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판형 태양 전지의 광학 및 전기적 특성 최적화를 위한 에미터 전극 설계 연구
Emitter Electrode Design to Optimize the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lanar Solar Cells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31 no.1, 2020년, pp.37 - 44  

이상복 (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  도윤선 (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평면 태양 전지 구조에 1차원 주기를 가지는 에미터 전극 배치를 통해 광학 및 전기적 효율을 최적화하는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에미터 전극의 주기가 줄어들면 애퍼처 비율이 감소해 빛 흡수율이 줄어들어 태양 전지 성능 저하에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장 간단한 평판형 태양 전지 구조 내에서 에미터 전극 배열의 최적안을 제시하였다. 광학적 측면에서 에미터 전극이 없이 광흡수층 전면에서의 광흡수를 하는 레퍼런스 소자와 성능이 유사한 조건을 도출했다. 그리고 광흡수 및 전기적 효율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전극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광전 변환으로 생성된 전하를 전극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대체 에너지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양 전지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sign method to optimize the electro-optical efficiency of a planar solar cell structure by adjusting one-dimensionally periodic emitter electrodes. Since the aperture ratio of the active layer decreases as the period of the emitter electrode decreases, the amount of lig...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특성과 더불어 광학적 효과를 동시에 검토하여 최적안을 설계하기 위해 마이크로 패턴을 이용하여 광학적 효과와 전기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광 흡수 및 광전 활성화 층 (active layer)과 양극, 음극으로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평 면 구조의 태양 전지 구조에서 에미터 전극의 주기를 조절하여, 기존 태양 전지의 태양광 흡수율을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태양 전지의 전극의 최적 디자인을 제안한다. 광전 변환으로 생성된 전하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양산에 적합한 단순한 구조와 공정, 저비용을 고려한 효율 개선에 적합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태양 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는 광 흡수층의 높은 흡수율, electron-hole pair (EHP)의 생성 비율의 최대화, EHP의 분리를 위한 p-n 접합 전위차 등 광전 혹은 전기적 메커니즘에 따른 접근을 해볼 수 있고, 이 러한 기본 메커니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에서 일어나는 광학 공진 현상을 응용하는 사 례가 많이 연구가 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만들어진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을 최종적으로 외부로 많이 이끌어낼 수 있는 관점에서 태양 전지의 효율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부 contact 전극(주로 emitter 전극)의 형태에 따라 태양전지의 최종 성능을 보고한 연구들이 있으나 [21,22], 전극의 크기가 크며 그 모양에 따른 전하의 분포특성과 전기장의 세기 등 전기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되어왔다.
  • 상부 contact 전극(주로 emitter 전극)의 형태에 따라 태양전지의 최종 성능을 보고한 연구들이 있으나 [21,22], 전극의 크기가 크며 그 모양에 따른 전하의 분포특성과 전기장의 세기 등 전기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특성과 더불어 광학적 효과를 동시에 검토하여 최적안을 설계하기 위해 마이크로 패턴을 이용하여 광학적 효과와 전기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광 흡수 및 광전 활성화 층 (active layer)과 양극, 음극으로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평 면 구조의 태양 전지 구조에서 에미터 전극의 주기를 조절하여, 기존 태양 전지의 태양광 흡수율을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태양 전지의 전극의 최적 디자인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1 µm의 폭을 가지는 전극을 주기 적으로 배열하여 개구부가 전체 면적의 95~60%가 되는 범 위에서 전극 면적에 대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중 가장 단순한 형태의 평면 무기 태양 전지의 에미터 전극 배치를 통해 설계 변수에 따른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 간의 최적 조건을 찾는 구조를 도출하였다. 에미터 전극이 없는 레퍼런스 소자와 전극의 주기를 최대 20 µm에서 최소 2.
  • 각 주기에 따른 광 흡수율은 300 nm에서 600 nm 사이의 단파장 영역에서는 파장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600 nm 이상의 장파장 영역에서는 잡음과 같은 리플(ripple)이 발생 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기의 변화에 따른 광 흡수율의 변화가 뚜렷하게 보이는 단파장 영역 중 광 흡수율이 최댓값을 갖는 500 nm 파장의 데이터를 검토했다. 레퍼런스의 경우 500 nm 파장에서의 광 흡수율은 약 0.

