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특성 및 직무환경이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중소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Adaptability -Focused on Metropolit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mploye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82 - 92  

박준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이선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조직적응성에 관한 연구는 대기업이나 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특성과 직무환경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개인특성에서는 하위변수를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 탄력성으로 설정하였고, 직무환경 요인에서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로 설정하였다. 표본 자료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방문, 전화 통화, 전자메일, 팩스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98부였다. 통계분석은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요인의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탄력성은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고, 직무환경의 조직공정성은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직무환경의 조직문화는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에게는 임금수준, 업무량, 보상, 의견반영 등의 공정한 적용은 구성원들의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적응성을 대기업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adaptation among the members of SMEs. Until now, research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large corporations or public institutions.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ME members. Factors affecting the organ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개인특성 및 조직공정성, 조직 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대기업 중심으로 수행한 연구로, 중소기업 관점에서의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연구 관점을 중소기업에 한정하여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예상되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중소기업의 인적자원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구성원들의 개인특성 요인과 직무환경이 조직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 선행연구에서는 직무환경과 관련한 연구를 조직특성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직특성 요인 중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선행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을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 경력몰입, 자율성, 통제위치 등으로 구분하였다[3-5].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위하여 여러 가지 개인특성 변수들 가운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변수들을 중심으로 탐색적인 관점에서 자기 효능감, 낙관성, 회복탄력성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특성 및 직무환경과 조직유효성 요인인 조직적응성에 관한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하여 대기업 및 공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검증된 연구변수들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에서의 개인특성과 직무환경이 조직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인특성 요인(자기 효능감, 낙관성, 회복 탄력성)과 직무환경과 관련된 조직 공정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둘째, 이들 변수들이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조직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담당자에게 실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하는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표본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인특성 요인(자기 효능감, 낙관성, 회복 탄력성)과 직무환경과 관련된 조직 공정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둘째, 이들 변수들이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조직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담당자에게 실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직무환경은 조직적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개인특성은 조직적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Bandura[6]에 의해 개념화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특정 과업 수행을 통해서 구성원이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믿음이다[6]. 인간의 행동은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조직공정성은 관점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Greenberg[18]는 조직공정성을 분배적 관점에서 분배 공정성(Distribution Justice), 절차적 관점에서 절차 공정성(Procedural Justice), 상호작용 관점에서 상호 작용공정성(Interactional Justice)으로 구분하였다.
조직문화는 어떤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하는가?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비가시적인 요소와 의식, 의례, 언어, 이야기 등과 같은 가시적인 요소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직의 문화는 변화하기가 쉽지 않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또 조직의 가치와 신념 등이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때문에 조직문화는 조직이 만들어 내는 조직의 내부 변수라고 할 수 있다[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C. M. Youssef & F. Luthans. (2007).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2. W. R. Boxx, R. Y. Odom & M. G. Dunn. (1991). organizational Values and Value Congruency and Their Impact on Satisfaction, Commitment and Cohesion. Public Personal Management, 20(1), 195-205. 

  3. Y. H. Jang. (2018).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ward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ong-Yang University. 

  4. H. C. Roh. (2018). Influence of Preliminary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on Entrepreneurship Will;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ea-Jeon University. 

  5. H. M. Jang. (2010).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n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 - Focusing on Faculty Staff-.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ong-Yang University. 

  6.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8, 505-518. 

  7. S. P. Robbins. (1990). Organization Theory: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s, 3rd ed., Engle 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pp. 72-77. 

  8. H. S. Yoo. (2004). A Study on the Reality and Application of Women's Capital: Focusing on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of Women, Asian women study, 44(2), 45. 

  9. F. Luthans. (2004).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 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6(1), 57-72. 

  10. F. Luthans, B. Avolio, J. B. Avey & S. Norman.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 541-572. 

  11. J. H. Kim. (2013).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hallenge Spirit on Entrepreneurship Confidence of Korean Service Worker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yeong-Gi University. 

  12. M. Rutter. (1985). Resilience in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13. Y. S. Beak. (2015). The effect of the resilience of KOR memb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do Economics Journal, Korea Ordo Economics Association, 18(4), 129-146. 

