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를 활용한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 프로토타입 설계
Designing User Participation Smart Photonic Clothing Prototype Using Arduino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1, 2020년, pp.55 - 65  

안미화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임호선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photonic clothing integrates light emitting technology inside and outside of the garment and integrates it as a fashion product. It expresses digital color that radiates light outside the body that expands the functionality of the clothing as well as makes new and various attempts visually.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사용자 참여형 패션디자인의 실제 적용사례와 스마트 포토닉 의류에 적용하는 기술을 분석하고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기능에 따른 개발사례를 조사하였다. 2000년 이후의 연구논문 및 국내외 인터넷 사이트를 토대로 스마트 의류의 대중화를 위한 노력과 시도가 돋보이는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포토닉 의류를 보다 대중적인 패션으로 확장시켜 넓은 소비층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상의복과의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을 반영하고 소비자 개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원하는 기능을 맞춤형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LED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토타입 제작 연구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패턴설계가 가능한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활용한 LED모듈 부착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프 로토타입의 설계 및 제작을 통해 스마트의류의 기능을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개별화 하는 사용자 참여형 제품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두이노의 코딩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착용자가 외부에 나타내고자 하는 이미지나 메시지를 LED패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자 한다.
  • 연구의 의의는 기존 스마트 의류의 한정적인 기능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대중에 패션 아이템으로서의 인식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대중화와 실용화에 기초자료가 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는 점에 있다. 또한 일반의복의 경우 소비자가 구매하여 착용하고 디자인 평가단계를 거쳐 선호디자인을 재구매하는 소모적인 구조의 소비패턴이었다면 개발한 스마트 포토닉 의류는 구매와 착용 이후에 소비자 스스로 참여를 통한 디자인 변형이 가능함으로써 패션아이템의 재디자인(Re-design)과 재생산(Recreative)이 이루어져 재구매하지 않아도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장점은? 스마트 포토닉 의류를 통해 빛의 형태로 나타나는 디지털 컬 러는 외부로 드러나는 가시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착용자는 조명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의복을 입은 상태나 신체의 움 직임, 앞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등을 외부에 알림으로써 위 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활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의 특징과 장점은?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s, ELD)는 2개 층의 도체 사이에 갈륨비소와 같은 광성 물질을 주입한 평 판 디스플레이의 하나로 광성 물질에 전류나 강한 전기장을 가 하면 빛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Electroluminescent Displays, 2019). ELD는 전류에 의해 물리적으로 발광하기 때 문에 면 전체적으로 고르고 균일한 밝기를 나타내고 휘도(단위 면적 당 밝기)가 높다. 또한 접을 수 있을 정도로 얇고 세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악용이나 스포츠의류 등 오염된 환경에 자 주 노출되는 의복에 적용하면 안전사고 예방효과와 더불어 내 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k, 2007).
스마트 포토닉 의류란? 스마트 포토닉 의류는 의복에 포함된 디지털 기기를 통해 빛 을 발산시키는 형태의 모든 의류를 통칭하는 것으로(Lee, 2008) 의복의 외관이 빛이라는 물질에 의해 왜곡·변형·확장됨 으로써 시각적인 즐거움을 부여하고 시야확보를 통한 안전보호 기능을 가지며 의복을 관찰하는 제3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기능성을 지닌 스마트 의류이다. 스마트 포토닉 의류를 개 발하기 위한 연구로 국외에서는 영국의 패션브랜드 CuteCircuit 를 비롯하여 다수의 디자이너와 공학전문가 간의 기술협업으로 센서와 발광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의 스마트 포 토닉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Y. S., Han, J. M., & Kang, H. S.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sensibility scale - Focused on wrist wearable device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9, 400- 412. 

  2. 'Arduino'. (2019). doopedia. Retrieved August 1, 2019, from https:// terms.naver.com/entry.nhn?docId2835912&cid40942&categoryId32828 

  3. 'Continuum dress'. (2019). Continuumfashion. Retrieved May 10, 2019, from http://www.continuumfashion.com/D.php 

  4. 'Cutecircuit Iminiskitr'. (2019). Cutecircuit. Retrieved June 22, 2019, from http://cutecircuit.com/miniskirt/ 

  5. 'Cutecircuit knetic dress'. (2019). Cutecircuit. Retrieved June 28, 2019, from http://cutecircuit.com/kinetic-dress/ 

  6. 'Cutecircuit twitter dress'. (2019). Cutecircuit. Retrieved August 12, 2019, from http://cutecircuit.com/media/media-twitter-dress/ 

  7. 'Electroluminescent display'. (2019). Wikipedia. Retrieved July 10, 2019,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oluminescent_display 

  8. Heo, S. Y. (2019). A study on design strategies to improve brand competitiveness of smart clothing: Focusing on the change of consumers' perception through PESTEL analysis and consumer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Hwang, S. W. (2007). The skirt design studies of the times of prosu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0. Ju, N. A. (2018). 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 Focused on smart clot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1. Jung, H., & Geum, K. S. (2008). A study on the type of light i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20-133. 

