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n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32 no.1, 2020년, pp.39 - 43  

Kil, SoRa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eongju University) ,  Son, SungM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eongju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fluences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Methods: To elucidate the sam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level' and 'func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was performed. Thirty-three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행 연구들에 서는 재활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나 재활 동기에 따라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 10미터 보행검사, 기능적팔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ing test; FRT)와 같은 기능적 수행능력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동기 수준과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 정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재활 동기가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4주차, 8주차, 12주차 기간 동안 BBS, 10MWT 및 FRT와 같은 기능적 수행능력을 측정하였고, 재활 기간 동안 이러한 기능적 수행능력의 변화가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 기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는 4주차와 8주차의 BBS의 기능적 변화량1 에서는 재활 동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10MWT와 FRT에서는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가설 설정

  • 둘째,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기능적 수행능력만을 평가하여 보행과 균형의 질적 변화 등의 변화는 평가하지 못하였다. 셋째, 대상자들의 발병 기간이 2년 이내의 환자들로 실시하여 발병 기간이 2년 넘은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는 일반화 시킬 수 없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떤 문제를 동반하는가? 1%가 감소하였으나 암, 심장질환에 이어 여전히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다.1 WHO는 전 세계적으로 6명 중 1명이 생애 주기 중 뇌졸중을 경험할 것이라고 하였고,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중의 10%만이 완전히 회복되며, 15-20%는 약간의 장애를 겪게 되고 나머지 70-75%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손상된 뇌의 부위에 따라 편 마비를 비롯하여 운동장애, 감각장애, 보행 장애, 일상생활동작, 통증, 정서장애 등의 문제를 동반하게 된다.2
뇌졸중 환자의 재활은 어떤 과정이라 볼 수 있는가? 이런 다양한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는 초기부터 빠른 일상복귀를 위한 앉기, 걷기 등의 체계적인 재활이 중요하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은 신체적 기능장애의 회복 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도록 두 가지의 요인을 만족시킬 수있는 포괄적 중재가 요구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3 재활의 모든 단계에 있어 의료인의 역할 뿐만 아니라 환자 스스로의 참여가 재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변화의 핵심요소인 동기와 능력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4
뇌졸중 환자의 재활 동기 수준과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 정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재활 동기가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인 근거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 보면 김다혜7 는 재활 수행능력과 재활동기와의 상관관계가 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적을수록 재활동기가 높다는 결과를 설명하였으며,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가 가족지지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8 에서는 재활동기와 가족지지. 재활이행, 자기 효능감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다양한 역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9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10 뇌졸중 환자의 우울, 가족 지지. 의료인 지지가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11등에서 재활동기와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에 서는 재활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나 재활 동기에 따라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 10미터 보행검사, 기능적팔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ing test; FRT)와 같은 기능적 수행능력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동기 수준과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 정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재활 동기가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KOSIS 

  2. Im JH, Lee KS, Kim KY, et al. Follow-up study on mortality in Korean stroke patients. J Korean Med Assoc, 2011;54(11):1199-208 

  3. Hong MS, Yom YH, Kim GM, et al. The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AON, 2012;12(4):247-56 

  4. Yeo HN. Effects of a group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stroke patients on their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J Korean Clin Nurs Res, 2012;18(3): 424-34 

  5. Maclean N, Pound P, Wolfe C, et al.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atient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BMJ, 2000;321(7268):1051-4 

  6. Park YS. Implementation of conifer somatic embryogenesis in clonal forestry: technical requirements and deployment considerations, Ann. For. Sci, 2002;59:651-6 

  7. Kim DH, Oh MH, Jung HA, et al. The relationships among ADL,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JKSOT, 2013; 21(4):59-69 

  8. Park AS, Ko E. Influence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n rehabilitation adherence in stroke patients. J Korean Biol Nurs Sci, 2017;19(2):113-22 

  9. Lee DY, Lee MS, Na BJ, et al. Related factors of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PTK,2006;13(1):16-23 

  10. Kim HS, The impacts of stroke patients'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quality of life, KAOT, 2009;17(3):41-53 

  11. Kim SY, Kin IN. Factors Convergent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Stroke Patients. J Digit Converg, 2017 ;15(9):375-84 

  12. Han HS, Lim NY. On the Tes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sabled's motivation scale for rehabilitation. Korean J Rehabil Nurs, 2002;5(2):124-33 

  13. Dobkin B,.Apple D, Barbeau H, et al. Weight-supported treadmill vs overground training for walking after acute incomplete SCI. Neurology,2006;66:484-93 

  14. Muir S, Berg K, Chesworth B, et al. Use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predicting multiple fall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a prospective study. APTA,2008;88(4):449-59 

  15. Lee SW, Lee HS. The effect of treadmill-based leg weight loading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Speci Edu Rehabil Sci Res,2011;50(1):89-111 

  16. Vanessa RS, Luis AG.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capacity of older women with osteosarcopenic obesity: 24-month prospective study, Eur J Clin Nutr, 2019 

  17. Ko BK, Kim HS. Relevance to reactivation levels and changes,1983;9:49-54. 

  18. An ES, Suh SR, Kim EH. Influences of self-esteem, rehabilitation motivation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with rehabilitation therapy. JKAIS, 2019; 20(3):176-8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