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불안감소 처치프로그램에서 남녀 성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by the Treatment Program(UTF) for Reducing Math Anxiety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1, 2020년, pp.111 - 127  

고상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러 연구에서 수학불안(MA)은 학생들의 수학교과에서의 성취도(MC)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며 여학생집단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10차시 복합적 처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비교적 MA가 높은 남녀 학생 26명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사후에 수학불안검사지(MASS)와 성취도검사지(MCS)에 의해 수집한 두 성차집단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처치프로그램을 통해 두 집단 모두 MA는 감소하였으나 MC에서는 여학생만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적과 심리적 측면에 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주 목적인 MA의 감소에서 남녀 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으며, 남학생의 MC측면에서 더 부가적인 절차와 안내가 따라야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ny studies, mathematics anxiety (MA) is a major factor affecting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MC) and is reported to have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female students. In the study, we developed a complex treatment program consisting of 10 lesson units, to reduce mathematic anxiety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출산과 같은 인구감소에 대한 문제는 유럽과 북미지역 여러 선진국에서 이미 경험한 문제로서 다문화권의 인구유입확대와 여성 인재개발에 힘을 쏟아서 극복한 사례가 많다. 같은 맥락에서 본 성차연구에서는 여학생의 변화를 남학생과 비교해 봄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처치프로그램의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처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남녀 학생 26명에게 적용하여 처치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처치프로그램의 실행 사전, 사후에 수학불안검사지(Math Anxiety Scale for Students: MASS)와 성취도검사지(Mathematical Achievement Scale: MCS)에 의해 수집한 두 성차집단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여 수학불안 감소의 효과를 조명해 봄으로써 앞으로 이루어질 후속연구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수학불안의 검사지의 하위요인들의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정서적(심리적)과 인지적 측면들의 향상을 꾀하는 복합적 처치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의 여러 영역 중에 고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의 기초에 해당하는 대수와 함수적사고의 향상과 부정적인 인식의 개선을 위해 복합적 처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면밀히 파악하고자 검사지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 우리 인간은 뇌에서 정서적측면과 인지적 측면이 통합되어 작용한다는 것(Choi-Koh 외, 2019; Sousa, 2015)을 가정하고 정서적측면은 결손이론을 바탕으로, 인지적 측면은 인지적 간섭이론을 바탕으로 이들의 요인들을 긍정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으로 처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써 의미있다 하겠다.
  • 본 연구는 수학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여름방학 동안 10차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경기지역의 두 학교로부터 참여의사를 받았는데 참여 학생의 선택은 교사의 추천과 학부모의 동의서를 통해 결정하였다.
  • 본 연구는 수학불안이 비교적 높은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처치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분석결과 고등학교 1학년 26명을 대상으로 대수와 함수내용 각각 5차시로 구성된 처치프로그램은 전체 학생들에게 연구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이다.
  • 이는 처치프로그램이 전체 학생들에게 수학불안을 감소시켰으며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인 성차에 대해서는 수학불안은 하위요인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각 하위요인에서도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각 변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 자신의 수학불안을 진단하고 과거의 실패된 부분을 되돌아보아 “나도 할 수 있다”를 강화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특히 학생 혼자 극복하지 못할 수가 있으므로 동료와의 협업으로 그리고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실패를 성공으로 개선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의 뇌에서는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이 통합하여 작용을 하게 되므로 각 종속변인에서 두 집단의 효과는 이런 복합적 처치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와 MC 간의 관계성을 다룰 때 주로 언급되는 이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MA와 MC 간의 관계성을 다룰 때 주로 언급되는 이론은 첫째, 인지적 간섭이론(cognitive interference theory, Wine, 1980)으로 ’높은 수준의 불안은 이전 학습에 대한 기억을 방해하여 낮은성취도를 초래한다‘는 것이고, 둘째, 결손이론(deficit theory, Tobias, 1986)으로 ‘불안은 과거의 열악한성과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나타난다'는 이 두 가지가 있다. 인지적 간섭이론은 한정된 작업기억에서 처리해야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최근 뇌 과학 연구를 통해 수학불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다(e.
수학에 대한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누적된 부정적인 인식을 위한 심리상담을 할때, 무엇이 상담자적 역할을 할 수 있는가? 또한 결손이론은 수학에 대한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누적된 부정적인 인식에 의한 것이므로 전문적 심리상담을 통해 개선되는 사례들을 발굴해 나가야 한다. 이때 학생 개개인에 대한 관심을 지닌 전문가(수학교사)의 피드백이 상담자적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정체성확립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런 처치를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는 기회를 갖는다면 자아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인지적 간섭이론은 무엇인가? MA와 MC 간의 관계성을 다룰 때 주로 언급되는 이론은 첫째, 인지적 간섭이론(cognitive interference theory, Wine, 1980)으로 ’높은 수준의 불안은 이전 학습에 대한 기억을 방해하여 낮은성취도를 초래한다‘는 것이고, 둘째, 결손이론(deficit theory, Tobias, 1986)으로 ‘불안은 과거의 열악한성과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나타난다'는 이 두 가지가 있다. 인지적 간섭이론은 한정된 작업기억에서 처리해야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최근 뇌 과학 연구를 통해 수학불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다(e.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고상숙, 한혜숙, 김현주, 이동근, 이창연, 박우홍 외 3인 (2020). 고등학교 신규 수학 교재 모형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BD-20020005.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 고호경, 이현숙 (2012). 중, 고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요인별 수학 불안의 차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87-509. 

