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집적지의 위기와 회복 가능성: 동대문 패션산업 생산네트워크와 공간적 특성
A Hint of Crisis Resilience of Industrial Agglomeration: The Production Network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ongdaemun Fashion Industry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3 no.1, 2020년, pp.18 - 34  

정선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위기의 원인을 포착하고 해결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그 공간적 범위를 획정하고 가치사슬 및 생산네트워크의 형태, 집적지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공간적 범위는 동대문시장의 확장과 생산 배후지역의 확산을 통해 기존 연구 결과와 달리 동대문시장을 중심으로 서울 동북부지역에 넓게 분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동대문 패션산업에서는 임가공방식의 생산방식을 채택하여 가치사슬의 각 단계가 발주업체인 도매업체를 중심으로 분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생산네트워크는 방사형 네트워크 형태로, 생산네트워크 간의 경쟁관계와 이를 반영한 생산 과정을 통해 개별 수준의 방사형 네트워크 특성이 전체적으로도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는 이를 하나의 전체로서 바라본 기존 연구 결과와 달리 생산네트워크의 형태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절되어 있는 분절된 산업집적지라고 볼 수 있다. 최근의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위기는 수요 감소라는 외부 충격에 취약한 방사형 네트워크의 위상구조적 문제이자 내재적 문제로 해결 방향도 그에 따라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서울시의 동대문 패션산업 연구 의 한계나 오류를 일정 부분 극복함과 동시에 현재 위기를 겪고 있는 산업집적지를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산업집적지 연구를 확대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ongdaemun fashion industry once thrived in Seoul, now in a rapid decline.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themes are put forward. That is, to fix the boundary of Dongdaemun fashion indust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ts value chain, production network and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량생산방식이란 무엇인가? 그 어느 때보다도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기존의 대량생산방식대신 생산의 외부 화를 도모하게 되었다. 대량생산방식이란 기업이 생산설비에 대규모로 투자하여5)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내부화된 생산방식을 말하는데, 이때 기술 측면에서는 생산과정의 기계화․자동화와 생산단계별 특화, 수요 측 면에서는 대량수요시장에 대한 예상을 전제한다. 이러한 대량생산방식은 수요가 충분할 경우 손익분기점만 넘으 면 이익이 급속히 늘어나지만, 수요가 감소할 경우 고정비 용의 비중이 높아 생산량을 줄여도 생산원가를 줄이기 힘 들어 기업의 존속이 위태로울 정도로 큰 손실을 입게 된다.
대량생산방식의 장단점은? 대량생산방식이란 기업이 생산설비에 대규모로 투자하여5)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내부화된 생산방식을 말하는데, 이때 기술 측면에서는 생산과정의 기계화․자동화와 생산단계별 특화, 수요 측 면에서는 대량수요시장에 대한 예상을 전제한다. 이러한 대량생산방식은 수요가 충분할 경우 손익분기점만 넘으 면 이익이 급속히 늘어나지만, 수요가 감소할 경우 고정비 용의 비중이 높아 생산량을 줄여도 생산원가를 줄이기 힘 들어 기업의 존속이 위태로울 정도로 큰 손실을 입게 된다. 수요급감과 경기불황 상황에서 당시 기업들이 선택한 방 법이 생산의 외부화, 즉 아웃소싱인 것이다.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가 지금 쇠퇴하고 있는 이유는? 대표적으로 한때는 ‘불이 꺼지지 않는’(서울역사박물 관 조사연구과, 2011) 생산지역으로 각광을 받았던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가 현재 급속한 쇠퇴의 징후를 보이고 있다.1) 내수와 수출 부진으로 인한 전반적인 경기침체, 중국산 저가의류의 시장 범람, 해외 및 국내 패스트 패션2) 브랜드의 시장 진출, 인건비와 임대료 상승 등 산업 내․외 부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시장경기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대안 부족으로 점차 경쟁력이 떨어져 매출이 감소되는 등 동대문 패션산업은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그 결과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생산 기반 붕괴 위험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강우원, 1996, "서울 도심부 제조업의 입지특성 연구," 서울학연구 7, pp.191-224. 

  2. 강현수, 1998, "대도시 도시형 소규모 제조업체의 입지 특성 및 육성.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공간과 환경 10, pp. 59-100. 

  3. 강현주, 2007, "동대문, '패션특별시, 서울'을 꿈꾸다," 서울경제, pp.36-71. 

  4. 김광선, 2000, "학습지역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연구: 동대문시장 지역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13, pp.94-126. 

  5. 김석용, 1996, "신제도학파적 기업이론과 기업간 네트워크이론의 고찰," 경영학연구 25(1), pp.107-152. 

  6. 김양희.신용남, 2000, 재래시장에서 패션네트워크로: 상인과 연구원이 말하는 동대문시장의 겉과 속, 삼성경제연구소. 

  7. 김용창, 1997, "서울시 토지이용에서 위치이용의 지역적 특성과 도심부 소규모사업장의 존재양식," 지리학논총 별호 22, pp.1-199. 

