, 「인문학,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파주: 넥서스. 

  8. 박대식.마상진, 2007,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지수화 방안 연구, 「농촌경제」, 30(4), pp.31-55. 

  9. 서인석.기영화.우창빈, 2015, 지방정부 가치척도로서 주관적 삶의 질 증진과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의 관계-Kee 커뮤니티웰빙 모형의 6 자본요인을 적용하여, 「한국행정연구」, 24(4), pp.29-66. 

  10. 송미령.성주인.심재헌.한이철.민경찬, 2021, 2020년 귀농. 귀촌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pp.1-21. 

  11. 신희주, 2017, 성향점수 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을 이용한 여성노동자들의 고용형태와 건강수준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46(1), pp.111-133. 

  12. 임보영.마강래, 2015, 지역 내 준거집단과 비교한 경제적 격차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50(3), pp.213-24. 

  13. 임희섭, 1996, 삶의 질(質)에 있어서의 현황과 과제: "삶의 질"의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pp.1005-1018. 

  14. 최민호.강영웅.이승종, 2019, 기초자치단체 삶의 질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커뮤니티웰빙 모형의 적용, 「지방정부연구」, 23(3), pp.329-56. 

  15. 최영준, 2017, 기존 경영자 관리인(Dip) 제도의 회생기업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 「BOK 경제연구」, Bank of Korea WP, 34. 

  16. 최영출, 2018, 소득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이항로짓분석의 활용, 「한국자치행정학보」, 32(3), pp.1-19. 

  17. 최예나, 2016, 전라북도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0(3), pp.291-313. 

  18. 최예나.김이수, 2015, 사회적 자본과 주민행복간 관계에 관한 연구: 공동체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4), pp.53-78. 

  19. 최준호, 2001, 광역자치단체와 위성 기초자치단체의 [삶의 질] 에 대한 비교 연구: 대구광역시와 경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3(4), pp.133-50. 

  20. 한준, 2015, 한국인 삶의 질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정관리연구」, 10(2), pp.67-95. 

  21. Berry, B. J., & Okulicz-Kozaryn, A., 2011, An urban-rural happiness gradient, 「Urban geography」, 32(6), pp.871-883. 

  22. Bognar, G., 2005,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Social theory and practice」, 31(4), pp.561-580. 

  23. Brenner, N., & Schmid, C., 2014, The 'urban age' in ques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8(3), pp.731-755. 

  24. Brereton, F., Bullock, C., Clinch, J. P., & Scott, M., 2011, Rural change and individual well-being: the case of Ireland and rural quality of life,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18(2), pp.203-227. 

  25. Burger, M. J., Morrison, P. S., Hendriks, M., & Hoogerbrugge, M. M., 2020, Urban-rural happiness differentials across the world, 「World happiness report, 2020」, pp.66-93. 

  26. Cummins, R. A., 2000,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 interactive model, 「Social indicators research」, 52(1), pp.55-72. 

  27. Diener, E., & Suh, E., 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0(1), pp.189-216. 

  28. Duranton G., & Puga D., 2004, Micro-foundations of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In: Henderson JV and Thisse J-F (eds) 「Handbook of Regional and Urban Economics」, Vol. 4. Amsterdam: Elsevier, pp.2063-2117. 

  29. Fischer, C. S., 1973, Urban malaise, 「Social forces」, 52(2), pp.221-235. 

  30. Fuguitt, G. V., & Brown, D. L., 1990, Residential preferences and population redistribution: 1972- 1988, 「Demography」, 27(4), pp.589-600. 

  31. Gasper, D., 2010,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Socio-Economics」, 39(3), pp.351-360. 

  32. Gerdtham, U. G., & Johannesson, M.,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health, and socio-economic factors: results based on Swedish microdata, 「Journal of Socio-Economics」, 30(6), pp.553-557. 

  33. Glaeser, E. L., Kolko, J., & Saiz, A., 2001, Consumer city,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1), pp.27-50. 

  34. Hand, C., 2020, Spatial influences on domain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UK 「Regional Studies」, 54(6), pp.802-13. 

  35. Kalyuzhnova, Y., & Kambhampati, U., 2008, The Determinants of Individual Happiness in Kazakhstan, 「Economic Systems」, 32(3), pp.285-99. 

  36. Lederbogen, F., Kirsch, P., Haddad, L., Streit, F., Tost, H., Schuch, P., … & Meyer-Lindenberg, A., 2011, City living and urban upbringing affect neural social stress processing in humans, 「Nature」, 474(7352), pp.498-501. 

  37. Lenzi, C., & Perucca, G., 2021, Not too close, not too far: Urbanisation and life satisfaction along the urban hierarchy, 「Urban Studies」, 58(13), pp.2742-2757. 

  38. Luca, S. D., 2021, Preferring or Needing Cities? (Evolutionary) psychology, uti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urban living, 「City」, Culture and Society, 24, 100375. 

  39. Morrison, P. S., & Weckroth, M., 2018, Human value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tropolitan region, 「Regional Studies」, 52(3), pp.325-337. 

  40. Partridge, M. D., Rickman, D. S., Olfert, M. R., & Tan, Y., 2015, When spatial equilibrium fails: Is place-based policy second best?, 「Regional Studies」, 49(8), pp.1303-1325. 

  41. Peiro, A., 2006, Happiness, satisfactio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Some international evidence, 「Journal of Socio-Economics」, 35(2), pp.348-65. 

  42. Piper, A. T., 2015, Europe's capital cities and the happiness penalty: an investigation using the European Social Survey,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3(1), pp.103-126. 

  43. Shucksmith, M., Cameron, S., Merridew, T., & Pichler, F., 2009, Urban-Rural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ross the European Union, 「Regional Studies」, 43(10), pp.1275-89. 

  44. Simmel, G., 1903/1971, The Metropolis and the Mental Life, In Levine, D. N.(ed.) 「On Individuality and Social Forms: Selected Writings」,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pp.324-339. (Originally published as Die Grossstadte und das Geistesleben ("The Metropolis and Mental Life"), in Die Grossstadt. Jahrbuch der Gehe-Stiftung (The Metropolis. Yearbook of the Gehe Foundation), 9 (1903)) 

  45. Soja, EW., 2014, Regional urbanization and the end of the metropolis area. In: Brenner N (ed.) 「Implosions/Explosions: Towards a Study of Planetary Urbanization」, Berlin: Jovis Verlag, pp.276-287. 

  46. Sorensen, J. F., 2014, Rural-urban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Evidence from the European Union, 「Regional Studies」, 48(9), pp.1451-66. 

  47. Tonon, G. H., 2020, The Importance of Teaching Quality of Life Theory and Methodology in Social Sciences Programs, 「Teaching Quality of Life in Different Domains」, Springer, Cham, pp.1-14 

  48. Van Kamp, I., Leidelmeijer, K., Marsman, G., & De Hollander, A., 2003, Urban environmental quality and human well-being: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demarcation of concepts; a literature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5(1-2), pp.5-18. 

  49. Van Praag, B. M., & Baarsma, B. E. 2005, Using happiness surveys to value intangibles: The case of airport noise, 「The Economic Journal」, 115(500), pp.224-246. 

  50. Verheij, R., Mass, J., & Groenewegen. P., 2008, Urban-rural health differences and the availability of green space.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15, pp.307-316. 

  51. WHOQOL Group, 1994,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the WHOQOL),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41-57. 

  52. e-나라지표, 도시지역 인구현황.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0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