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역 간부 활용이 군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se of Reserve Officers on the Military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23 no.2, 2020년, pp.147 - 158  

한봉규 (육군 분석평가단) ,  양금용 (한국과학기술원 문술미래전략대학원) ,  김각규 (육군 분석평가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directed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Forces troops structures that can respond to security threats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Defense Innovation 2.0, which aims to reorganize the personnel and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population decline. An impl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방개혁 2.0을 통해 상비병력의 감소로 인한 병력 구조와 부대구조 변경에 대하여 최적의 방안을 모색 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개편 동원사단의 전투준비태세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과거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시 병력동원’, ‘전시 차량동원’, ‘전시 차량소통’ 등에 관련된 단편적이고 제한적인 연구내용만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부대의 전투준비태세 능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역 간부를 평시 운영 시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현실에서 얻을 수 없는 일부 데이터를 제외하고 야전부대에서 직접 그 값을 측정하여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고자 노력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편 동원사단의 전투준비 수준을 정량 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전투준비완 료까지의 소요시간에 대하여 ARENA 모델을 활용하여 문제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분석방법과 절차를 정립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현재 개편 동원사단의 전투준비태세 능력에 대비하여 예비역 간부의 연중 상시 복무시 전투력발휘 측면의 직접적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제도 운영에 필요한 소요 예산과 예비역 간부 취업률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 그러나 美 육군분석센터는 전시 민간인 피해율, 평시 동원소집 훈련시 응소율 및 유사 훈련에 대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전시 동원 응소율 분석모 형을 확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美 육군분석센터 에서 연구한 응소율 데이터 [10] 를 활용하여 동원 응소율 분석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현실성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예비역 간부 평시 복무제도’는 동원예비군으로 편성되는 주요 직위에 예비역 간부를 평시부터 복무시켜 전비태세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를 말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원부대의 전투력 발휘 보장 및 예비전력을 정예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중점으로 1) 예비역 간부 평시 복무제도의 시행 시 전투력 발휘 측면에서 얼마나 직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와 2) 이에 따른 전투준비 소요시간의 변화수준을 알아보았다.
  • 본 장에서는 3장의 결과에 따라 육군본부 동원참모 부에서 추진 중인 예비역 간부의 평시 복무제도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예비역 간부 평시 복무제도’는 동원예비군으로 편성되는 주요 직위에 예비역 간부를 평시부터 복무시켜 전비태세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를 말한다.
  • 이는 상비병력 감축과 연계하여 예비군 운용개념을 재정립하고 예비군 편성을 최적화하여 질적 정예화하자는 의견과 평시 편성률이 낮은 동원사단 등의 부대에 전투준비태세 제고를 위해 평시 부터 복무하는 예비군제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맞물려 군에 ‘예비역 간부의 평시 복무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를 적용하여 동원령 발령일을 기준으로 00:01 ~ 23:59 사이에 동일한 확률을 가지고 선포 될 것이므로 동원령 선포시간은 평균값인 0일 12:00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시교육은 동원운영계획에 명시된 최소 교육시간 8시간을 반영하였고 주특기 훈련 위주 필수 훈련을 최단시간 내에 숙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예비군은 어떻게 구분하여 운용되는가? 5만 명으로 전체의 53 % 수준이다. 예비군은 임무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풀타임(Full Time) 근무 제의 ‘상근’과 파트타임(Part Time) 근무제의 ‘비상근’ 으로 구분하여 운용하며, 상근 예비군(Active Guard Reserve)은 현역과 동일한 보수체계로 180일 또는 그이상 계약된 기간동안 복무를 한다 [2] . 상근 예비군의 운용 목적은 상비군에 대한 정원 부담을 해소하는 것으로 법에 정해진 정원 구조의 틀 내에서 전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예비군의 전투준비 소요시간 분석을 위한 ARENA 모델 사용을 위해 어떠한 단계별 시행이 되었는가? 전투준비 소요시간 분석은 전시 초기 전투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해 ARENA 모델을 활용하여 ‘1단계 : 동원훈련 간 실제 소요시간 산출’, ‘2단계 : 입력 DB 수집 및 모델구축 / 검증’, ‘3단계 : 전투준비 단계별 소요시간 결과산출’의 3단계로 시행하였다.
예비전력이 상비 전력과 함께 평시에도 활용되어야한다는 방안이 제시된 배경은 무엇인가? 국방부는 인구감소에 따라 병역의무에 대한 대체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국방개혁 2.0을 통해 전투원의 감소로 인한 병력구조 및 부대구조 변경에 대하여 최적의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검토 방안 중 예비전력이 상비 전력과 함께 평시 전쟁을 억제하고 유사시 국가 생존을 위한 필수 전투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방안에 대해 실효성을 논의 중에 있다 [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 Yeom,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Veteran Service Organizations Focused on Their Organizational Traits and Social Roles,"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pp. 53-55, 2016. 

