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reamer와 겔 형태의 이식재를 이용한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 임플란트의 성공률과 생존율: 5년 이상 추적 관찰을 통한 후향적 연구
Success and survival rate of the implant with crestal sinus lift using S-reamer and gel-type graft material: A retrospective study by more 5-years follow check up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1, 2020년, pp.23 - 29  

김종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조성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번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수압을 이용하는 방식을 변형한 방식인 S-reamer 와 겔 형태의 이식재를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임플란트의 5년 이상 추적 관찰을 함으로써 성공률과 생존률을 조사하여 이 술식에 대한 평가를 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2008년에서 2014년까지 환자들을 추적 관찰하였다. 관찰된 환자는 59명이었고 식립 임플란트는 117개였다. 남성 34명, 여성 25명이고 연령대는 다양하였다. 잔존 수직 골의 골 량은 1 - 6 mm로 다양하였다. 상악동 거상술은 막의 천공없이 상악동을 천공하는데 S-reamer를 사용하였고 막을 거상하는데 겔 형태의 이식재를 사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임플란트는 거상과 동시에 식립하였고 5 - 6개월 치유 기간 후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방사선 검사는 추적 검사 할 때와 식립 후 바로 찍은 방사선 검사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탐침을 통하여 화농여부, 염증여부, 출혈여부 등등 임상 검사를 통하여 검진 평가 하였다. Buser의 성공 기준을 참고하였고 모든 임플란트를 성공 임플란트, 생존 임플란트, 실패 임플란트로 분류하였다. 결과: 실패하여 제거한 임플란트는 5개였고 골 소실을 동반한 급성 염증 치료를 했거나 염증을 보인 임플란트가 4개였다. 생존율은 95.7%이고 성공률은 92.3%였다. 결론: S-reamer와 겔 형태의 이식재를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이 1 - 6 mm 잔존 골이 있는 상황에서 막 천공이 없이 상악동을 거상할 수 있는 성공적인 술식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method using the S-reamer and gel-type graft material by the success rate and survival rate. Materials and methods: Implantation period was from 2008 to 2014, Follow check up year is 2019. There were 59 patients and 117 implan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조정 접근법의 하나인 S-reamer와 이식재로 겔형태 이식재를 사용하는 술식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고 현재 널리 사용되어지는 술식임에도 불구하고 5년 이상의 장기간의 결과를 관찰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대구에서 개원하고 있는 개인 치과의원에서 다양한 수직 골량을 가지는 환자에서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술식으로 S-reamer와 이식재로 겔 형태 이식재를 사용하여 상악동 막을 거상하면서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5년 이상 추적 관찰(follow up check)를 통하여 성공률과 생존율을 바탕으로 치조정 접근법의 하나인 이 술식에 대한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악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은 무엇으로 인해 어려움을 안고 있나? 임플란트가 처음 개발된 이후 치과 치료는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상악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은 구치부의 골 흡수, 상악동의 함기화(pneumatization), 불량한 골질 등으로 임플란트 식립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1 특히 치조골의 수직 골량의 부족은 임플란트의 식립에 어려움이 있으며 짧은 임플란트 식립은 낮은 성공률로 이어졌다. 2,3
수직 골량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1977년 Tatum이 제안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수직 골량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1977년 Tatum이 Caldwell-Luc 수술법을 변형한 일명 측방 접근법(lateral window method)를 제안했다. 4 그러나 이러한 측방접근법은 상악동막의 천공, 동맥 천공에 따른 과다출혈, 감염, 상악동염 등의 많은 합병증을 가지고 있었다.
측방 접근법이 가지는 합병증은 무엇인가? 이러한 수직 골량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1977년 Tatum이 Caldwell-Luc 수술법을 변형한 일명 측방 접근법(lateral window method)를 제안했다. 4 그러나 이러한 측방접근법은 상악동막의 천공, 동맥 천공에 따른 과다출혈, 감염, 상악동염 등의 많은 합병증을 가지고 있었다. 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Tatum H Jr. Maxillary and sinus implant reconstructions. Dent Clin North Am 1986;30:207-29. 

  2. Misch CE, Steignga J, Barboza E, Misch-Dietsh F, Cianciola LJ, Kazor C. Short dental implants in posterior partial edentulism: a multicenter retrospective 6-year case series study. J Periodontol 2006;77:1340-7. 

  3. Petrie CS, Williams JL. Comparative evaluation of implant designs: influence of diameter, length, and taper on strains in the alveolar crest. A three-dimensional finite-element analysis. Clin Oral Implants Res 2005;16:486-94. 

  4. Tatum OH. Maxillary sinus grafting for endosseous implant.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labama implant study group. Birmingham, AL, April 1977. 

  5. Schwartz-Arad D, Herzberg R, Dolev E. The prevalence of surgical complications of the sinus graft procedure and their impact on implant survival. J Periodontol 2004;75:511-6. 

  6. Schwarz L, Schiebel V, Hof M, Ulm C, Watzek G, Pommer B. Risk factors of membrane perforation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sinus floor elevation surgery: Review of 407 augmentation procedures. J Oral Maxillofac Surg 2015;73:1275-82. 

  7. Katranji A, Fotek P, Wang HL. Sinus augmentation complications: etiology and treatment. Implant Dent 2008;17:339-49. 

  8. Summers RB1. A new concept in maxillary implant surgery: the osteotome technique. Compendium 1994;15:152, 154-6, 158 passim; quiz 162. 

