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교사들의 HCK 분석 :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Prospective Teachers' HCK : Focused on Understandings of Inverse Function Symbol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1, 2020년, pp.67 - 88  

신보미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러 국외 연구는 SMK의 주요 특징을 HCK와 관련하여 설명하면서 수학 교사 교육의 핵심 목표 중 하나로 HCK의 개발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국내에는 SMK의 하위 요소로서 HCK의 구체적인 의미를 살피거나 우리나라 교사들이 지닌 HCK의 특징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에 이 연구는 Ball & Bass(2009)의 관점에서 HCK를 다룬 국외 연구를 검토하여 대학 수학을 통해 개발될 필요가 있는 HCK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 수학의 목표가 AMT 개발에 있음을 강조한 Zazkis & Leikin(2010)에 따라 AMT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HCK 개발의 기반이 되는 AMT의 핵심 특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HCK를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분석하기 위한 지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예비교사 57명에게 적용하여 얻은 답변 자료를 검사 도구 개발 의도 및 함수 개념 수준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역함수 및 역함수 기호와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지닌 HCK의 특징을 4가지로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특징이 지닌 시사점을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HCK 개발의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Horizon Content Knowledge(HCK) related to understandings of an inverse function symbol. This study aimed to deduce implications of developing HCK in terms of the means which would enhanc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수학 교사 지식을 분석한 국내 연구 대부분은 SMK보다 PCK를 주로 다루었으며(송근영, 방정숙, 2013), 수학 교사의 HCK를 Ball & Bass(2009)의 관점에서 살피는데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밝힌 HCK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지식으로서 의미있는 HCK를 개발하기 위해 좀 더 강조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탐색하여 HCK의 의미를 풍부히 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HCK를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에서 HCK가 갖는 시사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밝힌 HCK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지식으로서 의미있는 HCK를 개발하기 위해 좀 더 강조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탐색하여 HCK의 의미를 풍부히 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HCK를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에서 HCK가 갖는 시사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사 지식으로서 의미있는 HCK를 개발하기 위해 교사 교육과정에서 강조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탐색하여 HCK의 의미를 풍부히 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들의 HCK를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에서 HCK가 갖는 시사점을 기술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의 이론적 토대로 이 장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에 따르면 HCK의 개발을 위해 대학 수학에서는 연결성 관련 수학적 사고 및 수학에 대한 구조적 통찰 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수학적 대상을 과정-개념으로 파악하는 AMT 활동을 통해 함양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예비교사들이 지닌 HCK의 특징을 역함수 기호 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표 Ⅳ-1>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역함수 및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로부터 드러난 HCK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문항 1, 2, 3의 구체적인 답변에 비추어 상술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HCK 개발과 관련되는 시사점을 살펴본다.
  • 두 기호 f-1 과 5-1에 쓰인 위 첨자 -1 을 완전히 다른 의미로 보아 역함수와 역수에 어떤 관련성도 없음을 강조한 예비교사들 중 11명은 문항 1에서 [그림 Ⅳ-13]과 같이 실생활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함으로써 학생이 겪는 어려움을 돕고자 하였다(연구문제 1).
  • 이 연구는 여러 국외 연구가 수학 교사 교육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HCK 개발에 주목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SMK의 하위 요소로서 HCK의 구체적인 의미를 살피거나 우리나라 교사들 이 지닌 HCK의 특징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아쉬움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 지식으로서 의미있는 HCK를 개발하기 위해 교사 교육과정에서 강조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탐색하여 HCK의 의미를 풍부히 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들의 HCK를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에서 HCK가 갖는 시사점을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선행연구에 따르면 HCK의 개발을 위해 대학 수학에서는 연결성 관련 수학적 사고 및 수학에 대한 구조적 통찰 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수학적 대상을 과정-개념으로 파악하는 AMT 활동을 통해 함양될 수 있다.
  • , 2013) 등으로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는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예비교사들이 지닌 HCK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 다수가 역함수를 학교 수학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어 대수적 군 구조에 비추어 역함수의 의미를 통찰하는 HCK 개발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함수를 함수의 합성에 대한 역원으로 바라보는 HCK를 지닌 예비 교사들 중 일부는 학교 수학의 역함수 지도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알고 있는 대학 수학의 내 용을 학생에게 그대로 전달하기도 하였다.

가설 설정

  • 1. 학생에게 제시하는 설명의 양상은 역함수에 대한 HCK 수준에 의해 대부분 결정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고희정, 고상숙(2013).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57-185.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서울: 저자. 

  3. 송근영, 방정숙(2013).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65-287. 

  4. 양선아, 이수진(2019). 학교 수학과 대학 수학 사이의 연계성에 대한 중등교사의 전문성 분석-대학 수학에 대한 인식과 대수 영역에 대한 MKT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21(2), 419-439. 

  5. 이준열 외(2017). 고등학교 수학. 서울: 천재교육. 

