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규직 고용률과 여성 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Non-regular and Female Employment Rate on Total Fertility Rate(TFR) in OECD Countr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15 - 23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  박진백 (한국감정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정규직 고용률과 여성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를 동태패널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산율은 전년도 출산율이 높을수록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임시직 고용률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하락하는 반면, 여성고용률이 개선되는 것은 출산율을 높이는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높은 경제성장률은 개인이 직면하게 되는 소득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아질 수 있는 반면, 주택 임대료가 증가하는 것은 출산율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어 주거비부담과 출산간 경합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출산 국가들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년도 출산율과 임대료 수준의 영향만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저출산 국가에서는 임시직 고용률이나 여성 고용률, 경제성장률이 출산율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출산율 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이 저출산 국가는 임시직 고용률을 낮추면서 정규직 비율을 높이고, 여성의 고용률을 높이는 것과 같은 노동정책 개선이 출산율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책적 방향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non-regular employment rate and female employment rate on fertility rate in OECD county. We adopted dynamic panel model after classifying OECD county to high and low fertility rat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non regular employment rate, th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웨덴, 네덜란드)에서 근로시간만 짧을 뿐 지속고용이 보장되는 정규직 형태의 일자리가 많고[14], 자영업의 경우는 2008년부터 시행중인 ‘유럽의 소기업법’ 정책, 통상적으로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임금근로자보다 자율성이 높고, 업무유연성이 높기 때문에[15] 우리나라에서 고용시장에서 밀려난 취약계층으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순수하게 비정규직이라고 볼 수 있는 임시직의 자료만 활용하고자 한다.
  • 특히, 출산은 출산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뿐만 아니라 출산 이후 육아, 보육,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수준까지 고려할 때 고용이 불안정한 사람은 고용이 안정된사람에 비해 기피할 유인이 크다. 본 연구는 2005~2016 년까지 OECD 30개국의 불균형 패널데이터를 통해 이와 같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5~2016년까지 OECD 30개국을 대상으로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결정요인으로 노동시장의 고용구조로 비정규직 고용률, 여성고용률, 거시경제적 환경으로 경제성장률,
  • 91%p 증가하여 고용상황이 소폭 악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불안정적인 고용상황이 다양한 경제적 의사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히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본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와 같이 임시직 고용률이 높은 국가는 출산율이 고용구조에서 이미 저출산을 야기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비정규직 고용률과 여성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출산율이 시계열상관성을 가질 가능성을 통제하기 위해 동태패널모형인 시스템적률법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비정규직 일자리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비정규직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한시적으로 근로관계를 계약하여 운영하는 고용형태로 기업이 경제환경의 변화나 수요의 불확실성에 따라 고용을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운영하여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 . 본 연구는 시스템 적률법(System GMM)에 의한 동태패널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모형내 발생할 수 있는 변수간의 내생적 관계를 통제하여 일치추정량을 얻는 분석전략을 채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와같이 주요 노동시장 지표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칠 유인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가정양립 정책 전달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노동 시장 지표로 비정규직 고용률과 여성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 서는 이러한 노동시장 지표와 출산율의 관계성이 국내의 국한한 특수한 문제가 아니라 최근 선진국의 대분의 국가에서 겪고 있는 공통된 문제라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OECD 국가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종속변수인 합계출산율은 가임기 여성이 평생 동안 출산할 수 있는 자녀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시계열간 단절된 변수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년도 합계출산율이 높을 경우 다음 해합계출산율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회귀분석모형을 다음과 같이 전년도 합계출산율이 포함된 모형을 구성하고자 한다.
  • 경제성장률은 세계은행의 WDI(World Development Indicator)에서 제공하고 있는 경제성장률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변수는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여건 개선, 소비력 증대는 출산 높일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포함하였다. 임대료 수준은 OECD에서 제공하는 임대료 가격지수에 로그를 취한 값을 활용하도록 한다.
  • 본 연구는 출산율이 높은 국가는 여성의 고용수준이 높으면서 출산친화적인 사회일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OECD 평균수준을 출산율의 높고 낮은 수준의 기준으로 설정하여 합계출산율이 OECD 평균보다 높은 국가를 고출산 국가, 합계출산율이 OECD 평균보다 낮은 국가를 저출산 국가로 분석 자료를 제한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설정으로 도출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와 같이 저출산국면에 접어든 국가에서 추구해야하는 정책적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즉, 가능한 모든 취업자가 차별 없이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의일·가정 양립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이와같이 주요 노동시장 지표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칠 유인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가정양립 정책 전달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노동 시장 지표로 비정규직 고용률과 여성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 서는 이러한 노동시장 지표와 출산율의 관계성이 국내의 국한한 특수한 문제가 아니라 최근 선진국의 대분의 국가에서 겪고 있는 공통된 문제라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OECD 국가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시계열 상관성 검정의 귀무가설은 “시계열 상관성이 없다”로 본 연구의 모형설정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AR1의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AR2는 귀무가설을 채택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Korean population trend survey: 2018 provisional statistis of death and fertility, 2019 

  2. The Korea Economic Daily(2014. 6.30),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4063055091 

  3.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olicies 2015: Highlights, 2018. 