  8. 김용창, 1998, "소기업 네트워크 생산체계의 사회경제적 의의," 공간과 사회 10, pp.28-58. 

  9. 김용창.이후빈, 2012, "개성이 뚜렷한 도심부 시장의 사회경제지리," 한국공간환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3), pp.187-201. 

  10. 김용창.이후빈.권규상, 2013, "집적경제 요소로서 장소기반 신용이점: 서울 도심부 중부시장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7(2), pp.183-200. 

  11. 김은영, 2006, "지역 중소기업의 거래 네트워크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연구 7, pp.73-104. 

  12. 김종광, 2012, 광장시장 이야기: 우리나라 최초의 사설 상설 시장 광장시장의 100년사!, 샘터. 

  13. 김지윤, 2015, "'봉제마을' 창신동: 도시재생과 산업재생의 엇박자,"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pp.125-157. 

  14. 남기범, 2001, "문화산업의 집적화와 시너지효과에 대한 시론," 남기범 외, 도시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산업, 삼우사. 

  15. 남기범, 2003, "신산업집적지 발전의 두 유형: 동대문시장과 서울벤처벨리의 산업집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제도화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pp.45-60. 

  16. 박혜령.박미령, 2002, "동대문 의류시장의 설립연도와 판매 방식의 차이에 따른 전자상거래 현황," 패션 비즈니스 6(5), pp.125-135. 

  17. 박 훈, 2017, 동대문 패션시장 구조고도화 전략, 산업연구원. 

  18.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편], 2011, (불이 꺼지지 않는 패션 아이콘) 동대문 시장, 서울역사박물관. 

  19. 신용남.송병렬.정상민, 2014, 동대문 백서 2014, (사)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협의회. 

  20. 안영실.김희선, 2018, "K-패션 활성화를 위한 국내 패션브랜드의 의류생산방식 고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0(3), pp.115-128. 

  21. 양재섭, 2015, "서울시 산업 및 특정개발진흥지구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184, pp.1-22. 

  22. 유재윤, 2002, "서울 동대문시장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도시문제 37(399), pp.63-71. 

  23. 유지연.이금숙, 2013, "패션제조업의 분포 특성과 직능 간 연계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1-16. 

  24. 이상곤.이우관.곽만순, 2002, 동대문시장: 성공의 경제학, 이슈투데이. 

  25. 이상욱.김경민, 2014, "서울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 465-481. 

  26. 이승철, 2007, "전환경제하의 해외직접투자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대베트남 한국 섬유,의류산업 외직접투자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2), pp.93-115. 

  27. 이영훈, 2004, "동대문시장의 경제사적 메시지," 경제논집 43(1-2), pp.103-129. 

  28. 이용숙, 2006, "세계화 시대의 지역경제 발전: 클러스터론과 세계생산네트워크론의 비교," 경제와 사회 69, pp. 227-310. 

  29. 이우관, 2001, "거래비용 관점에서 분석한 동대문 패션산업의 거래조정양식," 산업조직연구 9(3), pp.173-206. 

  30. 이은경, 2011,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의 프로세스 혁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3), pp.641-651. 

  31. 이재열, 2016,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의 진화: 기업 및 산업 중심 거버넌스 분석을 넘어서," 대한지리학회지 51(5), pp.667-690. 

  32. 이형진.천종숙, 2008, "국내 섬유산업의 공급망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357-1363. 

  33. 장미진.양승우, 2015, "서울시 창신동 봉제공장 산업생태계의 공간적 특성: 종로구 창신 1,2,3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16(2), pp.5-16. 

  34. 장미진.양승우, 2016, "봉제공장 산업생태계의 협력관계와 공간적 특성연구: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1(4), pp.93-104. 

  35. 장승권, 2001, "혁신공간으로서의 클러스터에 관한 분석: 동대문 패션클러스터 사례를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15(2), pp.121-145. 

  36. 장은영, 2008, (성공적인 패션비즈니스를 위한)패션유통과 마케팅, 교학연구사. 

  37. 전명숙.이상민, 2010, "중소기업간 수평적 네트워크와 인적자원개발전략: 서울 동대문 의류 클러스터 및 성수동 신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8(2), pp. 133-157. 

  38. 주은선, 1999, "평화시장 근처의 의류 생산 네트워크와 지역 노동자의 경제생활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13, pp.245-283. 

  39. 진양교, 2001, "서편제신화의 이면: 동대문시장의 공간르포," 이상건축 106, pp.145-148. 

  40. 추호정, 2007, "동대문시장의 구매자-공급자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대문 패션 점포의 구매자적 시각을 중심으로," 마케팅 41(6), pp.63-67. 

  41. 통계청, 2017, 봉제업체실태조사 2017년 정기통계품질진단 결과보고서, 통계청. 

  42. 하지태.최영림, 2016, "동대문 패션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원데이 샘플 시스템 플랫폼 개발," 패션정보와 기술 13, pp.42-50. 

  43. 한구영, 2017, 클러스터의 진화: 동대문시장 패션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환경계획학과) 박사논문. 