가설 설정

  • 5 µm, and also with no emitter electrodes condition. (b) Comparing the ratio of the aperture (black line) and the averaged absorption (red line) according the period of the emitter electrodes, assuming that the aperture ratio of the solar cell with no emitter electrodes is 100%.
  • Canada)을 이용하였다. 하나의 단위 구조가 주기적으로 반복된다는 가정 하에 그 주기성을 이용하여 계산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계산 범위의 경계 조건은 x축을 따라 Periodic, y축을 따라 PML (perfectly matched layer) 조건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eneration rate이란? 그림 5는 전극의 주기에 따라 활성화 층의 generation rate의 분포도와 그에 대한 분석 데이터이다. generation rate은 태양 전지의 활성화 층이 태양광을 받아 엑 시톤(electron-hole pair, EHP)이 형성된 양을 나타낸 값으로 흡수된 모든 포톤(photon)이 엑시톤을 여기시킨다고 가정하 여 계산된 것으로, 광의 총 흡수량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 림 5(a)는 레퍼런스, 그림 5(b)는 에미터 전극의 주기가 20 µm, 그림 5(c)는 10 µm, 그림 5(d)는 5 µm, 그림 5(e)는 2.
기판형 결정질 실리콘(Si) 태양 전지가 태양 전지 산업의 8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반면, 무기 태양 전지는 유기 태양 전지 대비 우수한 효율과 높은 생산성으로 현재 태양 전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기판형 결정질 실리콘(Si) 태양 전지는 신뢰성, 수명, 효율 측면에서 우수하며 태양 전지 시장 중 주택 및 소규모 발전용으로 적합해 태양 전지 산업의 8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결정질 Si 태양 전지는 이론적으 로 약 29%의 최고 광전효율[17]을 달성할 수 있으며, 저가화 와 생산 수율 등을 고려한 양산단계의 태양 전지도 19~21% 의 효율을 달성하고 있다[18-20].
활성층 내의 깊이 방향에 대해 전기장 분포가빛이 투과하고 투과하지 않은 영역의 구분이 완벽하게 개구부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빛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로 파동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파장과 유사한 크기의 수 µm의 구조물에서 파면이 왜곡되어 회절(diffraction)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활성층 내의 깊이 방향에 대해 전기장 분포가 빛이 투과하고 투과하지 않은 영역의 구분이 완벽하게 개구부와 일치하지 는 않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Wolf, "A new look at silicon solar cell performance," Energy Convers. 11, 63-73 (1971). 

  2. P. V. Kamat, "Meeting the clean energy demand: Nanostructure architectures for solar energy conversion," J. Phys. Chem. C 7, 2834-2860 (2007). 

  3. J. M. Gineste, G. Flamant, and G. Olalde, "Incident solar radiation data at Odeillo solar furnaces," J. Phys. IV France 9, Pr3-623-Pr3-627 (1999). 

  4. A. V. D. Rosa, Fundamentals of Renewable Energy Processes, 2nd ed, (Academic Press, Boston, USA, 2009), pp. 591-682. 

  5. M. Grundmann, The physics of semiconductors: An introduction including devices and nanophysics, 2nd ed. (Springer, Berlin, Germany, 2006), pp. 473-521. 

  6. NREL, Best Research-Cell Efficiency Chart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19), https://www.nrel.gov/pv/cellefficiency.html. 

  7. H. Hoppe and N. S. Sariciftci, "Organic solar cells: An overview," J. Mater. Res. 19, 1924-1945 (2004). 

  8. R. Schroeder and B. Ullrich, "Photovoltaic hybrid device with broad tunable spectral response achieved by organic/inorganic thin-film heteropairing," Appl. Phys. Lett. 81, 556-558 (2002). 

  9. C. H. Lee, G. Yu, D. Moses, and A. J. Heeger, "Picosecond transient photoconductivity in poly (p-phenylenevinylene)," Phys. Rev. B 49, 2396-2407 (1994). 

  10. G. Wei, S. Wang, K. Sun, M. E. Thompson, and S. R. Forrest, "Solvent-annealed crystalline squaraine: PC70BM (1:6) solar cells," Adv. Energy Mater. 1, 184-187 (2011). 