  4. O. Thevenon, "Decreasing fertility in Europe: is it a policy issue?" Population Change in Europe, the Middle-East and North Africa. Routledge, pp. 101-136. 2016. 

  5. J. R. Goldstein, T. Sobotka, A. Jasilionience, "The end of lowest-low fertility?" Populationa and Development Review, Vol. 35, No. 4, pp. 663-699, 2009. 

  6. J. Bongaarts, and T. Sobotka. "A demographic explanation for the recent rise in European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 38, No. 2, pp. 83-120, 2012. https://doi.org/10.1111/j.1728-4457.2012.00473.x 

  7. H. I Safa, The myth of the male breadwinner: Women and industrialization in the Caribbean. Routledge, 2018. 

  8. J. Park, and J. Lee, "Housing price and birth rate under economic fluctuation: Evidence from 19 OECD countire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 10, No. 3, pp. 51-69, 2016. UCI : G704-SER000002260.2016.10.3.003 

  9. M. Rendall, A. DeRose, A. Evans, E. Gray, D. Hanappi, F. Kreuter, and L. Toulemon, "Employment impacts on partnership and parenthood entry in different family-policy regimes" European Population Conference. 2014. 

  10. Statistics Korea, 2019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dditional survey by type of employment. 

  11. Pressian(2020. 3. 17),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280372&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12. A. Adsera, Alicia, "The interplay of employment uncertainty and education in explaining second births in Europe" Demographic Research Vol. 25, No. 16 pp.513-544, 2011. https://doi.org/10.4054/DemRes.2011.25.16 

  13. S. De la Rica, and A. Iza. "Career planning in Spain: Do fixed-term contracts delay marriage and parenthood?",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Vol. 3, No. 1, pp. 49-73, 2005. https://doi.org/10.1007/1-4020-4716-9_6 

  14. H. Choi, Part-time employment and women's working model across the life span,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Trade, 2015. 

  15. J. Lee and J. Park, "The chang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ssue in 6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ssue Report, Vol. 10, No. 3, pp. 6-16, 2016. 

  16. J. M. Wooldridge,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2nd ed.), MIT press. 

  17. C. Han, Panel data analysis, Pakyoungsa. 

  18. J. Park, "The tax policy and the housing market", 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 Vol. 20, No. 3, pp. 57-83, 2018. https://doi.org/10.37103/KAPP.20.3.3 

  19. N. Ahn and P. Mira. "A Note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Vol. 15, No. 4, pp. 667-682, 2018. https://doi.org/10.1007/s001480100078 

  20. R. R. Rindfuss, Guzzo, K. B., and S. P. Morgan. 2003. "The Changing institutional context of low fertility",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Vol. 22, No.5-6, pp. 411-438, 2003. https://doi.org/10.1023/B:POPU.0000020877.96401.b3 

  21. J. Mincer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H. G. Lewis, ed., Aspects of Labor Economic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22. G. S. Becker,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Vol. 75, No.299, pp. 493-517, 1965. 

  23. J. F. Ermisch, "Purchased child care, optimal family size and mother's employment theory and econometric analysi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Vol. 2. NO. 2 pp. 79-102, 1989. https://doi.org/10.1007/BF00522403 

  24. K. Hudson, "The new labor market segmentation: Labor market dualism in the new economy", Social science research, Vol. 36, No. 1, pp. 286-312, 2007.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5.11.005 

  25. J. Lee, N. Do, and Eom (2018). strategies for fostering childbirth and childcare friendly workspaces and societies: Solutions to expand social coverage for work family balance policies, KICCE. 

  26. Y. Jung "A study on the policy effects of child care leave: Focusing on the childbirth",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4, No. 4. pp. 145-154, 2018. https://doi.org/10.17703/JCCT.2018.4.4.145 

  27. J. Lee, and K. J. Kim, "The influence of children's elementary school entrance on working conditions of employed moth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9 No. 12, pp. 647-659.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12.6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