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초등학생의 공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STEAM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Development of Fine Dust STEAM Program for Enhancing Engineer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2, 2020년, pp.14 - 23  

권해연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변문경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model and the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STEAM education program with the theme of eliminating smog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learn and apply the convergence knowledge of science, tech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여 프로그램의 성패를 좌우하는 열쇠는 결국 교사 개인의 역량에 달려 있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최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사용을 보완하며본 프로그램 개발을 마무리 하였다.
  • 프로그램은 미세먼지의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 연관된 빅데이터를 살펴보는 과정, 도표를 통해 습도와 미세먼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하였다. 또한 초시계와 아두이노센서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수치 비교를 하여 효과적인 미세먼지 제거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는 수학적 지식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발견한 지식을 알고리즘화 하여 학생들이 미세먼지 제거 방법을 구현하고, 최종적으로 보고서를 완성하고, 이에 기반한 PPT를 제작하여 발표하도록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기본 지식과 개념과 창의성을 강화할 수 있는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본프로그램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유의미한 경험을 강화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전문가들의 평가와 피드백을 받아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발전시켰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요즘 가장 떠오르는 사회적 이슈를 실생활과 연결지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동시에 학생들에게 융합적 지식을 사용하여 문제해결을 시도하도록 한 점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 본 연구자는 중국 문화에 맞는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중국 국내외적인 선행연구와 정책을 바탕으로 하였다. ‘2017년 중국 초등학교 의무교육 과학 커리큘럼 규준'을 바탕으로 새로 추가된 기술과 공학 교육을 강화하고 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 의식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과 학습자 평가 방식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리하였다.
  • 교과간 개념적 지식은 연결하여 새로운 지식(창의적 지식)을 창출할 수 있을 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최인수, 2000). 본 프로그램은 중국 초등학생들의 지식수준과 중국 교육정책이 지향하는 주요 핵심 요소들을 포함하여 개발되었다. 이후 연구자들은 중국 학회 및 중국 교수자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중국에서의 활용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 미세먼지가 기침을 일으키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체의 비강, 기관지, 페 및 혈관을 소개하며 학생들이 인체의 호흡기계통을 공부하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콧물, 기침, 면역 세포 등이 작용하는 방식을 소개한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준비한 동영상과 인체호흡기계통의 교구 등의 인지 도구를 통해 위의 지식을 구조화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초등학생의 공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STEAM 프로그램 개발의 전 과정을 살펴보고, 중국 실정에 맞는 STEAM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 ‘2017년 중국 초등학교 의무교육 과학 커리큘럼 규준'을 바탕으로 새로 추가된 기술과 공학 교육을 강화하고 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 의식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과 학습자 평가 방식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리하였다. 이후 한국과학창의재단의 STEAM 교육 준거 틀(박현주 외, 2012)에 맞춰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 (NGSS)에서 제안한 루브릭을 적용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중국 학생들이 가장 큰 환경문제로 여기는 미세먼지를 주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3) 학생의 지식의 구성을 도와야 한다. 성공적인 학습자는 의미 있는 방법으로 현존하는 지식을 새로운 지식과 연결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국가의 경쟁력 강화의 핵심은 무엇인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국가의 경쟁력 강화의 핵심은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융합성 인재의 양성에 있다(김승환, 2016). 현재 세계 각국은 자국의 교육을 혁신하고, 교육시스템을 정비하며 발전시킬 뿐 아니라, 이를 하나의 선진 문화 콘텐츠로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조은미, 2018).
Jonassen이 말하는 구성주의 학습환경이란 무엇인가? 학생의 능동적인 학습은 구성주의 학습환경을 요구한다. Jonassen(1999)은 구성주의 학습환경은 일상에 존재하는 비구조 문제를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의미 있는 지식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환경이라고 하였다. 그는 자신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델에서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의미 있는 학습의 진행을 강조하였다.
STEAM 교육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STEAM 교육은 다양한 학과의 지식을 습득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실생활의 문제 상황을 설정하고, 그 해결 방안을 다학제간 융합에서 찾아가는 다학제간 융합 문제 해결 교육으로 정의된다 (Qin & Fu, 2017; Sousa & Pilecki, 2018). STEAM 교육은 다학제간 융합을 통해 학생의 창의력과 문제해결 경험을 강화하여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추고, 지속적인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여 미래설계능력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범.맹해양.배기형(2018). 중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방안. In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pp. 181-182).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 김기용.이상원(2019). 초등 실과 생명과학 영역에 기반한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2(2), 1-24. 

  3. 김대현(2017).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학지사. 

  4. 김승환(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교육의 미래.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 11, 1-12. 

  5. 김은주.이진숙(2018). 2014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형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56(1), 155-185. 

  6. 김일광.박명섭(2015). 우리나라 교육서비스 수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무역연구, 11, 347-362. 

  7. 강지연(2016). 융합인재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융합인재교육의 정책적 목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방담이.윤회정(2018).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융합 교육평가틀의 제안. 교과교육학연구, 22, 386-399. 