  3.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2007 결과보고서. 연구보고서 RRE-3-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현주, 고상숙 (2019). 수학불안감소를 위한 K-UTF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문화연구, 25(5), 789-812. 

  5. 상경아, 곽영순, 박지현, 박상욱 (2016).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얀구: TIMSS 2015 결과 분석. 연구보고서 RRE 2016-15-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손리사 (2019). 메타인지학습법: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 서울: 21세기북스. 

  7. 윤락경, 전인호 (2010).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83-613. 

  8. 이창연, 고상숙 (2016). 비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 의한 고등학생 수학불안집단 간의 뇌파 연구. 수학교육, 55(3), 383-396. 

  9. 정재복, 황우형 (2013). 분할노트기법과 코넬노트기법을 활용한 쓰기 활동이 수학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과교육연구, 6(1), 37-65. 

  10. 최택영, 김시주, 김현태(2003). 수학불안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6(2), 127-142. 

  11. 한세호, 고상숙(2016). 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뇌파반응에 따른 수학불안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6(2), 205-224. 

  12. 허혜자(1996). 수학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Abed, A.S., & Alkhateeb, H.M. (2001). Mathematics anxiety among eighth-grade students of the United Arab Emirate. Psychology Rep, 89, 65. 

  14. Aschcraft, M., & Faust, M. (1994). Mathematics anxiety and mental arithmetics performance: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Cognition and Emotion, 8, 97-125. 

  15. Ashcraft, M., & Ridley, K. (2005). Math Anxiety and its cognitive consequences: a tutorial review. In J.D. Campbell(Ed.), the Handbook of Mathematical Cognition(pp. 315-327). NY: Psychology Press. 

  16. Birgin, O., Baloglu, M., Catlioglu, H., & Gurbuz, R. (2010).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anxiety among six through eighth grade students in Turkey. Learning Individual Difference, 20, 654-658. 

  17. Brown, M., Brown, P., & Bibby, T. (2010). "I would rather die": reasons given by 16-year olds for not continuing their study in mathematic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3-18. 

  18. Chiu, L., & Henry, L.L. (199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children. Mes Eval Couns Devel, 23, 121-127. 

  19. Choi-Koh, S., & Ryoo, B. (2019). Differences of math anxiety groups based on two measurements, MASS and EEG. Education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al Psychology, 39(5), 659-677. 

