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기준 적용을 통한 설악산 보호구역 평가
Assesment of Protected Mt. Seorak Areas in Korea Applied by the Key Biodiversity Areas(KBA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1, 2020년, pp.37 - 48  

성정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기획운영본부) ,  강신구 (산림청 수목원조성사업단) ,  김근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core areas applied by the global conservation criteria to promote the public awareness to the protected areas and the value cognition of the Key Biodiversity Areas (KBAs), targeting the Mt Seorak,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globally important biodiversity areas.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기준 A, B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설악산 일대에 출현하는 생물종을 파악한 후 이를 대상으로 국제적 Redlist 등급과 해당종의 서식처, 개체수 등의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설악산 일대의 생물상 자료 수집을 우선으로 하였다. 생물상은 2015년 9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10회 현지답사를 바탕으로 대상지 내 출현하는 식물종을 채집하여 기록한 뒤 동정․확인한 후 표본화 하였으며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및 파충류는 문헌조사(Gang et al.
  • 본 연구는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설악산 일대를 대상으로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기존 우리나라 보호구역 현황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적용 가능한 설악산 보호구역을 평가하였다. 국제 기준의 평가내용은 성숙개체수, 적정 서식처의 규모, 유전자 다양성 등 기초자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적용되는 평가기준은 A, B항목만 해당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설악산을 대상으로 IUCN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보호구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제고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의 가치인식을 도모하기 위한 방편으로 핵심지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구역위원회의 역할은? , 2018; Hong and Shim, 2018). 보호구역위원회(WCPA)는 생물다양성 증진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처 개념에서 보호지역과 관련한 전문지식을 공유하고 있다. 2004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세계보전총회(WCC)는 지구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 지구적으로 반드시 보전이 필요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Key Biodiversity Areas)을 국제적으로 인식하고 각 분야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2016년 10월 하와이에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평가기준이 최종 확정되었다.
설악산지역의 생물상 조사는 어떻게 진행하였는가? 따라서 설악산 일대의 생물상 자료 수집을 우선으로 하였다. 생물상은 2015년 9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10회 현지답사를 바탕으로 대상지 내 출현하는 식물종을 채집하여 기록한 뒤 동정․확인한 후 표본화 하였으며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및 파충류는 문헌조사(Gang et al., 2005; Han, 1998; Hong et al., 2010; Jang et al., 2002; Kim and Chun, 1992; Kim et al., 1997; Kim et al., 1998;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2006, 2010; Kwon, 20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2009;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Park, 1998; Park, 2002; Park et al., 2011; Son et al., 2011)를 병행하였다. 설악산 일대에 생물종의 위치정보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자연자원조사 보고서에 기록된 2.0km×2.0km 크기 132개의 격자(grid)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0). 또한, 자생지의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1:25,000 지형도, 한국디지털 지형도(Garmin, MapSource V7), GPS(Garmin, oregon300) 활용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의 평가기준에 부합하는 생물종은 자생지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종보전위원회의 역할은? 전 세계 자원 및 자연보호를 위해 설립된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은 업무수행을 위해 11,000여명의 전문가가 6개 위원회로 나뉘어 각자의 전문적인 역할에 맞게 지구생태계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종보전위원회(SSC: Species Survival Commission)는 적색목록(Red list)을 기준으로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종의 보전 등을 위한 직접적 역할을 하고 있다(Lee et al., 2018; Hong and Shim,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Fahrig, L. and G. Merriam. 1994. Conservation of fragmented populations. Conservation biology, 8(1) : 50-59. 

  2. Gang, H. S.. J. Y. Kim and K. Park. 2005. Habitat Connectivity between S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with a Consideration of Wildlife Home Range, Kor, J. Env. Eco, 19(2) : 150-161.(in Korean) 

  3. Han, S. Y. 1998. The Ecological studies of eurasian otter(Lutra lutra)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Univ. of Kyungnam, Changwon, 112.(in Korean) 

  4. Hong, M. P.. H. J. Lee. Y. M Chun and B. R. Hong. 2010. Flora of Mt. Seorak, Gangwondo. Kor. J. Env. Eco, 24(4): 436-486.(in Korean) 

  5. Hong, J. P. and Shim, Y. J. 2018.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Evaluation Method for National Protected Areas Based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J. Korean. Env. Res. Tech. 21(1) : 83-94.(in Korean) 

  6. Hong, J. P..Shim, Y. J and Heo, H. Y. 2017.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Expanding National Protected Areas, Korean. Env. Res. Tech. 20(6) : 93-105.(in Korean) 

  7.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IUCN 

  8. IUCN, 2007. Identification and Gap Analysis of Key Biodiversity Areas Targets for Comprehensive Protected Area Systems. IUCN. 134. 

