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기후·지형 데이터를 이용한 DMZ 불모지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the damaged areas in the DMZ (demilitarized zone)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climate and topography dat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1, 2020년, pp.1 - 14  

이아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신현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박기쁨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정지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성찬용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1) identified the damaged areas along the south limit line (SLL)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by the military's 'DMZ barren land campaign', and 2) categorized the identified damaged areas into a few ecological types.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we delineated the tota...

Keyword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Rapideye 영상을 활용하여 DMZ 남방한계선 철책을 따라 형성된 DMZ 내부 불모지를 파악하고, 이들 불모지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불모지 유형화를 수행하여, 향후 불모지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MZ 불모지 작전이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DMZ 내부와 인근 지역 생태계는 남북한 군의 군사작전과 자연적․인위적 산불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이다(Kim, 2010). 국군은 ‘DMZ 불모지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DMZ 철책과 초소 등 군사시설 인접 지역에서 시야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식생을 제거하고 있고, 북한군도 비슷한 군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DMZ 인근에는 식생 훼손지가 형성되어, 주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강우시 심각한 토사 유출로 군사 시설 유지와 관리도 어려운 상황이다(Kim and Cho, 2005).
DMZ에서 Rapideye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정된 ‘위성정보 보안관리 규정’에서는 국가보안시설 이 촬영된 고해상도 위성영상(공간 해상도 4m 초과)의 공개를 제한하고 있다(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08). 이에 따라 국내에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려면 보안당국의 검열을 통해 군사보안시설을 암영 처리한 영상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군사시설들이 대부분인 DMZ 특성상, 검열 후 고해상도 영상은 데이터로서 가치를 상실한다. 이에 국내법상 검열 없이 활용할 수 있는 가장 고해상도 영상인 Rapideye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DMZ 내불모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ideye 정사영상(level 3A)의 지상표본거리는 5m이다(Planet Labs, 2016).
DMZ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어떤 것이 있는가? DMZ는 남북한 분단이라는 정치적 상황이 만들어낸 특이한 생태환경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정부도 DMZ를국가 핵심생태축으로 지정하였고(Ministry of Environment, 2015),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과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세계자연보전연맹)의 KBA(Key Biodiversity Area; 핵심생물다양성지역)로 지정하려는 등, DMZ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DMZ 내부와 인근 지역 생태계는 남북한 군의 군사작전과 자연적․인위적 산불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이다(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urges CJC. 1998. A Tutorial on Support Vector Machines for Pattern Recognition.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2 : 121-167. 

  2. Choi J, Lee S, Lee SA, Ji SY and Lee PSH. 2016.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for Ecological Restorations by Damaged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1) : 121-13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Fick SE and Hijmans RJ. 2017. WorldClim 2 : new 1-km spatial resolution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7(12) : 4302-4315. 

  4. Hartigan JA and Wong MA. 1979. Algorithm AS 136: A K-Means Clustering Algorithm.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Applied Statistics). 28(1) : 100-108. 

  5. Kim KG. 2010. Land of Peace and Life, DMZ. Dreammedia. p. 471. (in Korean) 

  6. Kim KG and Cho DG. 2005. Status and ecological resource value of the Republic of Korea’s De-militarized Zone.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 : 3-15. 

  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Plan for establish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of DMZ area. p. 144. (in Korean) 

  8. Lee PSH, Lee S, Lee SA and Choi J. 2015.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Degraded Environments Near DMZ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1) : 135-15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Lim JH. 2000. Management and health effects of veterans exposed to agent orange. Environmental Forum of National Assembly in Korea. p.282-297.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3rd Basic Plan for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2016-2025. Nature Conservation Bureau, Ministry of Environment. p. 175. (in Korean) 

  1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08. Geographic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Regulations authorized by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URL: http://www.law.go.kr/admRulInfoP.do?admRulSeq2000000005158#AJAX (in Korean) 

  12.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7.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ap Announcement. URL: https://asterweb.jpl.nasa.gov/gdem.asp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Survey of ecosystem in DMZ area; Central zone of North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 233. (in Korean) 

  14. Planet Labs. 2016. Rapideye Imagery Product Specifications. URL: https://www.planet.com/products/satellite-imagery/files/160625-RapidEye%20Image-Product-Specifications.pdf 

  15. Shin HT, Kwon YH, Kim NG, et al. 2016. DMZ 155 miles. Korea National Arboretum. p. 352. (in Korean) 

  16. Sung CY. 2015. Simulation of crane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region after Korean reunific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4: 10-18. 

  17. Sung HC, Kim SR, Kang DI, Seo JY and Lee SM. 2016. Analysis on the Type of Damaged Land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Restoration Di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1) : 185-19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Sung HC, Seo JY and Lee SM. 2017. Study on Database Construction of Demilitarized Z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1) : 143-15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