  2. Jonn Hillen, "Must U.S. Military Culture Reform?," Orbis, Vol. 43, pp. 43-57, 1999. 

  3. Gwangju Ryu, "Study on the Reserve Army Training for the Future Improvement under the Change of Security Environmen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pp. 13-18, 2018. 

  4. J. Yu, "Preliminary Power Generation Plan for Future Security Environment," 2007. 

  5. Security Manage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Perdiction rate of Mobilization Reserve Division," 2012. 

  6. S. Han, "A Study on the R.O.K.'s Manpower Mobilization System and It's Direction for Advancement," The Hansung National University, 2012. 

  7. Hansei University, "Vehicle Mobilization Rate during War," 2013. 

  8. M. Kim, J. Park,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Method of BCTP Training System at the Corps and Division Level," Republic of Korea Army Training @ Doctrine Command, South Korea, pp. 16-20, 2013. 

  9. S. Lee, "A Study on Operation Concept of Mobilization War Game Model,"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pp. 53-55, 2005. 

  10. Nigel Askey, "Operation Barbarosa : the Complete Organizational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Military Simulation Volume I," U.S : Lulu Publishing, pp. 40-45, 2013. 

  11. D. Choi,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War Mobilization System," The Dankook National University, 2012. 

  12. H. Kim, "A Study on the Capabilities Assessment in the Control for Battlefield Circulation Using Fuzzy Theory," The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11. 

  13. H. Kim, "A Study on the Capabilities Assessment in the Control for Battlefield Circulation Using Fuzzy Theory,"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pp. 2-5, 2010. 

  14. KID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untermeasures for Circulation Control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Simulation of Moving Residents in a Connected Area," 2015. 

  15. Kuipers, Lauwerens, "Uniform Distribution of Sequences," Dover Pubns, U.S, pp. 86-89, 2007. 

  16. Army Headquarters, "FM : Obstacle Operation," Republic of Korea Army, pp. 101-107, 2015. 

  17. W. David Kelton, Randall P. Sadowski and David T. Sturrock, "Simulation with ARENA," Boston : McGraw-Hill Higher Education, U.S, pp. 15-23, 2009. 

  18. S. Oh, "An Empirical Study on the Optimal Size of Reserve Forces,"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pp. 28-35, 2017. 

  19.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ssessment of Combat Readiness,"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Korea, 2018. 

  20. M. Heo, "Guidance of Statistical Survey," Freedom Academy, Paju, Gyeonggi-do, South Korea, pp. 41-72, 2011. 

  21. Michael J. Crawley, "Statistics: An Introduction Using R, 2nd Edition," Wiley, U.S., pp. 4-16, 2014. 

  2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Executive Order No. 28594: Government Employee Remuneration Regulation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public of Korea, 2017. 

  2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m.kosis.kr/mobService/MobViewList01.do 

  24. National Statistical Office, "Guideline for Economical Active Population," 2018. 

  25. Korea Army, "Army Statistics Portal," 2014-2016. 

  26.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Letter of Instruction No. 1837," 2018. 

  27. B. Han, "The Effectiveness on Regular Service System of the Reserve Office," KIMST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2164-2165, June, 2019. 

  28. G.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erve Service System: 2015 Army Headquarters Policy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Military Affairs, South Korea, pp. 90-111,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