  6. Adler, J., & Davis, Z. (2006). Opening another black box: Researching mathematics for teaching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7(4), 270-296. 

  7. Ball, D.,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8. Ball, D., & Bass, H. (2009). With an eye on the mathematical horizon: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to learners'mathematical futures. Paper presented at the 2009 Curtis Center Mathematics and Teaching Conference, LA: University of California. 

  9. Brousseau, G. (1998).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 Brown, C., & Reynolds, B. (2007). Delineating four conceptions of function: A case of composition and inverse. In T. Lamberg, & L. R. Wiest (Eds.), Proceeding of the 29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90-193) NV: University of Nevada. 

  11. Cho, Y., & Tee, F. (2018). Complementing mathematics teachers' horizon content knowledge with an elementary-on-advanced aspect. Pedagogical Research, 3(1), 1-11. 

  12. Dubinsky, E. (1991). Reflective abstraction in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95-123).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 Figueiras, L., Ribeiro, M., Carrillo, J., Fernandez, S., & Deuloffeu, J. (2011). Teachers' advanced mathematical knowledge for solving mathematics teaching challenges: A response to Zazkis and Mamolo.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1(3), 26-28. 

  14. Guberman, R., & Gorev, D. (2015). Knowledge concerning the mathematical horizon: A close view.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7, 165-182. 

  15. Harel, G., & Kaput, J. (1991). The role of conceptual entities and their symbols in building advanced mathematical concepts.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82-94).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6. Harel, G. (2013). Intellectual need. In K. Leatham (Ed.) Vital direc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p. 119-152). NY: Springer. 

  17. Hodgen, J. (2011). Knowing and identity: A situated theory of mathematics knowledge in teaching.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27-42). NY: Springer. 

  18. Jakobsen, A., Thames, M. H., Ribeiro, C. M. (2013). Delineating issues related to Horizon Content Knowledge for mathematics teaching. In B. Ubuz, C. Haser, & M. A. Mariotti (Eds.), Proceedings of CERME 8 (pp. 3125-3134). Turkey: ERME. 

  19. Klein, F. (1932).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Arithmetic, algebra, analysis (Vol. 1. E. R. Hedrick & C. A. Noble trans.) NY: Macmillan. (Original work published 1924). 

  20. Ma, L. (1996). Profound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What is it, why is it important, and how is it attain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1. Mamolo, A. (2010). Polysemy of symbols: Signs of ambiguity.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7(2), 247-262. 

  22. Mellone, M., Jakobsen, A., & Ribeiro, C. M. (2015). Mathematics educator transformation(s) by reflecting on students' non-standard reasoning. In K. Krainer & N. Vondrova (Eds.), Proceedings of CERME 9 (pp. 2874-2880). Prague: ERME 

  23. Montes, M., Riberiro, M., Carrillo, J., & Kilpatrick, J. (2016). Understanding mathematics from a higher standpoint as a teacher: An unpacked example. In Csikos, C., Rausch, A., & Szitanyi, J. (Eds.), Proceedings of the 4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of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3, (pp. 351-322). Hungary: PME. 

  24. Mosvold, R., & Fauskanger, J. (2014).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al Horizon Content Kno wledge. International Journal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1-16. 

  25.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26. Tall, D. (1991). The psychology of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3-21).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Tall, D. (2013). How humans learn to think mathematically : Exploring the three worlds of mathematic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Turner, F. & Rowland, T. (2011). The knowledge Quartet as an organising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deepening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195-212). NY: Springer. 

  29. Vale, C., McAndrew, A, & Krishnan, S. (2011). Connecting with the horizon: Developing teachers' appreciation of mathematical structur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4, 193-212. 

  30. Vinner, S. (1991). The role of defini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65-81).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1. Wasserman, N., Weber, K., Villanueva, M., & Mejia-Ramos, J. P. (2018). Mathematics teachers' view about the limited utility of real analysis: A transport model hypothesis. The Journal of Mathematics Behavior, 50, 74-89. 

  32. Watson, J., Beswick, K., & Brown, N. (2006). Teachers' knowledge of their students as learners and how to intervene. In P. Grootenboer, R. Zevenbergen, & M. Chinnappan (Eds.), Identities, cultures and learning spaces: Proceedings of the 29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pp. 551-558). Adelaide: MERGA. 

  33. William, B. (2010). How mathematicians think : Using ambiguity, contradiction, and paradox to create mathema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Zazkis, R., & Leizin, R. (2010). Advanced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ractice: Perceptions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 263-281. 

  35. Zazkis, R., & Mamolo, A. (2011). Reconceptualizing knowledge at the mathematical horizon.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1(2), 8-13. 

  36. Zazkis, R., & Zazkis, D. (2014). Script writ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Imaginary conversations on the structure of number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1) 54-70. 

  37. Zazkis, R., & Marmur, O. (2018). Groups to the rescue: Responding to situations of contingency. In N. H. Wasserman (Ed.), Connecting abstract algebra to secondary mathematics for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p. 363-387) NY: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