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대기 중 PM2.5 내 OC와 EC로부터 SOC 추정방법의 비교 평가
Validation for SOC Estimation from OC and EC concentration in PM2.5 measured at Seoul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6 no.1, 2020년, pp.19 - 30  

유하영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기애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용표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과) ,  정창훈 (경인여자대학교 보건의료관리과) ,  신혜정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문광주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박승명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이지이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rganic carbon in the ambient particulate matter (PM) is divided into primary organic carbon (POC) and secondary organic carbon (SOC) by their formation way. To regulate PM effectively,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POC and SOC separately is one of important consideration. Since SOC cannot b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인 서울에서 2012년 10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PM2.5 내 OC와 EC 데이터에 위 세 가지의 SOC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각 방법에 대한 SOC 추정치를 비교 분석하여 서울 지역에서의 적절한 (OC/EC)pri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기 중 OC와 EC 측정결과의 시간 해상도에 따른 SOC 추정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일별 평균을 적용한 데이터와 일반적으로 필터 포집 후 탄소성분을 분석하는 경우(24시간 동안 측정하는 경우)에 대한 (OC/EC)pri와 SOC 값을 추정하여, 1시간 단위로 측정한 데이터에서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 , 2012).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기 중 PM2.5 내 OC와 EC의 1년치 농도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기존에 제안된 (OC/EC)pri를 산정하는 세 가지 방법들에 적용하여, 서울에서 SOC를 산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 내 유기탄소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미세먼지 내 유기탄소(Organic Carbon, OC)는 발생원에 따라 일차유기탄소(Primary Organic Carbon, POC)와 이차유기탄소(Secondary Organic Carbon, SOC)으로 구분된다. POC는 차량 배기(He et al.
SOC의 정의는? , 2008)와 같은 배 출원에서 대기에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탄소를 의미한다. SOC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과 대기 중 산화성 기체성분들이 광화학반응을 진행하여 생성된 유기물질들의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유기탄소로 정의한다(Odum et al., 1997; Bowman et al.
미세먼지 내 탄소 성분의 효과적인 저감을 위해 탄소성분들의 1차 배출원의 영향과 더불어 2차 생성의 정량화가 필요한 이유는? , 1997). 대기에 직접 배출되는 POC는 제어를 통해 대기 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대기중에서 생성되는 SOC가 지배적일 경우에는 직접 배출되는 POC만을 관리해서는 대기 중의 OC를 제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내 탄소 성분의 효과적인 저감을 위해서는 탄소성분들의 1차 배출원의 영향과 더불어 2차 생성의 정량화가 필요하다(Lar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wman, F., Odum, J., Pandis, S.N., and Seinfeld, J.H. (1997). Mathematical model for gas-particle partitioning of secondary organic aerosols, Atmospheric Environment, 31, 3921-3931. 

  2. Castro, L.M., Pio, C.A., Harrison, R.M, and Smith, D.J.T. (1999). Carbonaceous aerosol in urban and rural European atmospheres: Estimation of secondary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33(17), 2771-2781. 

  3. Choi, J.K., Heo, J.B., Ban, S.J., Yi, S.M., and Zoh, K.D. (2012).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2.5 aerosol in Incheo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60, 583-592. 

  4. Chu, L.C., and Macias, E.S. (1981). Carbonaceous urban aerosol primary or secondary? in Atmospheric aerosol: source air quality relationship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 C, pp.251-268. 

  5. Gray H. A. (1986). Control of atmospheric fine primary carbon particle concentrations, EQL Report, 23, 103-108. 

  6. Gray, H.A., Cass, G.R., Huntzicker, J.J., Heyerdahl, E.K., and Rau, J.A. (1986).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particle concentrations in Las Angel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 580-589. 

  7. Han, Y.M., Han, Z.W., Cao, J.J., Chow, J.C., Watson, J.G., An, Z.S., Liu, S.X., and Zhang, R.J. (2008).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ceous aerosol over a rural high-mountain lake area, Northern China and its transport significance, Atmospheric Environment, 42, 2405-2414. 

