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 전용헬기와 지상 앰뷸런스를 이용한 병원 간 이송에서 외상 환자의 예후 비교
Association between Helicopter Versus Grou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Inter-Hospital Transport of Traum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8 no.3, 2015년, pp.108 - 114  

강경국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  조진성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  김진주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  임용수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  박원빈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  양혁준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  이근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mprove outcome of severe trauma patient, the shortening of transport time is needed. Although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 (HEMS) is still a subject of debate, it must also be considered for trauma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whether transport method (HEMS vers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리콥터를 이용한 환자 이송이 지상 이송보다 유용한지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서 일부 발표되었지만, 헬기 운용 시스템과 외상 진료 체계가 다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외상 환자의 병원 간 이송에서 지상 앰뷸런스의 이송에 비해 응급의료 전용헬기가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C-135 응급의료 전용헬기에 탑승하는 승무원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항공 이송에 이용된 응급의료 전용헬기는 유로콥터사의 EC-135 기종으로 응급의료 전용으로 개조하여 최대 6명까지 탑승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응급의학과 전문의 1명, 간호사 또는 응급구조사 1명, 헬기 조종사 2명이 탑승하여 출동하며 현장 도착 후 환자에 대한 인계, 상태 파악, 응급처치 이후 병원으로 신속히 이송한다. 응급의료 전용헬기에는 이동형 초음파, 혈액 화학검사기,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등 18종 이상의 의료 장비와 승압제, 진통제 등 30여 가지 이상의 응급 약물이 탑재되어 있어 중증 외상 환자에 대한 적절한 응급처치가 가능하다.
응급실 내원 환자 중 외상으로 입원하는 환자의 비율은 어떠한가? 한 해에 우리나라는 500만 명에 가까운 환자들이 응급실에 내원하며 이 중 4분의 1 이상 (27.8%)은 질병이 아닌 교통사고, 추락, 둔상 등의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고 있다.(1) 현재 외상전문센터의 수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여건 상 외상 환자는 1차적으로 가까운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게 되며 전문 외상 구조술(Advanced Trauma Life Support, ATLS)이 필요한 중증 외상 환자는 외상전문센터로 조기 이송을 필요로 하고 있다.
신속한 환자 이송 체계인 응급의료 전용헬기는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가? (3) 우리나라는 2011년 9월부터 응급의료 전용헬기가 도입되면서 의료 취약지인 도서 지역의 환자 이송과 중증 환자의 병원간의 이송에 헬리콥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4) 응급의료 전용헬기는 전문 의료진이 탑승하여 환자에 대한 일차적 치료 개시 시간을 앞당길 수 있고 이송 중 발생하는 응급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처치가 가능하여 특히 중증 외상 환자의 예후 개선에 고무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리콥터를 이용한 환자 이송이 지상 이송보다 유용한지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서 일부 발표되었지만, 헬기 운용 시스템과 외상 진료 체계가 다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vailable at: http://www.nemc.or.kr/. Accessed August, 2014.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3 Statistics Annual Report: 290-5. 

  2. Lee WC, Jo CH, Jung KW, Min YG, Choi SC, Kim GW et al.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the Transfer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in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J Korean Soc Traumatol 2010; 23: 6-15. 

  3. Kim JY, Lee KJ. A study of Trauma Patient's Characteristics Transported by Helicopter and Appropriacy of Helicopter Transportation. Ajou University 2014. 

  4. Lee CY, Cho JS, Yang HJ, Kim JJ, Park WB, Lee G et al. Present Situation of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South Korea during the First Year. J Korean Soc Emerg Med 2014; 25: 60-8. 

  5. Kim J, Shin SD, Im TH, Lee KJ, Ko SB, Park JO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xcess Mortality Ratioadjusted Injury Severity Score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ition. Acad Emerg Med 2009; 16: 454-64. 

  6. Kim H, Jung KY, Kim SP, Kim SH, Noh H, Jang HY et al. Changes in Preventable Death Rates and Traumatic Care Systems in Korea. J Korean Soc Emerg Med 2012; 23: 189-97. 

  7. Bae JM, Jung MJ, Jung KH, Bae SH. Study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 by Helicopter in Ulleung Island during 4 Years. J Korean Rural Med 2005; 30: 255-62. 

  8. Gunnarsson T, Fehlings MG. Acute Neurosurgical Manage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and Spinal Cord Injury. Curr Opin Neurol 2003; 16: 717-23. 

  9. Bekelis K, Missios S, Mackenzie TA. Prehospital Helicopter Transport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nn Surg 2015; 261: 579-85. 

  10. Lee JH, Lim KS, Ahn R, Seo DW, Ahn S, Kim W et al. The Evaluation of the Hospital Transfer Adequacy to the Tertiary Hospital in Trauma Patients. J Korean Soc Traumatol 2003; 16: 37-42. 

  11. Biewener A, Aschenbrenner U, Rammelt S, Grass R, Zwipp H. Impact of Helicopter Transport and Hospital Level on Mortality of Polytrauma Patients. J Trauma 2004; 56: 94-8. 

  12. Cunningham P, Rutledge R, Baker CC, Clancy TV. A Comparison of the Association of Helicopter and Ground Ambulance Transport with the Outcome of Injury in Trauma Patients Transported from the Scene. J Trauma 1997; 43: 940-6. 

  13. Stewart KE, Cowan LD, Thompson DM, Sacra JC, Albrecht R. Association of Direct Helicopter versus Ground Transport and In-hospital Mortality in Trauma Patients. Acad Emerg Med 2011; 18: 1208-16. 

  14. Shatney CH, Homan SJ, Sherck JP, Ho CC. The Utility of Helicopter Transport of Trauma Patients from the Injury Scene in an Urban Trauma System. J Trauma 2002; 53: 817-22. 

  15. Davis DP, Peay J, Serrano JA, Buono C, Vilke GM, Sise MJ et al. The Impact of Aeromedical Response to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Ann Emerg Med 2005; 46: 115-22. 

  16. Oppe S, De Charro FT. The Effect of Medical Care by a Helicopter Trauma Team on the Probability of Survival and the Quality of Life of Hospitalised Victims. Accid Anal Prev 2001; 33: 129-38. 

  17. Smith HL, Sidwell RA. Trauma Patients Over-Triaged to Helicopter Transport in an Established Midwestern State Trauma System. J Rural Health 2013; 29: 132-9. 

  18. Song SW, Yoon JC, Lee BS, Kim WJ, Ahn JY, Oh BJ et al. Triage Score as a Predictor of need for Tertiary care Center Transport from Scene by Helicopter. J Korean Soc Traumatol 2006; 19: 159-63. 

  19. Wigman LD, van Lieshout EM, de Ronde G, Patka P, Schipper IB. Trauma-related dispatch criteria for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Europe. Injury 2011; 42: 525-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