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 전후 연령별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Positive Rate of Hepatitis B Surface Antibody by Age before and after HBV Vaccin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77 - 82  

김지로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과) ,  이규택 (제주한라병원 검사의학과) ,  정무상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형 간염 예방접종 전후 연령별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지역 종합병원 검사의학과에 B형 간염 표면항체 검사가 의뢰된 13,855명의 혈청 검체를 대상으로 CMIA법으로 조사하였다. HBs Ab 양성률은 5,176건으로 37.36%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양성률은 여자가 40.13%로 남자의 34.77%보다 높게 나타났다. HBs Ab 측정 평균값이 가장 높은 연령군은 40대(399.86 mIU/mL)이었으며, 가장 낮은 연령군은 90대(211.50 mIU/mL)로 나타났다. HBs Ab 양성률이 가장 높은 연령군은 30대이며, 10대의 양성률이 가장 낮은 분포를 보인 것은 주목할 만하다. 10대~20대의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5, 18, 19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예방접종의 역가의 측정을 고려하고 추가접종 시기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nalyze the positive rate of hepatitis B surface antibody by age before and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13,855 serum specimens who were referred for the hepatitis B surface antibody test at the General Hospital of Jeju Hospital were examined by CMIA method. The positive rate of HBs Ab...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HBV 예방접종 전후 연령별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을 조사하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분포와 지역적인 양성률를 비교하여 B형 간  염 표면항체 생성 추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 경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는 Family  Hepadnaviridae, Genus Orthohepadnavirus로 분류 되는 외피 보유 DNA 바이러스로,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경화나 간암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감염경로는 감염된 혈액의 수혈, 산모에서의 주산기 감염, 성적접촉, 체액에 의한 피부 및 점막을 통한 감염 등으로 전파된다[1,2]. B형 간염에 의한 만성 감염자는 전 세계적으로 2억 4천만 명이며, HBV 감염과 관련된 사망은 약 65만 명으로 보고되고 있다.
추가 예방접종에 대한 권고가 필요한 이유는? B형 간염 예방접종은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 생후 0, 1, 6개월에 3회 접종을 권고하고 있지만, 추가 예방접종에 대해서는 권고사항이 없어 항체 생성의 유무와 역가의 조사가 필요하다. 예방접종을 통해서 얻어진 B형 간염 표면항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항체의 역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13,14].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지침에 따르면 과거의 표면항체 검사에서 양성을 보였던 기왕력이 있는 경우는 최근의 검사에서 음성 결과를 보였다 하더라도 기억면역이 존재하므로 추가접종은 실시하지 않으며, 혈액투석 환자나 면역 저하 자인 경우 매년 항체가를 측정하여 추가접종을 권고 하고 있기에 대상자가 아닌 경우에는 추가접종에 대한 매뉴얼이 없는 실정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란?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는 Family  Hepadnaviridae, Genus Orthohepadnavirus로 분류 되는 외피 보유 DNA 바이러스로,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경화나 간암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감염경로는 감염된 혈액의 수혈, 산모에서의 주산기 감염, 성적접촉, 체액에 의한 피부 및 점막을 통한 감염 등으로 전파된다[1,2]. B형 간염에 의한 만성 감염자는 전 세계적으로 2억 4천만 명이며, HBV 감염과 관련된 사망은 약 65만 명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 K. Lee. (2003). Characteristics of Hepatitis B Virus(HBV) and HBV DNA Quantitative Tests. Korean J Clin Microbiol, 6(2), 89-96. 

  2. H. M. Koh & J. S. Son. (2015). Seroprevalence of Hepatitis A and B Virus Antibody of Employees among Three Companies with Different Health Policy.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5(2), 229-235. DOI : 10.15269/jksoeh.2015.25.2.229 

  3. Y. J. Choi, K. S. Bae, K. H. Kim, D. K. Koh & J. H. Kim. (2018). Therapeutic Efficacy of Lamivudin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Pediatr Infect Vaccine, 25(2), 72-81. DOI : 10.14776/piv.2018.25.e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5. J. H. Kim, K. Seo & H. M. Kim. (2006). A comparative study for the outcome of perinatal hepatitis B prophylaxis according to the dosages of hepatitis B immunoglobulin.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6. E. S. Jang. (2013). Diagnostic Tests for Viral Hepatitis. Korean J Med, 85(3), 267-271. DOI : 10.3904/kjm.2013.85.3.267 

