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치부 교합 지지 상실과 전치부 과개 교합을 가진 환자의 교합 재설정을 통한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 with deep bite and posterior bite collapse using re-establishment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1, 2020년, pp.50 - 57  

장우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조유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임현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윤귀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박상원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치부 교합 지지 상실과 비정상적 전치부 교합 관계는 조화롭지 않은 교합으로 이어지며 다양한 병적 소견을 유발한다. 다수 치아 결손된 과개 교합 환자의 경우 안정된 구치부 접촉을 얻지 못하게 되면 하악이 후방으로 변위되어 수직 및 수평 피개가 심화되기 쉽다. 또한 하악 교합평면이 올바르지 못한 경우에는 이를 개선시켜 주어야만 상악 의치와의 양측성 균형 교합을 얻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치료 목표는 구치부에는 최대 교두간 접촉위를 부여하고, 전치부에는 적절한 수평 및 수직 피개로 전방유도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증례는 68세 남환으로 구치부 교합 지지가 상실되고, 전치부 과개 교합을 가진 상태였다. 구치부와 전치부의 보철물 수복 공간, 수직 및 수평 피개와 같은 전치부 교합 관계, 그리고 측방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등, 수직 고경 결정 평가표에서 제시하는 항목들에 대한 분석들을 종합하여 수직 고경 거상의 유무 및 거상량을 결정하고, 치료 진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ss of posterior support and the abnormal jaw relation can cause pathologic findings. If deep bite patients with multiple missing teeth, can not have the stable posterior contact, the mandible moves posteriorly, and consequently the overjet and overbite get worse. And when the mandibular irreg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제시한 수직 고경 결정 평가표의 기준에 따라 최종 수직 고경량을 결정하였다. 이후 3개월 간의 임시 보철물 장착을 통해 환자에게서 기능적, 심미적 평가 시행하였으며, 이에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수 치아 결손 및 과도한 치아 마모로 상실된 수직 고경을 회복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다수 치아 결손 및 과도한 치아 마모로 인해 상실된 수직 고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수직 고경을 적절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수직 고경은 근 신경계와 조화를 이뤄야 하며 이러한 수직 고경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수직 고경을 판단하는데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 적절한 수직 고경은 근 신경계와 조화를 이뤄야 하며 이러한 수직 고경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Turner와 Missirlian1 은 수직 고경을 평가함에 있어서 구치부 교합지지, 마모 상태, 발음 정도, 악간 거리 측정 및 환자의 안모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고, Willis2 는 안면 계측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Hull과 Junghans3는 측방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분석으로 평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Rebio가 제시한 수직 고경 평가표의 항목들은 무엇인가? Rebibo 등5은 수직 고경을 결정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평가하는 수직 고경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구치부와 전치부에서의 보철 수복 가능 공간, 전치부 교합 관계를 알려주는 수평 피개와 수직 피개 그리고, 측방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촬영을 통한 악간관계 평가와 안모 평가를 통한 심미성 평가가 그 항목이다. 이 수직 고경 평가는 생물학적, 기계적 그리고 심미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그 거상량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2.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3. Hull CA, Junghans JA. A cephalometric approach to establishing the facial vertical dimension. J Prosthet Dent 1968;20:37-42. 

  4. Ibbetson RJ, Setchell DJ. Treatment of the worn dentition: 2. Dent Update 1989;16:300-2, 305-7. 

  5. Rebibo M, Darmouni L, Jouvin J, Orthelieb J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The keys to decision. Inter J Stomat Occ Med 2009;2:147-59. 

  6. Johnson A, Wildgoose DG, Wood DJ. The determination of freeway space using two different methods. J Oral Rehabil 2002;29:1010-3. 

  7. Park JH, Jeong CM,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8.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9.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St. Louis; CV Mosby; 2013. p. 459-68. 

  10.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1st ed. New York; Elsevier Inc.; 2007. p. 114-9. 

  11. Rivera-Morales WC, Mohl ND. Relationship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o the health of the masticatory system. J Prosthet Dent 1991;65:547-53. 

  12. Orthlieb JD, Laurent M, Laplanche O. Cephalometric estimation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J Oral Rehabil 2000;27:802-7. 

  13. Edwards CL, Richards MW, Billy EJ, Neilans LC. Using computerized cephalometrics to analyze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t J Prosthodont 1993;6:371-6. 

  14. Obana J. Prosthodontic treatment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cross each other. 1st ed. Ishiyaku Publishers, Tokyo; 1994. p. 2-4. 

  15. Sierpinska T, Kuc J, Golebiewska M.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tooth wear before and after treatment. Open Dent J 2013;7:55-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