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Academic Self-Efficacy of Chinese Students in Beauty Major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251 - 259  

왕지윤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 & 메이크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7월~10월까지 미용전공 중국유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지각 및 의지와 건설적 인지는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행동지각 및 의지, 건설적 인지수준을 높인다면 미용 전공 중국유학생들이 전공지식과 전문실력을 갖추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대학교육에서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에 대한 이해와 전략을 융합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leadership and self-efficacy in learning for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t is a research article that describes the factors that affect self-efficacy in learning. From July to October 2019, 440 Chinese students were investigated w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둘째,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본다.
  • 본 연구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미용전공 중국유학생들이 전공과목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지식과 전문실력을 효율적으로 습득하도록 기여하고자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Fig.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융합적으로 규명하여 , 셀프리더십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대학생에게 있어서 셀프리더십이란 개인의 성장 뿐 아니라, 사회 진입에도 도움을 주는 요소이다[11]. 셀프리더십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개인의 목표설정과 개인이 주도적으로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 본인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12]. 전통적인 리더십은 리더가 구성원에게 지시하고 통제하는 방식으로 나타나지만, 셀프리더십은 자신이 맡은 일을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리더십이다.
셀프리더십은 초기에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셀프리더십은 초기에 사회적 인지 이론에 따라 행동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으로 구분되었다[15]. 이 구분은 이론이 발전하면서 행동지향적 전략(behavior-focused strategies), 자연보상 전략(natural reward strategies), 건설적 사고 전략(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의 3가지로 분화하였다가 현재에는 Houghton 등[16]에 의해 행동지각 및 의지(behavior awareness & volition), 과제동기(task motivation), 건설적 인지(constructive cognition)으로 구성되었다.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결과는? 2019년 7월~10월까지 미용전공 중국유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지각 및 의지와 건설적 인지는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행동지각 및 의지, 건설적 인지수준을 높인다면 미용 전공 중국유학생들이 전공지식과 전문실력을 갖추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대학교육에서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에 대한 이해와 전략을 융합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 Min. (2018). Overview and Development Trend Evaluation of China's Beauty Industry. WORLD GARDEN. http://www.qikan.com/ 

  2. R. Jie. (2009).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beauty education in China.. Personal library360doc. http://www.360doc.com/ 

  3. H. Y. Xu. (2018).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6), 1256-1267. 

  4. M. R. Cheng. (2011). Research on the actual cobdition of chinese and korean beauty high schools and study of chinese and korean beauty curriculums. Master's Program Departmen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p. 8 

  5. N. H. Kim. (2010).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and career maturity of beauty school education, service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Korea/Japan students majored in beauty. Majored in Make-up? Stylist Graduate School of Plastic Ar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 6 

  6. H. Y. Xu. (2019).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elf-Esteem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Master's Program Depart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Seo Kyeong University. p. 7 

  7. H. W. Heo & E. Y. Son. (2011).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re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1), 51-66 

  8. O. S. Lee.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6(9), 6036-6043 

  9. H. J. Cha, Y. M. GD, J. H. Kim & S. J Byun. (2016).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Leadership of freshm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9), 293-313 

  10. J. I. Kim. (2018).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9(5), 253-262. 

  11. Y. J. Lee &K. S. Jung. (2018).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 Self-leadership and Campus-life Satisfaction Leve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1), 391-410. 

  12. C-P. Neck, G-W. Stewart & C-C. Manz. (1995).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3), 278-302. 

  13. M. S. Lee, Y. G. Lee &T. G. Jung, (2017).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f-leadership, self-esteem, learning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by colleg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6(2), 131-145. 

  14. Y. J. Bae & S. H. Park.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aptation, Self-Leadership, Learning Commitment, and Career Adapt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6), 104-111. DOI : 10.22156/CS4SMB.2019.9.6.104 

  15. C. C. Manz.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16. J. D. Houghton, D. Dawley & T. C. DiLiello. (2012). The abbreviat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ASLQ): A more concise measure of self-leader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7(2), 216-232. 

  17. J. Y. Park. (2017). Prediction of Students' Self-leadership on Learning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Master's Program Depart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 94. 

  18.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19. A. Bandura & D. H. Schunk.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3), 586. 

  20. D. H. Schunk & J. M. Rice. (1989). Learning goals and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1(3), 279-293. 

  21. J. H. Lee. (2013).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Master's Thesis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p. 18. 

  22. H. Y. Kim.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trol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Hanyang University, p. 15. 

  23. A. Y. Kim & I. Y. Park.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39(1), 95-123. 

  24. A. Y. Kim. (1997).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 1-19. 

  25. E. J. Kang. (2019).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On Learning Flow.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170-175. 

  26. A. Bandur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373. 

  27. R. B. Kline.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8. W. H. Hwang & C. S. Youn. (2014). the moderat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 on between Beauty Department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Korean Association of Lifelong Education Leadership, 1(1), 37-58 

  29. K. Jang & S. E. Heo.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4), 130-138. 

  30. J. I. Kim. (2018).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5), 253-262. DOI : 10.5762/KAIS.2018.19.5.25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