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의료 전용헬기의 운용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 Operational Safety of HEMS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8 no.1, 2020년, pp.122 - 129  

최연철 (한서대학교 항공학부) ,  김영록 (한서대학교 항공기술연구소) ,  최성호 (한서대학교 항공기술연구소) ,  배택훈 (한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s HEMS are mainly operated during the week, but they are pushing for 24-hour operations. This study has made an overall comparison and review of helicopter safety management that should be accompanied to this end. For research purposes, helicopter regulations and helicopter accident stat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9년 발생한 독도 헬기사고와 경기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24시간 응급헬기 운영체제와 관련하여 해외 사례와 사고 사례 등을 중심으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추진해야 할 규정과 제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응급헬기의 운영은 시간을 다투는 임무이므로 조종사의 압박감과 스트레스가 과도하므로 이로 인한 판단이나 실수의 유발 요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 요구된다는 점을 교훈으로 얻을 수 있다.
  • 경기도의 닥터헬기 시범사업은 24시간 상시 운영하며, 대형헬기를 활용한 반경 약 350km 범위에서 구조․구급대원 탑승 및 호이스트를 활용하는 운영방법 확대에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서 수반되어야 할 헬기 안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비교와 검토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법, 규정의 보강이다. 법과 규정을 검토한 결과, 국토교통부 응급헬기 추가기술 기준, 항공구조 구급 및 특히, 야간응급헬기 운용에 대하여 미흡하고 모호한 부분을 규정지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환자이송체계란 무엇인가? 응급환자이송체계(EMSS: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는 응급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인 이송과 진료를 제공하는 유기적인 조직체계로 1926년 미 육군항공대가 니카라과에서 240km 거리의 파나마 육군병원까지 환자를 후송한 것이 최초이다. 헬기 응급환자이송체계(HEMS: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의 대표적인 사례는 1950년대 한국전쟁에서 시작되었는데, 당시의 헬기 후송 부상병은 22,000명 이상이었고,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 항공의료가 더욱 본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헬기의 대형화, 고속화와 의료기술의 진보를 통하여 80만 명 이상의 후송으로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가져왔다.
헬기 응급환자이송체계의 성과는 무엇인가? 응급환자이송체계(EMSS: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는 응급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인 이송과 진료를 제공하는 유기적인 조직체계로 1926년 미 육군항공대가 니카라과에서 240km 거리의 파나마 육군병원까지 환자를 후송한 것이 최초이다. 헬기 응급환자이송체계(HEMS: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의 대표적인 사례는 1950년대 한국전쟁에서 시작되었는데, 당시의 헬기 후송 부상병은 22,000명 이상이었고,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 항공의료가 더욱 본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헬기의 대형화, 고속화와 의료기술의 진보를 통하여 80만 명 이상의 후송으로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가져왔다. 이후 1970년에 군 헬리콥터에 의한 교통안전 지원프로그램과 미국 메릴랜드 주 경찰의 헬리콥터에 의한 구급환자 후송을 시작으로 민간대상 응급환자 헬기 후송이 시작되었고, 1972년 콜로라도 주 덴버의 성안토니오 병원이 민간 헬리콥터를 임대하여 구급을 개시하였다[1].
응급헬기와 구조헬기의 사고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응급헬기와 구조헬기는 운영특성과 환경의 열악성으로 높은 사고율을 보이는데, 세계적으로 1,000편 이상의 연구 자료가 보고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이는 분야이다. 미국은 1972년에 10대 미만의 응급헬기로 출발하여 1980년 40대, 1990년 409대, 2000년에는 631대, 2008년 668대, 2010년 850대 이상, 2014년에 75개 항공사와 헬기 1,515대로 성장하였고, 1998년 이래로 닥터헬기 산업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년 400,000 명 이상의 환자를 후송하며, 연간 산업비용은 25억 달러가 소요되고 있는데, 닥터헬기 증가와 더불어 1990년 초반부터 꾸준히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고는 야간, 기상악화, 지형인식 미흡과 불리한 환경조건에 직면하였을 때 조종사의 상황인식 및 의사결정과 관련된 운영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Emergency Medical Helicopter Service project 201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4. 

  2. Song, H. G., "MD, Emergency medical helicopter, ER in the sky", Korean Med Assoc 2007, 50(6), p. 541. 

  3.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mergency medical care in island-mountain areas and seeking support pl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eocheon University Report, 2007, p. 282. 

  4.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Rotorcraft Standards Branch AIR-680 Monthly Accident Briefing, 2019. 

  5. Annual Safety Review,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2018 

  6. IATA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Accident Analysis Report 2008-2017 Data, 2018, IATA 

  7. Aherne, B. B., Zhang, C., Chen, W. S., and Newman, D. G., "Systems safety risk analysis of fatal night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accidents", Aerospace Medicine and Human Performance, 90(4), Apr. 2019, p. 398. 

  8. Annual Safety Review,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2018. 

  9. Hinkelbein, J., Schwalbe, M., and Genzwuerker, H. V.,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cident rates in different international air rescue systems", Emergency Medicine, 2010. 

  10. FAA, AC 135-14B(advisory circular0, 2015. 

  11. EASA Notice of Proposed Amendment, 2018- 04. 

  12. Flight Safety Regulations For Helicopters, Section IV Aerial Work Aviation, 2019. 

  13. National 119 Rescue Aviation Regul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