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30대 남녀의 결혼제도 인식과 결혼의향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4 no.1, 2020년, pp.1 - 19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e data came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of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e sample data set included 292 men and women aged 20 to 39.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에 대한 태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또 결혼을 통해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것을 당연시하였으나 최근에는 결혼 제도가 개인의 삶에서 반드시 해야 하는 과업이기보다 선택으로 고려되기도 한다(김예리, 2009). 즉, 결혼이라는 제도에 대하여 ʻ반드시 해야 한다ʼ는 필수나 의무가 아닌 개인이 선택하는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 다양한 여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ʻ반드시 하지 않아도 된다ʼ 라는 의식과 태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조지영, 2011).
결혼에 대한 인식이 다양화되는 주요기재는? 즉, 사회 전반에 흐르는 결혼인식의 변화와 별개로 개인의 결혼의향이 다를 수 있다. 이처럼 결혼에 대한 인식이 개인에 따라 전통과 현대적 특징 사이에서 분화되고 다양화되는 주요 기재로 개인의 성별이나 연령, 소득 등에 주목하고 있다(김혜영·김상돈·박선애, 2012).
성별에 따른 결혼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우리 사회에서 결혼에 대한 인식은 산업화 이후 급격하게 변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변화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두드러진다. 통계청이 발표한 ʻ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ʼ 자료에 의하면 ʻ결혼을 해야 한다ʼ고 답한 여성의 비율은 2018년 43.5%로, 남성의 52.8%에 비해 9.3%포인트 낮았다. 이 수치는 조사가 처음으로 시작된 1998년에 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2. 김경신(2010). 가족학 실천영역 연구의 발전과정과 그 방향 탐색. 생활과학연구, 20, 114-127. 

  3. 김경옥(2004). 유아의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K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영미(2012).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분석. 사회보장연구, 28(2), 211-241. 

  5. 김예리(2009).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 남녀의 결혼관과 관련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은정(2018). 미혼 여성의 일반적 특성, 결혼 가치관과 성역할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4), 1291-1306. 

  7. 김정석(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8. 김중백(2013). 미혼 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39(1), 1-24. 

  9.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25. 

  10. 김혜영.김상돈.박선애(2012).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1. 김희자(2008). 서구의 가족법.가족정책의 변화와 포스트모던 가족 모형. 경제와 사회, 78, 194-222. 

  12. 박경숙.김영혜.김현숙(2005).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28, 33-62. 

  13. 박주희(2017). 취업미혼남녀의 결혼지원정책 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및 수도권 결혼적령기 취업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1-15. 

  14. 박지수.이재림(2016).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청년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62-263. 

  15. 변수정.박종서.오신휘.김혜영(2017). 다양한 가족의 제도적 수용성 제고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6. 백경숙.김효숙(2013).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와 가족기능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3), 205-233. 

  17. 서수경(2002). 서구의 ?포스트모던 가족?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19-37. 

  18. 서지희(2009). 미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생활양식이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동거 여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오지혜.임정재(2016). 한국 미혼 남녀의 결혼시기와 결혼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50(5), 203-245. 

  20. 유홍준.현성민(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21. 윤자영(2012). 성장 중심 경제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과 지속 가능한 발전. 여성학논집, 29(1), 217-246. 

  22. 이삼식(2005). 저출산시대 인구정책의 기본방향. 보건복지포럼, 102, 7-15. 

  23.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38. 

  24. 이소영(2011). 세대 간 자산이전 측면에서 연령대에 따른 결혼시 주거자금 마련 변화추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4), 205-216. 

  25. 이수진(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5(1), 131-156. 

  26. 이윤주(2017). 연령, 시기, 코호트로 본 1998-2014년까지의 결혼에 대한 태도의 변화: 만혼화 및 저출산에의 함의.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7-62. 

  27. 임선영.박주희(2014).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28. 장경섭(2009). 가족, 생애, 정치경제: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서울: 창비. 

  29. 정선아(2016). 성인 미혼남녀의 성역할태도와 부모의 부부관계 지각에 따른 결혼가치관과 결혼의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지영(2011). 저출산 사회 미혼자의 결혼관.자녀관 경향과 결혼-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32. 진미정.한준.노신애(2019).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 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가족과 문화, 31(1), 166-188. 

  33. 채민진(2019). 한국 2,30대 남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인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새은(2003). 30대 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최소영.장진경(2016). 성인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성역할인식의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2), 181-195. 

  36. 최효미(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9-55. 

  37. 하보란(2012). 미혼여성의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한겨레신문(2019. 07. 11) ''결혼해야'' 여성의 43.5% 불과...미혼 여성 가구주 2000년보다 2.6배 $\uparrow$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99984.html#csidxb507b217f3deb04ae0d70bc4801c6f4 

  39. 한영선(2015). 미혼 취업여성의 일자리 특성과 부모의 경제적 자원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5년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6-215. 

  40. 홍은영(2011). 미혼성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Becker, G.(199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2. Oppenheimer, V.(1997). Women's employment and the gains to marriage: 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431-453. 

  43. Sassler, S. and Schoen, R. (1999) ''The Effects of Attitudes and Economic Activity o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147-159. 

  44. Shostak A. (1987), ''Singlehood'' in M. Sussman & S. Steinmetz (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 355-368) New York: Plen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