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홍수 방재를 위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Green Infrastructure for Urban Flood Mitig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10 no.4, 2020년, pp.81 - 88  

이혜경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Infrastructur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strategies for flood mitigation in cities. Although, the diverse benefits of green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are studi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nd 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한 도시 홍수 방재를 위한 비구조적 저감 방안 제시를 위해 GI의 실증분석을 Landsat 8 위성 자료,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통계분석 활용을 통해 GI의 경관지수와 도시 홍수와의 영향 관계분석을 하였다. 즉, 스마트한 도시 홍수 방재계획의 실증적 방안 제시를 위해 고해상도 지리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GI 분포 및 측정에 대한 정밀도를 높이고, GI의 스마트한 계획을 반영한 방재의 전략적 도구로서 효율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 또한, 본 연구는 도시홍수와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의 관계뿐만 아니라, 서울 및 6대 광역시와 같이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공간적 범위에서 GI의 공간 구성 및 배치와 함께 개발요소의 공간 구성 및 배치가 홍수피해 저감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연구가설과 달리 개발패턴의 연결성이 높아질수록 홍수피해액이 감소하며, 개발요소 중 유효한 요소는 격리(isolation) 부분으로 개발면적 주변 800m 반경 안에 개발면적의 요소가 적게 모여있을수록 홍수피해액이 낮게 나타나며, 개발면적 요소와 주변 개발면적 요소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홍수피해액은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본 연구는 GI와 도시 홍수와의 관계를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GI 공간 배치와 구성의 유의한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또한, 본연구의 공간적 범위와 같이 도시지역 인구밀도가 높은 분석 대상지의 경우, GI의 공간적 특성뿐만 아니라, 불투수 성격의 토지이용 즉 개발 패턴의 공간적 구성이 도시 홍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어,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환경 공간정보서비스 토지피복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불투수 토지이용과 홍수피해와의 관계 또한 추가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비구조적 저감대책수단으로 GI 공간 계획 요소 적용을 위한 실증적인 분석, GI의 공간 요소와 개발요소 공간 계획을 함께 고려한 연구로서 도시방재계획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추후 연구에 있어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진 도시홍수와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의 양적인 요소와 함께 실질적인 공간 구성과 분포 요소와 도시홍수의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의 효과적인 계획을 위한 실증적 근거 제시 및 비구조적 저감 대책의 새로운 시각을 제안한다.
  • 녹색 식물인 경우,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율이 근적외선 영역보다 적으며, 따라서 정규화 식생지수의 값이 양수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의 정규화 식생지수 분류 기준을 참고, 고해상도 위성사진을 이용한 정규화 식생지수 수치 분석을 바탕으로 GI를 측정하였다.
  • , 2011). 본 연구의 목적인 도시홍수 방재역할과 더불어, 미세먼지 저감 효과로 공기의 질 향상, 도시 열섬 현상 저감효과, 도시의 사회적 취약성 개선 효과 및 도시 공간의 활성화와 경제적 가치 상승 등의 다양한 혜택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한다(Susca et al., 2011; Thiagarajan et al., 2018).
  • 분류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는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줄이며, 도시 방재 계획 측면에서 GI 및 불투수 토지이용 요소의 크기, 모양, 격리, 연결의 세부내용을 실증자료를 고려한 효율적인 적용을 목적으로 하며, 통계 모형은 다음과 같다.
  • 즉, 스마트한 도시 홍수 방재계획의 실증적 방안 제시를 위해 고해상도 지리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GI 분포 및 측정에 대한 정밀도를 높이고, GI의 스마트한 계획을 반영한 방재의 전략적 도구로서 효율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정규화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활용한 도심지 내부 GI 면적 측정 비교 및 경관지수 분석, 2)지역별 도시 홍수피해액과 지역별 GI의 공간적 배치 및 구성과의 관계 분석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한 도시 홍수 방재를 위한 비구조적 저감 방안 제시를 위해 GI의 실증분석을 Landsat 8 위성 자료,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통계분석 활용을 통해 GI의 경관지수와 도시 홍수와의 영향 관계분석을 하였다. 즉, 스마트한 도시 홍수 방재계획의 실증적 방안 제시를 위해 고해상도 지리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GI 분포 및 측정에 대한 정밀도를 높이고, GI의 스마트한 계획을 반영한 방재의 전략적 도구로서 효율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정규화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활용한 도심지 내부 GI 면적 측정 비교 및 경관지수 분석, 2)지역별 도시 홍수피해액과 지역별 GI의 공간적 배치 및 구성과의 관계 분석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ern, J. (2007). Green Infrastructure for Cities: The Spatial Dimension, Cities of the Future Towards Integrated Sustainable Water and Landscape management, London, UK, IWA Publishing. 

  2. Benedict, A., McMahon, E. (2012). Green Infrastructure: Linking Landscapes and Commun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 Brody, S., Highfield, W. (2013). Open Space Protection and Flood Mitigation: A National study, Land Use Policy, 32, pp. 89-95. 

  4. Brody, S., Highfield, W., Kang, J. (2011). Rising Wate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Flooding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Brody, S., Zahran, S., Highfield, W., Grover, H., Vedlitz, S. (2008). Identifying the Impact of the Built Environment on Flood Damage in Texas, Disasters, 32(1), pp. 1-18. 

  6. Burby, J., French, P., Cigler, A. (1985). Flood Plain Land Use Management: A National Assessment, Boulder, CO, Water Press. 

  7. Highfield, W. (2012). Section 404 Permitting in Coastal Texa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ak Streamflow and Wetland Alter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49(4), pp. 892-901. 

  8. Kang, J., Lee, M., Gu, Y., Cho, K., Lee, J. (2011). Urban Renewal Strategy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Use of Green Infrastructure on Flood Mitig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ue. 

  9. Lee, H. (2020). A Panel Data Analysis of a Spatial Measurement of Green Infrastructure and Its Potential Effectiveness on Peak Streamflow, Environment,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22(1), pp.469-500. 

  10. Lindell, M., Prater, C., Perry, R., Nicholson, W. (2006). Hazard Mitigation. In Fundamentals of Emergency Management (Chapter 7). https://training.fema.gov/hiedu/aemrc/booksdownload/fem/ (Nov. 11. 2020) 

  11. Masterson, J., Peacock, W., Van Zandt, S., Grover, H., Schwarz, L., Cooper, J. (2014). Planning for Community Resilience: A Handbok for Reducing Vulnerability to Disasters, Island Press, Washing D.C. 

  12. Meerow, S., Newell, J. (2017). Spatial Planning for Multifunctional Green Infrastructure: Growing Resilience in Detroi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9, pp.62-75. 

  13.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9). 2018 Disaster Annual Report. 

  14. Olivera, F., Defee, B. (2007). Urbanization and its Effect on Runoff in the Whiteoak Bayou Watershed, Texas,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1), pp. 170-182. 

  15. Susca, T., Gaffin, S., Dell'Osso, G. (2011). Positive Effects of Vegetation: Urban Heat Island and Green Roofs, Environmental Pollution, 159, pp. 2119-2116. 

  16. Tang, R., Wu, J., Ye, M., Liu, W. (2019). Impact of Economic Development Levels and Disaster Types on the Short-Term Macroeconomic Consequences of Natural Hazard-Induced Disaster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Science, 10, pp. 371-385. 

  17. Thiagarajan, M., Newman, G., Van Zandt, S. (2018). The Projected Impact of a Neighborhood-Scaled Green-Infrastructure Retrofit, Sustainability, 10, 36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