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IPA 분석기법을 통한 공동주택의 무장애공간 인증기준 적합성 분석연구
A Study on the Barrier-Free Space through IPA Method for the Elderly in Multi-family Hous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187 - 194  

김주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 ,  김원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이 되면 시지각 인지장애 및 치매까지도 수반하게 되어 지지적 공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전 및 생명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지지는 연령이나 성별, 신체·정신적 한계를 포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IPA기법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거주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현행 무장애 공간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교차분석결과,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남성보다는 여성그룹의 무장애 공간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은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위생시설의 일부인 세면대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또한 계단 및 승강기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제시되었다. IPA 분석결과, 14가지 인증항목 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BF인증지표는 세면대, 욕실, 샤워실 경보 및 피난시설로 도출되어 위생시설에 대한 보다 면밀한 시설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a human being grew older, followed by visually and perceptually impaired, and dementia, it jeopardizes safety and life unless supportive design is secured for a living environment. This supportive space i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which offers safe-oriented, and simple use by incorpor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에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현행 무장애 공간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기준의 적합성을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무장애 관련 설문 항목을 인증기준내용에 맞추어 개발하고 그 내용을 SPSS 및 IPA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인증항목의 개선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에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현행 무장애 공간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기준의 적합성을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무장애 관련 설문 항목을 인증기준내용에 맞추어 개발하고 그 내용을 SPSS 및 IPA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인증항목의 개선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노인주거를 위한 대상계층에 집중하고 그시설이나 공간의 인증기준 적용을 강화하는데 유효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 택의 무장애 공간의 조성이 중요한 이유는? 고령화시대에 접어들어 노인계층의 대부분이 일일평균 20시간 이상을 실내 거주하는 것을 고려하면 공동주 택의 무장애 공간의 조성은 중요하다. 관련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있어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의무 및 권장항목은 10여 항목에 걸쳐 설정되어 있으나 사용자 계층을 중심으로 설문분석결과, 중요도 및 만족도에 따라 적합성 확인과정에서 인증지표 항목 그 자체에 대한 개선할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노쓰캐롤라이나대 유니버설 디자인센터에서 타당적인 유니버설디자인 구현을 위해 제시한 개념은 무엇인가? 로날드 메이스(Ronald Mace)는 범용 환경에서 보편, 타당적인 유니버설디자인 구현을 위해 지원 성(Supportive design), 적응성(Adaptable design), 접근성(Accessible Design), 안전성(Safety-oriented Design) 등의 디자인 원칙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후 여러 단계의 보완을 거쳐 1999년에 노쓰캐롤라이나대 유니버설 디자인센터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보다 발전된 7가지 개념을 제시하였다.: 공평한 사용(Equitable use), 융통성 있는 사용(Flexibility in use), 간편하고 직관적 사용(Simple & intuitive use),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 실수에 대한 여유치 두기(Tolerance for error), 적은 물리적인 노력(Low physical effort),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Size & space for approach & use)[10].
유니버설디자인이란?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장애인이 건물과 시설에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는 요구가 반영된 무장애 디자인(Barrier-free) 개념에서 비롯되었다. 21세기에 이르러 장애인을 정상인의 범주로 확대하여 접근성 확보위주의 협소한 개념보다는 노화가 진행되어가면서 일상 환경에 부적응화 되어가는 모든 사용자를 포함, 적용되는 인간중심의 보편타당한 디자인원칙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L. Ahn. (2017), A basic study on Universal Design of Outer space, Journal of HCI, 20(3), 95-104. 

  2. Korean government, (2019). Law for Securing Convenience for the handicapped,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Seoul. 

  3. I. H. Kim et al. (2007).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Healing Garden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A.I.K., 27(1), 303-306. 

  4. K. B. Kim et al. (2007).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Urban -rural Complex area and Regional typ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224-236. DOI : 10.5762/KAIS.2017.18.7.224 

  5. E. J. Kwon. (2011). A Study on Interior Space Design for Single Family Seniors, Doctoral Dissertation, Kunkook University. 

  6. Y. J. Kim. (2006). A Study on Housing Renovation Standard to Improve self-sustained life for the Elderly in Single family House, Journal of Human Ecology, 59-89. 

  7. H. C. Yoon et al. (2014). A Study on Variable Living Space Design of Elderly Housing for Elderly Lifetime, Journal of KISD, 9(2), 69-82. 

  8.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019). Law for Certification of Barrier Free Living Environment, 124-126. 

  9. W. P. Kim. (2012).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 Convenient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9(5), 11-20. DOI : 10.7859/kief.2012.19.5.011 

  10. T. K. Lee, et al. (2009). A Study on the Elderly-Friendly Analysis of an Apartment by the Barrier Free Guidelines for the Elderly Housing, Journal of Medical & Welfare Facilities, 15(3), 9-20. 

  11. K. A. Lee & W. P. Kim. (2016). An Improvement which considers Universal Concep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423-432. DOI : 10.5762/KAIS.2016.17.8.423 

  12. H. J. Cho & C. H. Han. (2015). Organizing Properties of Universal Design Certification Based on Barrier Free Liv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3, 122-132. 

  13. D. K. Kim et al. (2009).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Housing of the Elderly to consider their Daily Life Patterns in Japan. Journal of Medical Facility and Well-being, 15(3), 41-50. 

  14. Y. J. Choi & B.E. Park. (2017). A Study on Expandability of Amen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48(7), 119-128. DOI : 10.18555/kicpd.2017.48.10 

  15. M. J. Jo & S. J. Choi. (2009). A Study on the Application Situ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Universal Design of Nursing Home, Journal of Medical Facility and Well-being, 15(3), 21-29. 

  16. M. J. Im. (2015). Difference in physical function and perceived health by the level of frailty in community: residing older adults. 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eoul. 

  17. S. H. Hwang & J. W. Hwang. (2019). Subjective Health Status by degrees Conduc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268-273. DOI : 10.22156/CS45MB.2019.9.8.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