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1, 2020년, pp.259 - 268  

강영숙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자영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뷰티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의 결정요인을 발견하고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일련의 특징적인 요소를 제안하고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Senior Club과 Senior Welfare Center를 대상으로 500 명의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70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요인분석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족 관계, 건강 및 경제적 요소와 같은 개인의 특성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가족관계와 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 잠재적인 노인인 중장년층은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동안 경력개발을 위한 훈련과 교육, 사회적 지원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활동은 노년에 경제적 자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 set of characteristic factors that are supposed to affect elderly life satisfaction were suggested and empirically analyzed. To achieve this study used fi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노인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신체적인 활동이 감소와 사회적인 소외감이나 주변인과의 관계에 단절과 함께 사회적 소외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진단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 노인 에게 안정감을 주는 긍정적 노화인식을 주는 사회적 지지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살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진단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규명함 으로서 고령사회 진입한 시점에서 은퇴를 준비하고 있는 중장년층 세대에게 은퇴준비와 관련해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연구 구성은 노인의 개인적 특성으로 가족관계,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요인으로 구성하고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수들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노인의 개인적 특성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개인적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단계에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무엇인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1단계 에서는 종교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없는 경우보다 종교가 있는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삶의 질이나 만족도는 어떠한가?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과거 어느 때보다 노년기의 삶이 개인의 인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이 삶의 질이나 만족도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노인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신체적인 활동이 감소와 사회적인 소외감이나 주변인과의 관계에 단절과 함께 사회적 소외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진단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해 정서적으로 느끼는 개인적 가치나 긍정적 평가로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된다(권중돈·손의성, 2010). 인간은 삶의 전과정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거나 증진할 수 있는 도전과 기회를 갖게 되며, 삶의 마지막 단계의 노인은 자아존중감 향상의 기회는 상대적으로 제한이 되는데, 노년의 높은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를 비롯한 노인의 긍정적 정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수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임진주,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uslander, G. A., & Litwin, H.(1990). Social Support Networks and Formal Help Seeking, Differences Between Applicants to Social Services and a Nonapplicant Sample. Journal of Gerontology, 45(3), 112-119. 

  2. Bae, N. R., & Park, C. S.(2009).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761-779. 

  3. Borg, C., Hallberg, I. R., & Blomqvis, K.(2006).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people (65+) with reduced self ­care capacity, the relationship to social, health and financial aspec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5), 607-618. 

  4. Bosworth, H. B.. & Schaie, K. W.(1997). The Relationship of Social Environment, Social Networks, and Health Outcomes in The Seattle Longitudinal Study, Two Analytical Approache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2(5), 197-2O5. 

  5. Bowling, A.(1994).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among older people and implications for emotional well-being and psychiatric morbidity.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6, 41-77. 

  6. Cho, D. H.(2015). Analysis on the determinant of life satisfactionby using panel data.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7(1), 5-27. 

  7. Cho, K. B.(2005). (A)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derly life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8. Choi, H. S., & Ha, J. C.(2012).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3), 559-568. 

  9. Chung, S. D., & Sung, M. H.(2012).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ge Group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4), 249-272. 

  10. Chung, H. J., & Kim, T. H., & Lee, D. S.(2000). Related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Chonbuk-do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2), 49-70. 

  11.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12. Cohen, S. E.,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19. 

  13. Dementianews(2019). Aging Index in Korea. 2019.2.27., Retrieved from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9. 

  14. Franco, A.(2017). Current status and societal measures against the ageism in the French Society. From Ageism towards Anti-Ageism, Realities & Solutions. 

  15. Han, J. R., & Kim, S. H.(2004).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on the Life-Satisfaction of the Older Men and Women in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6, 91-118. 

  16. Helliwell, J. F., & Shun W.(2014). Life Satisfaction in Korea, Trends, Distributions, and Explanations, Sung Wang eds. Measuring and Explaning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Korea Development Institute L. 

  17. Hopman-R. M., Kraaimaat F. W., & Bijlsma, J. W. J.(1997). Quality of life in elderly subjects with pain in the hip or knee. Quality of Life Research, 6(1), 27-34. 

  18. Joo, W. T.(2018). The Effects of Elderly Assets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19. Jung, S. S(2014).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on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self-esteem.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Venture Hoseo University. 

  20. Kalish, R. A., & Knudtson, F. W.(1976). Attachment versus disengagement, a life-span conceptualization. Human Development, 19(3), 171-181. 

  21. Kang, G. L., & Park, C. W.(2017). 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 on the Entrepreneurial Reemployment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5), 177-189. 

  22. Kapteyn, A., Smith, J. P., & Soest, A. V.(2009). Comparing Life Satisfaction, Labor and Population, Working Paper. 

  23. Kim, C. S., & Yoo, S. H.(2009). The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ife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One's Personal Backgrounds. Social Science Research, 25(4), 51-73. 

  24. Kim, C. S., & Kim, I. K.(2000).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2), 155-168. 

  25. Kim, E. Y.(2017). Effects of Difference Age and Anxiety about Aging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26. Kim, K. S.(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Mokwon University. 

  27. Kim, M. R.(2002). Thr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rson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28. Kim, S. S., & Lim, W. K.(2017). A Study 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Baby boomer's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5), 101-115. 

  29. Kim, S. Y., Kim, J. S., & Youn, H. S.(2004).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4(2), 111-128. 

  30. Kwon, M. K.(2018). The study on quality of life in old age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an's University. 

  31. Kwon J. D., & Sohn, E. S.(2010). The Influences of Self-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Age Discrimination upon the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9, 81-106. 

  32. Lee, D. S.(2004). Effects of participations in leisure activities on perceiv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3. L'm, C. H.(2005). (A) Study on Life Traits of The Old Ag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Style.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an's University. 

  34. Min, K. J., Kim, K. J., & Cha, C. G.(2001). A Study on the Fath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Index of the Aged in Daejon Area.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2), 1-26. 

  35. Moon, S. K., & Park, S. Y.(2012). Family Support, Work Conditions, and Depression in Elderly Adults. Family and Family Therapy, 20(3), 487-504. 

  36. Park, S. M., Son, J. A., & Bae, S. W.(2001).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prospectiv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cience Research, 25(3), 1-24. 

  37. Park, Y. D.(2015).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on production activities and preparation by the old age.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Nambu University. 

  38. Rim, J. J.(2007).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Master'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39. Sutherland, D., & Murphy E.(1995).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in two community programs. J Geronto Nur, 21(2), 31-38. 

  40. Taft, L. B.(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s in Nursing Sciences, 8(1), 77-84. 

  41. Won, K. H., & Kim, Y. H.(2015). Relationship between Retirees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6), 225-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