  9. Engelke W, Deckwer I. Endoscopically controlled sinus floor augmentation. A preliminary report. Clin Oral Implants Res 1997;8:527-31. 

  10. Cosci F, Luccioli M. A new sinus lift technique in conjunction with placement of 265 implants: a 6-year retrospective study. Implant Dent 2000;9:363-8. 

  11. Sotirakis EG, Gonshor A. Elevation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ith hydraulic pressure. J Oral Implantol 2005;31:197-204. 

  12. Andreasi Bassi M, Lopez MA. Hydraulic sinus lift: a new method proposal. J Osteology Biomaterials 2010;1:93-101. 

  13. Buser D, Weber HP, Lang NP. Tissue integration of non-submerged implants. 1-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with 100 ITI hollow-cylinder and hollow-screw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0;1:33-40. 

  14. Lee HW, Lin WS, Morton D. A retrospective study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100 consecutive maxillary sinus augmentations via the lateral window approach.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3;28:860-8. 

  15. Del Fabbro M, Rosano G, Taschieri S. Implant survival rates afte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Eur J Oral Sci 2008;116:497-506. 

  16. Pjetursson BE, Tan WC, Zwahlen M, Lang NP.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ccess of sinus floor elevation and survival of implants inserted in combination with sinus floor elevation. J Clin Periodontol 2008;35:216-40. 

  17. Pikos M. Complications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In Jensen OT (eds): The sinus graft. 2nd ed. Chicago, IL: Quintessence, 2006. p. 103-15. 

  18. Al-Dajani M. Incidence, risk factors, and complications of schneiderian membrane perforation in sinus lift surgery: A meta-analysis. Implant Dent 2016;25:409-15. 

  19. Wallace SS, Mazor Z, Froum SJ, Cho SC, Tarnow DP. Schneiderian membrane perforation rate during sinus elevation using piezosurgery: clinical results of 100 consecutive case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7;27:413-9. 

  20. Lalo J, Broukris G, Djemil M, Beleh M. Safe technique for sinus floor elevation through alveolar crest with stop sinus osteotomes. Implantodontie 2005;14:62-70. 

  21. Bernardello F, Righi D, Cosci F, Bozzoli P, Soardi CM, Spinato S. Crestal sinus lift with sequential drills and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in sites with <5 mm of native bone: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Implant Dent 2011;20:439-44. 

  22. Lopez MA, Andreasi Bassi M, Confalone L, Carinci 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via crestal approach: the evolu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technique. J Craniofac Surg 2014;25:e127-32. 

  23. Kim YK, Lee JY, Park JW, Kim SG, Oh JS. Sinus membrane elevation by the crestal approach using a novel drilling system. Implant Dent 2017;26:351-6. 

  24. Rosen PS, Summers R, Mellado JR, Salkin LM, Shanaman RH, Marks MH, Fugazzotto PA. The bone-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technique: multicenter retrospective report of consecutively treated pati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853-8. 

  25. Peleg M, Garg AK, Mazor Z. Predictability of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in the severely atrophic posterior maxilla: A 9-year longitudinal experience study of 2132 implants placed into 731 human sinus graf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94-102. 

  26. Thor A, Sennerby L, Hirsch JM, Rasmusson L. Bone formation at the maxillary sinus floor following simultaneous elevation of the mucosal lining and implant installation without graft material: an evaluation of 20 patients treated with 44 Astra Tech implants. J Oral Maxillofac Surg 2007;65:64-72. 

  27. Johnson GK, Hill M. Cigarette smoking and the periodontal patient. J Periodontol 2004;75:196-209. 

  28. Jones JK, Triplett RG. The relationship of cigarette smoking to impaired intraoral wound healing: a review of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patient care. J Oral Maxillofac Surg 1992;50:237-9; discussion 239-40. 

  29. Wallace RH.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dental implant failure.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2000;8:103-6. 

  30. Carlsson GE, Lindquist LW, Jemt T. Long-term marginal periimplant bone loss in edentulous patients. Int J Prosthodont 2000;13:295-302. 

  31. Kumar A, Jaffin RA, Berman C. The effect of smoking on achieving osseointegration of surface-modified implants: a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816-9. 

  32. Lambert PM, Morris HF, Ochi S. The influence of smoking on 3-year clinical succ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Ann Periodontol 2000;5:79-89. 

  33. Hinode D, Tanabe S, Yokoyama M, Fujisawa K, Yamauchi E, Miyamoto Y. Influence of smoking on osseointegrated implant failure: a meta-analysis. Clin Oral Implants Res 2006;17:473-8. 

  34. Misch CE. Progressive bone loading. In: Misch CE, ed. Dental implant prosthetics. St. Louis: Mosby; 2005. p. 511-30. 

  35. Appleton RS, Nummikoski PV, Pigno MA, Cronin RJ, Chung KH. A radiographic assessment of progressive loading on bone around single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posterior maxilla. Clin Oral Implants Res 2005;16:161-7. 

  36. Siadat H, Panjnoosh M, Alikhasi M, Alihoseini M, Bassir SH, Rokn AR. Does implant staging choice affect crestal bone loss? J Oral Maxillofac Surg 2012;70:307-13. 

  37. Ozyuvaci H, Bilgic B, Firatli E. Radiologic and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maxillary sinus grafting with alloplastic graft materials. J Periodontol 2003;74:909-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