  11. C. W. Tang, "Two-layer organic photovoltaic cell," Appl. Phys. Lett. 48, 183-185 (1986). 

  12. N. S. Sariciftci, L. Smilowitz, A. J. Heeger, and F. Wudl,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from a conducting polymer to buckminsterfullerene," Science 258, 1474-1476 (1992). 

  13. S. Badgujar, C. E. Song, S. Oh, W. S. Shin, S.-J. Moon, J.-C. Lee, I. H. Jung, and S. K. Lee,, "Highly efficient and thermally stable fullerene-free organic solar cells based on a small molecule donor and acceptor," J. Mater. Chem. A 4, 16335-16340 (2016). 

  14. W. Zhao, S. Li, S. Zhang, X. Liu, and J. Hou, "Ternary polymer solar cells based on two acceptors and one donor for achieving 12.2% efficiency," Adv. Mater. 29, 1604059 (2017). 

  15. J. You, L. Dou, K. Yoshimura, T. Kato, K. Ohya, T. Moriarty, K. Emery, C.-C. Chen, J. Gao, G. Li, and Y. Yang, "A polymer tandem solar cell with 10.6% power conversion efficiency," Nat. Commun. 4, 1446 (2013). 

  16. S. Nam, J. Seo, S. Woo, W. H. Kim, H. Kim, D. D. C. Bradley, and Y. Kim, "Inverted polymer fullerene solar cells exceeding 10% efficiency with poly (2-ethyl-2-oxazoline) nanodots on electron-collecting buffer layers," Nat. Commun. 6, 8929 (2015). 

  17. M. A. Green, "The path to 25% silicon solar cell efficiency: History of silicon cell evolution," Prog. Photovoltaics 17, 183-189 (2009). 

  18. C. Park, J. Cho, Y. Lee, J. Park, M. Ju, Y.-J. Lee, and J. Yi, "Technology trends and prospects of silicon solar cells," Curr. Photovoltaics Res. 1, 11-16 (2013). 

  19. J. Zhao, A. Wang, and M. A. Green, "24.5% efficiency silicon PERT cells on MCZ substrates and 24.7% efficiency PERL cells on FZ substrates," Prog. Photovoltaics 7, 471-474 (1999). 

  20. K. Masuko, M. Shigematsu, T. Hashiguchi, D. Fujishima, M. Kai, N. Yoshimura, T. Yamaguchi, Y. Ichihashi, T. Mishima, N. Matsubara, T. Yamanishi, T. Takahama, M. Taguchi, E. Maruyama, and S. Okamoto, "Achievement of more than 25% conversion efficiency with crystalline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 IEEE J. Photovoltaics 4, 1433-1435 (2014). 

  21. M.-S. Kim, M-.G. Kang, L. J. Guo, and J. Kim, "Choice of electrode geometry for accurate measurement of organic photovoltaic cell performance," Appl. Phys. Lett. 92, 133301 (2008). 

  22. M. Li, H. Ma, H. Liu, D. Wu, H. Niu, and W. Cai, "Effect of electrode geometry on photovoltaic performance of polymer solar cells," J. Phys. D: Appl. Phys. 47, 435104 (2014). 

  23. E. D. Palik, "Optical parameters for the materials in HOC I, HOC II, and HOC III," in Handbook of Optical Constants of Solids, E. D. Palik, ed. (Academic Press, Orlando, USA, 1997), Vol. 3, pp. 187-227. 

  24. H.-J. Hagemann, W. Gudat, and C. Kunz, "Optical constants from the far infrared to the x-ray region: Mg, Al, Cu, Ag, Au, Bi, C, and $Al_{2}O_{3}$ ," J. Opt. Soc. Am. 65, 742-744 (1975). 

  25. J. G. Fossum and E. L. Burgess, "High-efficiency $p^{+}-n-n^{+}$ back-surface-field silicon solar cells," Appl. Phys. Lett. 33, 238 (1978). 

  26. M. Becker, U. Gosele, A. Hofmann, and S. Christiansen, "Highly p-doped regions in silicon solar cells quantitatively analyzed by small angle beveling and micro-Raman spectroscopy," J. Appl. Phys. 106, 07451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