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상체질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 및 삶의 질 관련성
Effect of Sleep Quality 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 a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erspectiv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4 no.1, 2020년, pp.37 - 44  

박지은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문수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poor sleep and various symptoms and diseases, such as fatigue, obesity, depression, and anxiety. The effects of poor sleep may differ by age and sex. In addition, sleep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may vary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상체질과 비만요인, 수면의 질을 분석한 김 등의 연구16)에서, 수면항목 중 주관적인 수면의 질, 수면시간, 수면방해는 체질과 교호작용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면과 피로 및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피로 및 삶의 질에 대한 수면 항목의 영향이 체질이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의 한의임상정보은행의 지역 코호트 5,793명의 자료를 이용, 사상체질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 및 삶의 질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체질과 수면의 질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외래 환자23), 여자 대학생16), 재가노인15), 건강검진 대상자24) 등 편향된 피험자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전반적인 인구 집단에 적용하기 힘들다.

가설 설정

  • 피로 및 삶의 질과 관련성을 보이는 수면 항목은 체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태음인은 수면 잠복기와 수면제 사용, 소음인은 주간 기능장애, 소양인은 수면제 사용과 주간 기능장애가 피로 및 삶의 질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체질에 따른 수면의 질 향상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 4%)로 나타났다. 체질 간 연령과 교육 수준, 결혼상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질량지수 및 고혈압, 당뇨 유병률은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순으로 높게 나타나 체질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이란? 수면은 단순히 쉬는 것이 아니라 생존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능동적인 과정으로, 적절한 수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집중력과 기억력이 저하된다1) .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김 등의 연구2)에서 60세 이상의 32.
낮은 수면의 질4) 혹은 부족한 수면시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5%에 달했다3). 선행연구에서 낮은 수면의 질4) 혹은 부족한 수면시간5)은 체중 증가와 관련성을 보이며, 고밀도지단백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고5), 우울과 불안이 증가하며6),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 뿐만 아니라, 수면 제한은 뼈의 형성을 저해하기도 하고10) , 심뇌혈관 및 퇴행성 뇌 질환 등의 만성질환과도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11) .
수면의 양상과 영향은 나이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수면의 양상과 영향은 나이나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생애주기에 따라 수면의 질과 신체활동, 주관적인 피로를 분석한 Christie 등의 연구에서 수면의 질과 피로는 노년층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청년층이나 장년층에서는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12). 또한, 남녀의 수면 차이를 분석한 Mong 등은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수면의 질을 보이지만, 일생 불면증을 경험한 위험도가 남성보다 40% 높다고 보고하였다13). 나이나 성별 외에도, 선행연구에서는 체질에 따라 수면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o DL, Kim J. The Physiology of Normal Sleep. Hanyang Medical Reviews (Hanyang Med Rev). 2013;33:190-6. 

  2. Kim KW, Kang SH, Yoon IY, Lee SD, Ju G,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and its subtypes in the Korean elderly. Arch Gerontol Geriatr. 2017;68:68-75. 

  3. Lee S, Cheong YS, Park EW, Choi E, Y.,, Yoo HK, et al. Prevalence of Sleep Disorder and Associated Factors in Family Practi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0;31(11):837-44. 

  4. Ogilvie RP, Patel SR. The epidemiology of sleep and obesity. Sleep Health. 2017;3(5):383-8. 

  5. Potter GDM, Cade JE, Hardie LJ. Longer sleep is associated with lower BMI and favorable metabolic profiles in UK adults: Findings from the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PLoS One. 2017;12(7):e0182195. 

  6. Pires GN, Bezerra AG, Tufik S, Andersen ML. Effects of acute sleep deprivation on state anxiety leve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Med. 2016;24:109-18. 

  7. Yu J, Rawtaer I, Fam J, Jiang MJ, Feng L, et al. Sleep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an elderly Asian population. Psychogeriatrics. 2016;16(3):191-5. 

  8. Marques DR, Meia-Via AMS, da Silva CF, Gomes AA.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and domains of quality of life in a non-clinical sample: results from higher education students. Sleep Health. 2017;3(5):348-56. 

  9. Sariarslan HA, Gulhan YB, Unalan D, Basturk M, Delibas S. The relationship of sleep problems to life quality and depression. Neurosciences (Riyadh). 2015;20(3):236-42. 