  14. K. H. Park. (2011).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dership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Seung-Sil University. 

  15. Y. K. Do. (2001).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Bea-Jea University. 

  16. D. H. Kim.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and organizational justice of foreign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17. R. Cropanzano, D. B. Bowen & S. W. Gilliland. (2007).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justic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 21, 34-48. 

  18. J. Greenberg. (1990). Employee Theft ac A Reaction to Underpayment Inequ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845-855. 

  19. C. Rutte & D. Messick. (1995). An Integrated Model of Perceived Unfairness in Organizations. Social Justice Research, 8(3), 239-261. 

  20. R. Folger & M. A. Konovsky.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 115-130. 

  21. J. S. Kang.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Social Workers and Trust and Commitment Soical Welfare Police, 27. 

  22. J. A. Colquitt, D. E. Conlon, M. J. Wesson, Porter, O. L. H. Co & K. E. Ng. (2001). Justice at the Millennium: A Meta-Analytic Review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425-445. 

  23. D. B. McFarlin & P. D. Sweeney. (1992).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 al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 626-637. 

  24. B. G. Jeong & S. S. Lee. (1999).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iors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nagement Paper, 15, 209-224. 

  25. J. H. Han & I. S. Go. (2003). Research on organizational fairness, company-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pay elasticity.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1(2), 171-197. 

  26. J. J. Song. (2005).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Perceived by Hotel Employees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Outcome Variables.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17(3), 171-190. 

  27. W. C. Do.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Bu-San University. 

  28. T. G. Kim. (2011).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olice Official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wang-Ju University. 

  29. K. S. Cameron & R. E. Quinn. (2006).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30. S. K. Lee.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ong-Kook University. 

  31. C. G. Lee. (2006).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32. S. H. Kim. (2004). A Study on the Impact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on Productivity.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ong-Kook University. 

  33. D. R. Denison & A. K. Mishra. (1995).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Organization Science. 6(2), 35-47. 

  34. D. Y. Lee, H. Y. Hwang, S. H. Seol & D. S. Park. (2005).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Asse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Knowledge Man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17(2), 101-128. 

  35. I. D. Kim & J. I. Choi. (2011).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Enterprises on Ethics Man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14, 49-73. 

  36. B. D. Lee.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37. Y. G. Kim. (2009).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of school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Cho-Seon University. 

  38. C. Ostroff & S. W. J. Kozlowski. (1992). Organization Socialization as a learning process: The role of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nel Psychology. 45, 874-849. 

  39. J. Hage & M. Aiken. (1969). Relationship of Centralizational to Other Structural Properti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2, 73-92. 

  40. J. H. Seo & Y. S. Yoon.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s on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dustrial Relations Research, 1392, 41-67. 

  41. C. H. Nam. (2013).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f Food Service Manag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Medi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s and Psychological Capital.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yeong-Gi University. 

  42. Y. H. Mun. (2014).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airness Perception and Collective Efficacy. 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An Yang University. 

  43. J. S. Kim.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areer Adaptation Factors in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Chung Buk university. 

  44. I. L. Jo. (2015).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Trust 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mbers of the Gyeongbuk Headquarters of Korea Railroad Corporation.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ong-Yang University. 

  45. N. Y. Lee. (2014). Effects of Resilience on Leading Factors and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Failure Management Culture.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Bu-San University. 

  46. Y. S. Baek, Y. H. Jang & Y. J. Kim. (2017). The Effect of Resilience on Job Stress. Management Education Research, 32(3), 1-19. 

  47. R. Folger & M. A. Konovsky.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 115-130. 

  48. K. H. Lee, C. G. Lee, G. T. Wi & W. H. Lee.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Factors and Wage Satisfacti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Research, 24(4), 307-327. 

  49. J. M. Kim. (2000). The Effect of Compensation System and Fairness Perception on Compensation Satisfaction in Korean Hotel Enterprise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50. S. M. Chae.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Emotion Sharing.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Dong-Myeo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