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황측량을 위한 FKP Network RTK의 활용성 분석
The Utilization Analysis of FKP Network RTK for Site Survey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2443 - 2449  

한승희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박홍태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네트워크 RTK사용자 수의 증대에 따라 기존의 VRS(Virtual Reference station)서비스의 접속대기시간이 길어져 측량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단방향통신의 FKP(Flachen-Korrektur Parameter)기법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정확도에 대한 신뢰성 문제로 파급속도가 늦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검증을 위해 8점의 통합기준점을 검사점으로 하여 VRS와 FKP기법으로 측량한 결과를 다양하게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분석에서 VRS기법에 비해 FKP기법에 의한 표준편차${\pm}0.02m$로 약2배였으나 평균오차 X:-0.025m, Y:0.011m를 얻음으로써 현장실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현장에서의 FKP측량의 활용확대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twork RTK users has led to a longer wait time for connecting to the existing VRS service, and consequently caused inconvenience such as a longer turnaround time for surveys. To resolve such issue, the NGII has developed the FKP service that involves a one-way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VRS기법에 비해 다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분석이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좌표 오차의 비교뿐만 아니라 오차의 방향성, 반복 측정의 안정성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통합기준점상에서 VRS와 FKP기법으로 현장 측량 정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장에서의 FKP측량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활용하게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네트워크 RTK측량을 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KP기법이 VRS기법과 다른점은? FKP기법은 VRS기법과는 달리 FKPserver에서 전송하는 보정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수신하면 되므로 양방향 통신에 따른 접속의 불안정이 훨씬 낮으며 안정적으로 측량할 수 있다.국토지리정보원에서 2012년 말부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수에 대한 제한없이 정밀한 보정정보를 요구 하는 지적재조사,지도제작 및 각종 SOC건설공사 등의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VRS기법의 단점은? VRS기법은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기선거리와 상관없이 원거리에 대해서도 높은 정확도의 위치 측량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기법이다.이 기법은 네트워크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양방향통신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서버 접속자 수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네트워크 RTK측량기법은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가? 현장에서 네트워크 RTK(Real-timeKinematic)기법을 활용한 GPS측량으로 고가의 수신기,기선길이에 따른 정확도의 한계, 허용정확도 확보 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던 토털스테이션을 GPS 가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네트워크 RTK측량기법은 각 나라의 GPS인프라의 상황에 따라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FKP(Flachen- Korrektur Parameter),MAC(Master-AuxiliaryConcept)측량방식을 사용하고 있다[1-3].네트워크 RTK는 기존의 기선길이에 따라 영향을 받던 RTK와는 다르게 요구되는 기준 계에서 매우 균일하고 정확도 높은 위치결정결과를 가져다준다[1,5,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umio Usui, Hiroshi Higuchi, "Nation-Wide RTK-GPS based on FKP method and Applications for Human navigation and Location Based Services", ICM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2004 

  2. Gerhard Wubbena, Andreas Bagge, " RTCM Message Type 59-FKP for transmission of FKP", Geo++(R)White Paper Nr. 2006.01 

  3. Andreas Engfeldt," Network RTK in Northern and Central Europe,LMV-Rapport LANTMATERIET 2005:5 

  4. Volker Janssen, "A comparison of the VRS and MAC principles for network RTK", Intn'l IGNSS Symposium 2009. 

  5. Rizos C, "Network RTK research and implementation - A geodetic perspective",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1(2): 144-150, 2002. 

  6. Rizos C; Han S, 2002, 'REFERENCE STATION NETWORK BASED RTK SYSTEM- CONCEPTS & PROGRESS',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Wuhan, China, 6 - 8, 2002 

  7. Herbert Landau, Ulrich Vollath, Xiaoming Chen, Virtual Reference Stations versus Broadcast Solutions in Network RTK - Advantages and Limitations, GNSS, Graz, Austria, 2003. 

  8. Mark Petovello, "GNSS Solution -Virtual Reference Ststion", insideGNSS, pp.28-31, 2011 

  9. Usui, S., at. al., "Nation-Wide RTK-GPS Based on FKP Method and Applications for Human navigation and Location Based Servic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Vol.3, pp.1587-1590, 2004. 

  10. Yun, Hong Sic, Hwang, Jin Sang, Huang He, Song, Dong Seob, "Determination of Practical Orthimetric Height for Permanent GPS Statio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Vol.25 No.4, pp.299-307, 2007 

  11. Korea Cadastrial Survey Corp.,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for import of Global VRS and Network RTK", 2006. 

  12. Lee, Young Jin, Song, Jun Ho, Ryu, Su Hyeon, "Accuracy Analysis of Heighting Stations by National GPS/Levelling Networks in a Large Sc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Vol.12, No.2 pp.1-11, 2010. 

  13. Choi, Seung Young?Cho, Jung Gwan, "Study on acquisition of cadastral elevation value and its accuracy analysis by Spline Interpolation and GPS Lev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Vol.6, No.1, pp.267-281, 2008. 

  14. Jong Sun Hwang, Hyun-Chul Han, Shin-Chan Han, Kyong-O Kim, Jin-Ho Kim, Moo-Hee Kang, Chang Hwan Kim,"Gravity and geoid model in South Korea and its vicinity by spherical cap harmonic analysis", Journal of Geodynamics,Volume 53, pp.27-33, 2012 DOI: http://dx.doi.org/10.1016/j.jog.2011.08.001 

  15. http://nbns.ngii.go.kr/gcp2/jsp/main/main.j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