  20. Devine, A., Fawcett, K., Szucs, D., & Dawker, A. (2012). Gender differences in math anxiety and the relation to mathematics performance while controlling the test anxiety. Behavioral and Brain Functions, 8, 1-9. 

  21. Dew, K.H., & Galassi, J.P. (1983). Mathematics anxiety: some basic issues.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0, 443-446. 

  22. Else-Quest, N.M., Hyde, J.S., & Linn, M.C. (2010). Cross-national patterns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 meta-analysis. Psychology Bulletin, 136, 103-127. 

  23. Hackett, G. (1985).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the choice of math-realted majors of college women and men: a path analysis. Journal Counselor in Psychology, 32, 47-56. 

  24. Hackett, G., & Betz, N.E. (1989). An exploration of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performance corresponde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 261-273. 

  25. Hembree, R. (1990). The nature, effects, and relief of mathematics anxie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46. 

  26. Hopko, D.R., Mahadevan, R., Bare, R.L., & Hunt, M.K. (2003). The Abbreviated math anxiety scale(AMAS): construc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10, 178-182. 

  27. Ko, H.K., & Yi, H.S.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4), 509-521. 

  28. Ma, X. (1999).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toward mathematic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 Education, 30, 520-540. 

  29. Ma, X., & Xu, J. (2004). Determining the causal ordering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10, 256-281. 

  30. Meece, J.L., Wigfield, A., & Eccles, J.S. (1990). Predictors of math anxiety and its influence on young adolescents' course enrollment intentions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60-70. 

  31. Pajares, F. (2005).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In A. M. Gallagher, & J.C. Kaufmann(Eds.),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An integrative psychological approach(pp. 294-315).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Passolunghi, M.C. (2011).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in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of Education, 58, 61-63. 

  33. Plake, B.S., & Parker, C.S. (198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evised version of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Educational Psychology Measurement, 42, 551-557. 

  34. Richardson, F.C., & Suinn, R.M. (1972).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6), 551-554. 

  35. Richardson, F.C., & Woolfolk, L.L. (1980). Math anxiety. In I. G. Sarason(Ed.), Test Anxiet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pp. 275-28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Rubinsten, O., & Tannock, R. (2010). Mathematics anxie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calculia. Behavior and Brain Function, 46, 1-13. 

  37. Sandman, R.S. (1979). Factors related to mathematics anxiety in the seconda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lifornia. 

  38. Sepie, A., & Keeling, B. (1978).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anxiety and under-achievement in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2, 15-19. 

  39. Sheffield, D., & Hunt, T. (2007). How does anxiety influence maths performance and what can we do about it? MSOR Connections, 6(4), 19-23. 

  40. Slavin, R.E.(1978). Using Student Team Learning. The Johns Hopkins Team Learning Project. 

  41. Sousa, D. A. (2015). How the Brain Learns Mathematics. CA: Corwin, A Sage Company. 

  42. Suinn, R.M., & Winston, E.H. (2003).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a brief version: psychometric data. Psychology Rep. 92, 167-173. 

  43. Tapia, M. (2004). The relationship of math anxiety and gender. Academic Exchange Quarterly, 8, 130-134. 

  44. Tobias, S. (1986). Anxiety and cognitive processing of instruction. In R. Schwarzer(Ed.), Self-related Cognition in Anxiety and Motivation(pp. 35-5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Tobias, S. (1987). Mandatory text review and interaction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2), 154. 

  46. Tobias, S. (1995). Overcoming Math Anxiety(Revised and Exp). NY: Norton & Co. 

  47. Wigfield, A., & Meece, J.L. (1988). Math anxiet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10-216. 

  48. Wine, J. (1980). Cognitive attentional theory of test anxiety. In I. G. Sarason(Ed.), Test Anxiet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pp. 349-38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9. Yuksel-Sahin, F. (2008). Math anxiety among 4th and 5th grade Turkis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3, 179-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