  7. H. M. Kang et al. (2007). Recent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viral hepatitis in a single center of Korea. Korean J Hepatol, 13(4), 495-502. DOI : 10.3350/kjhep.2007.13.4.495 

  8. K. Kim & D. A. Kim. (2013). The Comparison between Serologic Tests and Magicplex HepaTrio Real-time PCR in the Diagnosis of Viral Hepatitis. Lab Med Online, 3(1), 23-28 DOI : 10.3343/lmo.2013.3.1.23 

  9. J. R. Kim. (1979). Study of hepatitis B vaccine. JKMA, 22, 1013-1025. 

  10. M. H. Lee. (2015). The Positive Rates of Anti-HBs and Titers of Antibody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Korean J Clin Lab Sci, 47(2), 78-82. DOI : 10.15324/kjcls.2015.47.2.78 

  11. H. B. Chae, J. H. Kim, J. K. Kim & H. J. Yim. (2009). Current status of liver diseases in Korea: hepatitis B. Korean J Hepatol, 15(Suppl 6), S13-S24. DOI : 10.3350/kjhep.2009.15.s6.s13 

  12. S. Jeong, H. W. Yim, S. H. Bae & W. C. Lee. (2008). Changes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seroprevalence in Korea, 1998-2005. Korean J Epidemiol, 30(1), 119-127. DOI : 10.4178/kje.2008.30.1.119 

  13. W. Jilg, M. SChmit & F. Deinhard. (1988). Persistence of specifics antibodies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J hepatology, 6(2), 201-207. DOI : 10.1016/s0168-8278(88)80032-1 

  14. I. T. Williams, S. T. Goldstein, J. Tufa, S. Tauilli, H. S. Margolis & F. J. Mahoney. (2003). Long term antibody response to hepatitis B vaccination beginning at birth and to subsequent booster vaccination. Pediatr Infect Dis J, 22(2), 157-163. DOI : 10.1097/01.inf.0000050463.28917.25 

  15. S. M. Song, W. I. Oh & D. W. Kim. (2002). Evaluation of Serologic Marker Tests for Hepatitis B Viral Infection Using the Automated Immunoassay System ARCHITECT i2000. Korean J Clin Pathol, 22(1), 42-46. 

  16. J. G. Sim, J. K. Seo, S. J. Suh. (1995). Prevalence and its changes of hepatitis B ciral markers from 1988 to 1993 in Korean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38(11), 1535-1539. 

  17. S. J. Lee et al.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HBsAg and Anti HBs positivies for a recent 15 year period in Korea. Korean J Hepatol, 7(3), 299-307. 

  18. Y. K. Cho & B. C. Song. (2012). Prevention of Viral Hepatitis and Vaccination. Korean J Med, 82(2), 123-133. DOI : 10.3904/kjm.2012.82.2.123 

  19. M. H. Lee. (2015). The Positive Rates of Anti-HBs and Titers of Antibody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Korean J Clin Lab Sci, 47(2), 78-82. DOI : 10.15324/kjcls.2015.47.2.78 

  20. A. Goudeau F. Dubois, G. Barin, MC. Dubois & P. Coursaget. (1983). Hepatitis B vaccine: Clinical trials high risk settings in France (September 1975-September 1982). Develop Biol Standard, 54, 267-278. 

  21. J. H. Na, H. M. Cho, K. T. Chung, S. Woo. Choi, M. J. Park & S. J. Sohn. (2006). Sero-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in University Students.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31(3), 245-253. 

  22. J. H. Seo. (2003).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d Antibody Positive Rat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Jeju.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9(4), 304-314. 

  23. M. K. Jang, J. Y. Lee, J. H. Lee, Y. B. Kim, H. Y. Kim & J. Y. Yoo. (2000). The investigation for the change of HBs Ag positive rate of grade.junior high.high-schoolers for recent 3 years in Kang won province. Korean J Med, 58(6), 608-615. 

  24. D. J. West & G. B. Calandra. (1996). Vaccine induced immunologic memory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mplications for policy on booster vaccination. Vaccine, 14(11), 1019-1027. DOI : 10.1016/0264-410x(96)00062-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