  8. He, L.Y., Hu, M., Zhang, Y.H., Huang, X.F., and Yao, T.T. (2008). Fine particle emissions from on-road vehicles in the Zhujiang tunnel, China,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 4461-4466. 

  9. Hildemann, L.M., Markowski, G.R., and Cass, G.R. (1991). Chemical composition of emissions from urban sources of fine organic aerosol,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7, 744-759. 

  10. Jeon, H., Park, J., Kim, H., Sung, M., Choi, J., Hong, Y., and Hong, J. (2015). The characteristics of PM2.5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eoul metropolitan and inflow background area in Korea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5(3), 261-271. 

  11. Kim, Y., Seo, J., Kim, J.Y., Lee, J.Y., Kim, H., and Kim, B.M. (2018). Characterization of PM2.5 and identification of transported secondary and biomass burning contribution in Seoul, Korea,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5, 4330-4343. 

  12. Larson, S.M., Cass, R.G., and Gray, H.A. (1989). Atmospheric carbon particles and the Los Angeles visibility proble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28, 1565-1579. 

  13. Lim, H.J., and Turpin, B.J. (2002). Origins of primary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in Atlanta: Results of time-resolved measurements during the Atlanta supersite experi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6(21), 4489-4496. 

  14. Lin, P., Hu, M., Deng, Z., Slanina, J., Han, S., Kondo, Y., Takegawa, N., Miyazaki, Y., Zhao, Y., and Sugimoto, N. (2009).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organic carbon in PM2.5 in Beijing and the estimation of secondary organic carb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4, D00G11. 

  15. Millet, D.B., Donahue, N.M., Pandis, S.N., Polidori, A., Stanier, C.O., Turpin, B.J., and Goldstein, A.H. (2005). Atmospheric volatile organic compound measurements during the Pittsburgh Air Quality Study: Results, interpretation, and quantific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contribu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0, D07S07. 

  16.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A Study on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s (PM2.5), 242-244. 

  17.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2011 Annual Report of Intensive Monitoring Station, NIER-GP2012-310. 

  18.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Case Study of High PM Episodes Observed in Intensive Monitoring Station (2016). 

  19. Odum, J.R., Jungkamp, T.P.W., Griffin, R.J., Flagan, R.C., and Seinfeld, J.H. (1997). The atmospheric aerosol-forming potential of whole gasoline vapor, Science, 276, 96-99. 

  20. Strader, R., Lurmann, F., and Pandis, S.N. (1999). Evalua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in winter, Atmospheric Environment, 33(29), 4849-4863. 

  21. Turpin, B.J., and Huntzicker, J.J. (1995). Identifica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episodes and quantific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concentration during SCAQS, Atmospheric Environment, 29, 3527-3544. 

  22. Turpin, B.J., and Huntzicker, J.J. (1991). Secondary formation of organic aerosol in the Los Angeles basin: a descriptive analysis of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concentra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25A, 207-215. 

  23. Wolff, G.T., Groblicki, P.J., Cadle, S.H., and Countess, R.J. (1982). Particulate carbon at various locations in the United States, Particulate Carbon: Atmospheric Life Cycle, Plenum, New York, NY, pp.297-315. 

  24. Wu, C., Wu, D., and Yu, J. Z. (2019). Estim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of secondary organic carbon using 1 year of hourly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24, 2774-2795. 

  25. Wu, C., and Yu, J.Z. (2016). Determination of primary combustion source organic carbon-to-elemental carbon (OC/EC) ratio using ambient OC and EC measurements: secondary OC-EC correlation minimization method,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6, 5453-5465. 

  26. Zhang, Y., Schauer, J.J., Zhang, Y., Zeng, L., Wei, Y., Liu, Y., and Shao, M.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carbon emissions from real-world Chinese coal combustio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14), 5068-5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