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선 거리에 따른 VRS와 FKP 방식의 Network RTK 사용자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VRS and FKP Network RTK User According to Baseline Length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24 no.6, 2020년, pp.540 - 548  

임철순 (세종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박병운 (세종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기선 거리에 따른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와 FKP (flächen korrektur parameter) 방식의 Network RTK (real time kinematics) 사용자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 중인 VRS 및 FKP 서비스를 통해 기선 거리 별 보정정보를 취득하여 상용 수신기에 적용한 후, RTK 수행 결과를 측정치 영역과 위치 영역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VRS의 경우, 사용자가 기선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이격 오차를 보상하지 못하므로 전반적인 RTK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FKP는 VRS와 달리 전리층 및 비전리층 오차의 구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기준국 간 측정치의 공간이격 오차를 보상하므로 기선 거리 약 130 km 수준까지는 기선 거리 증가하더라도 VRS에 비해 안정적인 RTK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150 km이상의 장기저선의 경우에는 FKP 보정정보의 성능 감소로 인해 미지정수 오결정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s of virtual reference station (VRS) and flächen korrektur parameter (FKP) based Network real time kinematics (RTK) according to baseline length were compared and analyzed. We applied the VRS and FKP corrections for each baseline length obtained from National Geog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0002431). This resear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itled 'Development of Ground-based Centimeter-level Maritime Precise PNT Technologies', fund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Unmanned Vehicles Cor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and Unmanned Vehicle Advanced Research Center(UVARC)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Republic of Korea(No.
  • 성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선 거리에 따른 Network RTK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원거리 이동체에 대한 고정밀 측위 사용자 성능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 중인 VRS 및 FKP 서비스를 통해 Network RTK 사용자로부터의 기선 거리별(약 40~350 km) Network RTK 보정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GNSS 상용 수신기에 적용함으로써 기선 거리에 따른 VRS와 FKP 방식의 Network RTK 사용자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 Rizos and S. Han, "Reference station network based RTK systems-concepts and progress," Wuhan University Journal of Natural Sciences, Vol. 8, No. 2, pp. 566-574, June, 2003. 

  2. J. S. Song, B. W. Park and C. D. Kee, "Study on generating compact Network RTK corrections considering ambiguity level adjustment among reference station networks for constructing infrastructure of land vehicle,"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ol. 17, No. 4, pp. 404-412, Aug. 2013. 

  3. B. Park, A study on reducing temporal and spatial decorrelation effect in GNSS augmentation system: Consideration of the correction message standardizatio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Feb. 2008. 

  4. G. R. Hu, H. S. Khoo, P. C. Goh and C. L. Law,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GPS virtual reference stations for RTK positioning," Journal of Geodesy, Vol. 77, No. 5-6, pp. 292-302, Aug. 2003. 

  5. RTCM Standards 10403.2, Differential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Services - Version 3, Feb. 2013. 

  6. B. Eissfeller, D. Dotterbock, D. Junker and C. Stober, Online GNSS data processing -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Internet]. Availabl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6874829_Online_GNSS_Data_Processing_-_Status_and_Future_Developments. 

  7. O. Gokdas and M. T. Ozludemir (2020, July). A variance model in NRTK-based geodetic positioning as a function of baseline length. Geosciences 2020 [Online]. 10(7), pp. 262-275. Available: https://www.mdpi.com/2076-3263/10/7/262 

  8. G. Wubbena, A. Bagge, and M. Schmitz, "RTK networks based on Geo++® GNSMART - concepts, implementation, results," in Proceeding of the 14th International Technical Meeting of the Satellite Division of The Institute of Navigation (ION GPS 2001), Salt Lake City: UT, pp. 368-378. 2001. 

  9. C. S. Lim, H. J. Yoon, A. Cho, C. S. Yoo and B. W. Park (2019, Dec.). Dyna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various GNSS receivers and positioning modes with only one flight test. Electronics 2019 [Online]. 8(12), pp. 1518-1538. Available: https://www.mdpi.com/2079-9292/8/12/1518 

  10. RACELOGIC, LabSat 3 Wideband [Internet]. Available: https://www.labsat.co.uk/index.php/en/products/labsat-3-wideband 

  11. GNSS Science Support Centre, Networked transport of RTCM via internet protocol (Ntrip) - Version 1.0 [Internet]. Available: https://gssc.esa.int/wp-content/uploads/2018/07/NtripDocumentation.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