  44. 한국의류산업협회, 2013, 국내 의류제조 실태조사 및 지원정책 개발. 

  45. 한국의류산업협회, 2015, 봉제업체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46. 홍병숙.이은진, 2007, "동대문 패션시장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통한 유통 활성화 정책 연구," 유통연구 12(5), pp. 153-174. 

  47. 홍인숙.정은숙, 2005,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과 주거래 공급 사슬 특성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2), pp.307-317. 

  48. Amin, A. (1997). "Interactive governance and social complexity," in Amin, A. and Hausner, J.(eds.), Beyond Market and Hierarchy: Interactive Governance and Social Complexity,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49. Asheim, B. T. and Isaksen, A., 200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integration of local 'sticky' and global 'ubiquitous' knowledge,"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1), pp. 77-86. 

  50. Bala, V. and Goyal, S., 2000, "A noncooperative model of network formation," Econometrica 68(5), pp.1181-1229. 

  51. Crouch, C., Gales, P. L., Trigilia, C. and Voelzkow, H., 2001, Local Production Systems in Europe: Rise or Demise?, OUP Catalogue. 

  52. Crouch, C., Gales, P. L., Trigilia, C. and Voelzkow, H., 2004, Changing Governance of Local Economies: Responses of European Local Produc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on Demand. 

  53. D'Andrea, G. and Arnold, D., 2002, Case Study: Zara,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54. Dicken, P., 2004, "Geographers and 'globalization' : (yet) another missed boat?,"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9(1), pp.5-26. 

  55. Doeringer, P. B. and Terkla, D. G., 1995, "Business strategy and cross-industry clusters,"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9(3), pp.225-237. 

  56. Ernst, D., Guerrieri, P., Iammarino, S. and Pietrobelli, C., 2001, "New Challenges for Industrial Clusters: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Knowledge Diffusion," in Guerrieri, P., Iammarino, S. and Pietrobelli, C.(eds.), The Global Challenge to Industrial Districts, Cheltenham, UK: Edward Elgar, pp.131-144. 

  57. Gereffi, G., 1999,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ial upgrading in the apparel commodity chai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48(1), pp.37-70. 

  58. Gereffi, G., Humphrey, J. and Sturgeon, T., 2005, "The governance of global value chains,"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2(1), pp.78-104. 

  59. Gereffi, G. and Korzeniewicz, M.(eds.), 1994, Commodity Chains and Global Capitalism, Praeger, Westport. 

  60. Hopkins, T. K. and Wallerstein, I., 1986, "Commodity chains in the world-economy prior to 1800," Review(Fernand Braudel Center) 10(1), pp.157-170. 

  61. Hopkins, T. K. and Wallerstein, I., 1994, "Commodity chains in the capitalist world-economy," in Gereffi, G. and Korzeniewicz, M.(eds.), Commodity Chains and Global Capitalism, Praeger, Westport, pp.17-50. 

  62. Moreno, J. L.,1934, Who Shall Survive?: A New Approach to the Problem of Human Interrelations, Nervous and Mental Disease Publishing Company. 

  63. Piore, M. J. and Sabel, C. F., 1984,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Possibilities for Prosperity, New York: Basic Books. 

  64. Porter, M. E., 1985, Competitive Advantage, New York: Free Press. 

  65.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76(6), pp.77-90. 

  66. Quigley, J. M., 1998, "Urban diversity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2(2), pp.127-138. 

  67. Rabellotti, R. and Schmitz, H., 1999, "The internal heterogeneity of industrial districts in Italy, Brazil and Mexico," Regional Studies 33(2), pp.97-108. 

  68. Rosenfeld, S. A., 1997, "Bringing business clusters into the mainstream of economic development," European Planning Studies 5(1), pp.3-23. 

  69. Rosenthal, S. S. and Strange, W. C., 2003, "Geography, industrial organization, and agglomera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5(2), pp.377-393. 

  70. Scott, A. J., 2000, The Cultural Economy of Cities: Essays on the Geography of Image-producing Industries, Sage. 

  71. Simmie, J., Sennett, J., Wood, P. and Hart, D., 2002, "Innovation in Europe: a tale of networks, knowledge and trade in five cities," Regional Studies 36(1), pp.47-64. 

  72. Smith, H. L., 2001, The role of institutions and power relations in local high-tech economic development: Evidence from Oxfordshire, Working Paper 01-03, Centre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Coventry University. 

  73. Smith, A., Rainnie, A., Dunford, M., Hardy, J., Hudson, R. and Sadler, D., 2002, "Networks of value, commodities and regions: Reworking divisions of labour in macro-regional econom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6(1), pp.41-63. 

  74. Talbot, J. M., 2009,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tropical commodity chain analysis," in Bair, J.(ed.), Frontiers of Commodity Chain Research, Palo Alto: Stanford University Press, pp.93-109. 

  75. Thrift, N., 2000, Pandora's box? Cultural geographies of economies, The Oxford handbook of Economic Geography. 

  76. Wallerstein, I., 1974, The Modern World System, New York: Academic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