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방법
A Method of Measuring Accessibility for Community Infrastructure Planning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1, 2020년, pp.21 - 31  

이하연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성표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강상혁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생활인프라에 대한 관심과 재정투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 생활서비스의 공급 및 지원 한계선으로 생활인프라 시설당 소요 시간거리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요 시간거리를 산출할 때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직선거리 버퍼분석이 아닌 실제 이동 경로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경로안내 API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로안내 API를 활용하면 횡단보도, 경사로 등과 같은 이동 제약요소를 반영할 수 있어 한층 현실성 있는 접근성 분석이 가능하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대상으로 지역별 생활인프라 시설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공간분석을 통하여 생활인프라 시설물로부터 소외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더욱 정확하고 현실성 있는 접근성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접근성 측정방법은 각 지역의 도시재생 계획 및 생활인프라 시설 투자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 and financial investment in community infrastructure have been growing. Accordingly,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ggested a standard for community infrastructure planning. The standard was based on time distance which represents citizens' accessibility 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5; Park & Lee,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로안내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활용하여 실제로 시민이 생활인프라 시설물까지 보행 또는 차량으로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간 기반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 왜냐하면 접근성 지수는 가중평균이고, 지리적인 분석은 제외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성이 미흡한 구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것은 GIS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기능으로, GIS 소프트웨어에서 분석을 하면 이런 현실적인 제약 요소를 반영하지 못해 정확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교통량, 횡단보도, 지형경사 등과 같은 현실적인 요소를 반영할 수 있도록 경로안내 API 를 도입하여 생활인프라의 접근성을 측정하고, 그것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생활인프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고,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교통량, 횡단보도, 지형경사 등과 같은 현실적인 요소를 반영할 수 있도록 경로안내 API 를 도입하여 생활인프라의 접근성을 측정하고, 그것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생활인프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고,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보통 거리를 기반으로 접근성을 산출하나 본 연구에서는 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간을 기반으로 접근성을 산출하였다. 시간을 기반으로 접근성을 산출할 경우 육교, 횡단보도 등과 같은 도시의 여러 장애물이 반영된 소요시간을 얻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행정동을 경계로 하여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는 거시적인 분석과 접근 소외지역을 도출하기 위한 미시적인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방법을 통하여 수요자 관점에서의 생활인프라 만족도를 산출하고, 생활인프라 시설물로부터 소외된 지역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 위와 같이 접근성 분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지만, 본연구에서는 인프라 시설물에 시민이 얼마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행정동을 지역적 경계로 하는 접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으로는 가중치를 반영한 시간 기반의 접근성이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가중치 시간 거리 접근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2009)은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소득계층요인에 따른 자연녹지와 도시공원의 접근성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자연녹지와 도시공원의 서비스권역을 측정하기 위하여 GIS 버퍼 분석을 이용하여 접근성을 측정하였다. 위의 세 연구는 실제 이동 경로가 아닌 직선거리를 기반으로 한 GIS 버퍼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이럴 경우 현실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 위와 같이 접근성 분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지만, 본연구에서는 인프라 시설물에 시민이 얼마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행정동을 지역적 경계로 하는 접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으로는 가중치를 반영한 시간 기반의 접근성이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가중치 시간 거리 접근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동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지리적 위치정보는 어떤 과정을 통해 추출되었나? 경로안내 API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지리적인 위치정보가 필요하다. 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ArcGIS 소프트웨어(ESRI, 2018) 를 이용해 주거지와 생활인프라 시설물을 맵핑하고 위치정보를 추출하였다. 이후 경로안내 API(구체적으로는 SK 플래닛에서 제공하는 Tmap API)를 활용하여 주거지에서 시설물까지의 보행 및 차량 이동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하였다.
기초생활인프라는 무엇인가? 그에 따라 생활인프라에 대한 관심과 재정 투자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초생활인프라는 유치원, 초등학교, 도서관,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생활체육시설, 공원과 같이 시민의 기초적인 삶에 필요한 시설들을 의미한다. 현재 기초생활인프라는 인구를 기반으로 공급 여부와 수용용량이 결정된다.
기초생활인프라 제공 기준은? 기초생활인프라는 유치원, 초등학교, 도서관,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생활체육시설, 공원과 같이 시민의 기초적인 삶에 필요한 시설들을 의미한다. 현재 기초생활인프라는 인구를 기반으로 공급 여부와 수용용량이 결정된다. 이를테면 인구 몇 명 당 도서관 1개를 공급한다는 식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ild School Info. (2019). http://e-childschoolinfo.moe.go.kr. accessed on July 2019. 

  2. City of Melbourne. (2014). Community Infrastructure Development Framework. City of Melbourne. 

  3. ESRI. (2018). ArcGIS 10.6.1. ESRI 

  4. Ha, J., and Lee, S. (2017).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to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using Pedestrian Route Guide API Information Service - Focused on Walking Accessibility to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2(3), pp. 155-170. 

  5. Hong, S.J., Shin, W.H., and Shin, W.J. (2017). "A Goodness-of-Fit Test for the National Minimum Standards of Basic Infrastructur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Society, 35(3), pp. 47-64. 

  6. Kim, A.Y., and Jun, B.W. (2012).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Dea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 pp. 76-86. 

  7. Kim, H.J., Lee, J.G., and Yeo, K.H. (2015). "Regional Disparities and Determinants of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Seoul Studies, 16(4), pp. 109-127. 

  8. Kim, S.H., and Kim, Y.J. (2017). "Demand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7), pp. 283-293. 

  9. Lim, Y.R., Chu J.M., Shin, J.Y., Bae H.J., and Park C.S. (2009).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Natural Greenspace and Urban Parks by Income Class Factors - Focusing on Seongnam-si, Gyeonggi-do."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4), pp. 133-146. 

  10. Ma, S.I., and Kim, H.S.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0, pp. 61-75.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8). "Law in Planning and Utilization of National Territory." Law No. 15401.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8). "National City Regeneration Basic Policy Partial Revision (Community Infrastructure Revision of National Minimum Standards)" Notice No. 2018-1790 

  13. Nam, Y.S. (2019). "Evaluation of Locational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Using GIS : Focus on Jeju City Dong Area." Korean Society Leisure & Recreation, 43(3), pp. 69-80. 

  14. Naver Map. (2019). https://map.naver.com. accessed on July 2019. 

  15. Park, J.K., and Kim, I. (2016) "An Analysis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Area and Related Implications : The Case of Busan."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3), pp. 191-221. 

  16. Park, T.S., and Lee, M.Y. (2015). "Accessibility Measure of Cultural Facilities Using Urban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2), pp. 455-464. 

  17. Seong, E.Y. (2018). "Community infrastructure National Minimum Standards a Grand Debate for Maintenance." Resource, pp. 2-21. 

  18. Wang, F., and Xu, Y. (2011). "Estimating O-D Travel Time Matrix by Google Maps API: Implementation, Advantages and Implications." Annals of GIS, 17(4), pp. 199-209. 

  19. Wikipedia (2019). https://ko.wikipedia.org Accessed on September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