  10. Swanson CM, Shea SA, Wolfe P, Cain SW, Munch M, et al. Bone Turnover Markers After Sleep Restriction and Circadian Disruption: A Mechanism for Sleep-Related Bone Loss in Humans. J Clin Endocrinol Metab. 2017;102(10):3722-30. 

  11. National Health Insureance Service Ilsan Hospit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 and concomitant disease using national healthcare data. 2015. 

  12. Christie AD, Seery E, Kent JA. Physical activity, sleep quality, and self-reported fatigue across the adult lifespan. Exp Gerontol. 2016;77:7-11. 

  13. Mong JA, Cusmano DM. Sex differences in sleep: impact of biological sex and sex steroids.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2016;371(1688):20150110. 

  14. Han YR, Lee HB, Han SY, Kim BJ, Lee SJ, et al. Systematic review of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symptoms of Sasang typology. Integr Med Res. 2016;5(2):83-98. 

  15. Sok S, Kim KB. A Comparative Study on Sleep State, Satisfaction of Sleep,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Living with Family by Sasangin Constitut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9;18(3):341-50. 

  16. Kim TY, You SE, Ko YS. Associ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al types with obesity factors and sleep quality. Integr Med Res. 2018;7(4):341-50. 

  17. Ko YS. Research on Physique, Bone Density, Obesity,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to Sleep duration by Sasang Constitutio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010;18(4):271-8. 

  18.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2019 [Available from: https://kdc.kiom.re.kr/html/. 

  19. Baek Y, Jang E, Park K, Yoo J, Iin H,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KS-15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Based on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2):211-21. 

  20.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193-213. 

  21. Krupp LB, LaRocca NG, Muir-Nash J, Steinberg AD. The fatigue severity scal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ch Neurol. 1989;46(10):1121-3. 

  22. Jenkinson C, Layte R.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UK SF-12 (short form health survey). J Health Serv Res Policy. 1997;2(1):14-8. 

  23. Choi J, Park S. A Clinical Study of Sleep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ournal of Sasang constution Medicine. 2003;15(3):204-15. 

  24. Lee SK, Yoon DW, Yi H, Lee SW, Kim JY, et al. Tae-eum type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obstructive sleep apnea.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910382. 

  25. Lee HB, Han YR, Han SY, Kim YI, Son K, et al. Systematic Review on the Sasang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Symptoms of Sleep.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5;26(4):337-48. 

  26. Hyun MY. Yangseng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Sasang constutition of University students.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2005. 

  27. Kim JS, Sok SR. A study on Yangsaeng (health management) of Korean older adults by 4 constitution types. Holist Nurs Pract. 2012;26(6):317-25. 

  28. Ko YS, You SE. Comparisons of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mong Sasang types with and without body mass index as a covariate. Integr Med Res. 2015;4(1):41-7. 

  29. Lee JM. Dongui-Susebowon Sasang Chobongwon. Paju; South Korea: Jipmundang; 2005. 

  30. Lee SO, Ahn SH, Kim MO. A Study on Women's Fatigue and Sleeping Disturbance.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5;11(2):163-8. 

  31. Kim JA, Kang SW.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Heart Rate Varia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1):87-97. 

  32. Son C. Review of the Prevalence of Chronic Fatigue Worldwid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12;33(2):25-33. 

  33. Kim CH, Shin HC, Won CW. Prevalence of chronic fatigue and chronic fatigue syndrome in Korea: community-based primary care study. J Korean Med Sci. 2005;20(4):529-34. 

  34.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ow's Life? ; 2017. http://www.oecd.org/statistics/how-s-life-23089679.htm 

  35. Kara N. Effect of Sleep Quality on Psychiatric Symptoms and Life Quality in Newspaper Couriers. Noro Psikiyatr Ars. 2016;53(2):102-7. 

  36. Bani-Issa W, Al-Shujairi AM, Patrick L.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type 2. J Clin Nurs. 2018;27(7-8):1653-61. 

  37. Sezgin M, Hasanefendioglu EZ, Sungur MA, Incel NA, Cimen OB, et al.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cross-sectional study assesing its relations with pain,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2015;28(3):4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