  12. Kang, M. J. (2015). Design guideline for healthcare smart sensing clothing based on consumer acceptance and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D. P. (2017, September 27). 구글-리바이스 스마트의류 출시와 동향분석 [Google-Levise Smart clothing launch and trend analysis]. ITnews. Retrieved October 2, 2019, from http://www. itnews.or.kr/?p23623 

  14. Kim, E. J., & Yoo, Y. S. (2011). A study on the method to apply LED to fashion design an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3), 15-29. 

  15. Kim, J. H., & Kim, Y. K. (2018a). A study on the strategy of smart wearable fashion brand convergence extension. Koresa Science & Art Forum, 35, 109-120. doi:10.17548/ksaf.2018.09.30.109 

  16. Kim, J. H., & Kim, Y. S. (2018b). Application types and meanings of fashion engineering in fashion brand CuteCircui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0(3), 245-256. doi:10.5805/SFTI.2018. 20.3.24 

  17. Kim, K. R., & Choi, G. H. (2009). Popular Culture Dictionary. Seoul: hyunsilbook. 

  18. Kim, N. H., Yang, J. H., Hong, S. K., Hong, S. I., & Lee, J. H. (2012). A suggestion of guideline for designing of logo type for apparel products based on the technology of flexible plastic optical fiber.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5(4), 469-476. 

  19. 'LED'. (2019). Wikipedia. Retrieved July 7, 2019, from https:// ko.wikipedia.org/wiki/%EB%B0%9C%EA%B4%91_%EB%8B%A4%EC%9D%B4%EC%98%A4%EB%93%9C 

  20. Lee, H. K. (2008).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photonic clothing based on inorganic EL techn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Lee, H. S., & Lee, J. J. (2017). A study on convergence fashion design applied wearable technology -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the light and transforma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4), 709-721. doi:10.5850/JKSCT.2017. 41.4.709 

  22. Lee, J. H., Lee, E. H., Cho, H. S., Yang, E. K., & Kho, J. M. (2017). A case study for participatory fashion design using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4), 58-70. doi:10.7233/jksc.2017.67.4.058 

  23. Lee, Y. J., & Lee, J. H. (2011).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color clothing - Focusing on the digital color clothing using plastic optic fiber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5(3), 27-35. doi:10.17289/jkscs.25.3.201108.27 

  24. 'Luminous fiber optics long dress by Lumigram'. (2019). Lumigram. Retrieved June 22, 2019, from https://lumigram.com/it/ 

  25. Lyeo, H. G.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supplies through light-emitting character - Focusing on the jacket design of the bike user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2), 297-309. 

  26. 'Made w/code'. (2019). Madewithcode. Retrieved May 20, 2019, from https://www.madewithcode.com/projects/fashion 

  27. 'Marpple'. (2019). Marpple. Retrieved May 28, 2019, https://www.marpple.com/kr/ 

  28.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2018). 중소기업기술로드맵 2018- 2020 -웨어러블- [Technology Roadmap for SME 2018-2020 - wearable-]. TIPA. Retrieved October 1, 2019, from http:// smroadmap.smtech.go.kr/0301 

  29. Park, H. Y. (2007). A study on a design prototype of the smart clothing for entertainment based on optical fiber and LED techn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0. Park, S. J., Park, S. H., & Lee, J. H. (2009). A study on the modular design of smart photonic sports clothing based on optical fiber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4), 393-402. 

  31. 'SEIL BAG'. (2019). Leemyungsu Design. Retrieved July 22, 2019, from http://www.leemyungsu.com/ 

  32. Shin, H. Y., & Lee, J. H. (2013). A study on the logo design for clothing in application of the flexible optical fiber with three- colors of LED light sour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4), 482-490. doi:10.5850/jksct.2013.37. 4.482 

  33. 'Ski suits with solar-powered lights by Willy Bogner'. (2007, November 28). dezeen. Retrieved May 28, 2019, from https://www.dezeen.com/2007/11/28/ski-suits-with-solar-powered-lights-by-willy-bogner/ 

  34. Yang, J. H., Park, S. H., Cho, H. S., & Lee, J. H. (2013). A study of luminescence effects of POF-woven fabric display by method of weav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6(4), 517-526. doi:10.14695/KJSOS.2013.16.4.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