  9. 박현주 외(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10. 손미현.정대홍(2019).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한 융합교육의 방향성 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889-916. 

  11. 신문승(2018).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345-363. 

  12. 심규헌.이상욱.서태원(2014).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커리큘럼 설계, 적용 및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4), 23-32. 

  13. 심주은.고주영.심재창(2014). 창의성 향상을 위한 아두이노활용 교육과정 개발과 분석.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7(4), 514-525. 

  14. 이진숙.김은주(2019). 융합인재교육 실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초등교육연구, 32(3), 327-355. 

  15. 조은미(2018). 한류문화 콘텐츠 영향 및 한류콘텐츠 산업 마케팅 방안 연구. 경영교육저널, 29(1), 27-53. 

  16. 최숙영.김세민(2016).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컴퓨팅 교육이 공업계 고등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6), 45-54. 

  17. 최인수(2000).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모델. 생활과학, 3, 441-464. 

  18. 최인수(2015). 창의성의 발견. 경기도, 쌤앤파커스. 

  19.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STEAM 교수학습 준거. https://steam.kofac.re.kr/?page_id11267 

  20. Akgun, O. E.(2013). Technologyin STEM project-based learning. In STEM Project-Based Learning.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21. Banzi, M.(2009). GettingStarted with Arduino. O'Reilly Media. 

  22. Peppler, K.(2013). STEAM-Powered Computing Education: Using E-Textiles to Integrate the Arts and STEM. Computer, 46(9), 38-43. 

  23. Capraro, R. M., & Slough, S. W.(2013). Why PBL? Why STEM? Why now? An introductionto STEM project-based learning. In STEM Project-Based Learning (pp. 1-5 ). Sense Publishers, Rotterdam. 

  24. Dong Zehua(2016). On Dilemma and Solution of STEM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China. Global Education, 12, 36-42+62. 

  25. Fu Qian & Liu Pengfei(2016), From Verification to Creation-A Research on STEM Education Performance Models in Middle and Primary Schools. China Educational Technology, 4, 71-78+105. 

  26. Guo Ge(2012). Reflections of Interest-based Teaching Principle. Educational Research, 3, 119-124. 

  27. Jiang Jiafu, Zhang Jiamin & Kong Jing(2017). Research on STEM Education Ecosystem and the Development Path in Our Country-Based on the Experience of STEM Education in America. Modern Educational Technology, 12, 31-37. 

  28. Jiang Zhihui et al.(2017).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Cultivating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Power in the Context of STEM Education. China Educational Technology, 2, 25-32 +41. 

  29. Krajcik, J. S., & Mun, K.(2014). APA Work Group of theBoard of Educational Affairs (1997). Learner-centeredpsychological principles: A framework for school reform and redesig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0. Jonassen, D. H.(1999). Designing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2, 215-239. 

  31. LI Huanhuan & Huang Jin(2018). An Analysis of the Ten-year Development Law of STEM Education in China(2009-2018). Journal of Schooling Studies, 5, 63-79. 

  32.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2017). Science curriculum standard of compulsory education in primary school. Beijing: People's Publishing House. 

  33.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2016). Notice on Printing and Distributing the Outline of the 13th Five-Year Plan for Educational informatization. Retrieved from http://www.moe.edu.cn/srcsite/A16/s3342/201702/t20170221_296857.html 

  34. Qin Jinruo & Fu Gangshan(2017). STEM Education: a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ased on the Real Problem Situation. China Educational Technology, 4, 67-73. 

  35. Sousa, D. A., & Pilecki, T.(2018). From STEM to STEAM: Using brain-compatible strategies to integrate the arts. (2nded.). Corwin Press. 

  36. Yang Xiaozhe & Ren Youqun(2015). STEM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Open Education Research, 5, 35-40. 

  37. Zhao Huichen & Lu Xiaoting(2016).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and Improving the Students' Innovation Ability: An Interview with the STEAM Education Scholars Georgette Yakman in USA. Open Education Research, 5, 4-10. 

  38. Zhao Xinglong & Xu Lin(2016). STEM Education: Five Major Controversies and Further Discussion. China Educational Technology, 10, 62-65. 

  39. Zhang Wenlan et al.(2016). The Design and Practice of Project-based Learning Based o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Concept in Network Environment. e-Education Research, 37(2), 38-45+53. 

  40. Zhang Yi et al.(2018). The Impact of a Design-based Integrated STEM Teaching on Students' Interdisciplinary Attitude. China Educational Technology, 7, 81-89. 

  41. Zeng Ning, Zhang Baohui & Wang Qunli(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STEM Education Research at Home and Abroad(2008-2017) Based on Content Analysis. Modern Distance Education, 5, 27-38. 

  42. Zheng Wei(2019). China STEAM Education Development Report. Beijing: Science Press. 

  43. Zhong Baichang & Zhang Lifang(2014). CTEq's Functions and Enlightenments to China in STEM Education. China Educational Technology, 4, 18-24+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