  9. Jang, M. H.. G. I. Cho. J. Y. Ha. K. S. Jeong. S. B. Park and G. J. Joo. 2002. Fish Distribution in Seorak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Ichthyol. 14(4) : 278-288.(in Korean) 

  10. Jo, J. W.. K. C. Kim. G, H. Kwun. G, W. Ki m. B. K. Lee. B. C. Song and J. G. Park. 2015. Current statu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Seorakans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9(5) : 710-717.(in Korean) 

  11. Kim, Y. S.. K. H. Kang. J. K. Bae and H. T. Shin. 1997. Flora of Oesorak in Soraksan Nation Park. Kor. J. Env. Eco. 10(2) : 211-239.(in Korean) 

  12. Kim, Y. S.. D. O. Lim. S. H. Chun. K. H. Kang and H. T. Shin. 1998. Flora of Na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 415-432.(in Korean) 

  13. Kim, T. W and S. H. Chun. 1992. A study on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alpine region around Daecheong peak in Mt. Seolag area. Seoul National Univ. Col. of Agric. Rec. 12 : 1-12.(in Korean) 

  14. Kim, S. J. 2019. The study on identify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based on the flora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transboundary in Korea. Yeongnaml National Univ. 255.(in Korean) 

  1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Resource Monitoring for Sorak National Park.: Fourth year. Sorak Management office of Korea National Park Service, 443.(in Korean) 

  1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UCN Category to Protected Areas in Korea Focus on Korea National Park, 150.(in Korean) 

  1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0. Survey of Natural Resourc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698.(in Korean) 

  18. Kwon, Y. S. 2013. A Study on Avian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rategies in National Parks, South Korea.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3(2) : 16-17.(in Korean) 

  19. Langhammer, P. F.. M. I. Bakarr. L. A. Bennun. T. M. Brooks. R. P. Clay. W. Darwall. N. DeSilva. G. J. Edgar. G. Eken. L. D. Fishpool. G. A. Da Fonseca. M. N. Foster. D. H. Knox. P. Matiku. E. A. Radford. A. S. Rodrigues. P. Salaman. W. Sechrest and A. W. Tordoff. 2007a. Identification and Gap Analysis of Key Biodiversity Areas: Targets for Comprehensive Protected Area Systems. IUCN, Gland, Switzerland. 

  20. Langhammer, P. F.. M. I. Bakarr. L. Bennun and T. M. Brooks. 2007b. Identification and gap analysis of key biodiversity areas: targets for comprehensive protected area systems (No. 15). IUCN. 

  21. Lee, K. I.. J. H. Hwang. R. I. Jang. J. E. Ryu and S. W. Jeon. 2018. Study on the Appropriate Spatial unit to Measure Biodi- versity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 Korean. Env. Res. Tech. 21(5) : 29-37.(in Korean) 

  22. Margules, C. R and R. L. Pressey. 2000.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Nature 405 : 243-253.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458.(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National Park Service, Jejudo and IUCN, 2009. Protect Area of Korea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n the protected area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149.(in Korean) 

  25.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2010 Winter Bird Simultaneous Sensi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588. (in Korean) 

  2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2010 A Study on the Ecosystem of Baekdudaegan Protection A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4.(in Korean). 

  27. Olson, D. M. and E. Dinerstein. 1998. The Global 200: a representation approach to conserving the Earth’s most biologically valuable ecoregions. Conservation Biology 12 : 502-515. 

  28. Park, K. H.. J. I. Son and J. H. Gwon. 2011. A Study on Vascular Plants around the Seobuk -Ridgeline of Se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1) : 19-32.(in Korean) 

  29. Park, B. S. 1998. Herpetofauna in S?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2) : 184-190.(in Korean) 

  30. Park, J. Y. 2002.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of Kyunghee, Seoul, 530.(in Korean) 

  31. Pressey, R. L.. Johnson, I. R and P. D. Wilson. 1994. Shades of irreplaceability: towards a measure of the contribution of sites to a reservation goal. Biodiversity & Conservation, 3(3) : 242-262. 

  32. Pressey, R. L and K. H. Taffs. 2001. Scheduling conservation action in production landscapes: priority areas in western New South Wales defined by irreplaceability and vulnerability to vegetation loss. Biological Conservation, 100(3) : 355-376. 

  33. Shaffer, M. L. 1981. Minimum population sizes for species conservation. BioScience, 31(2) : 131-134. 

  34. Shaffer, M. L. 1990.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Conservation biology, 4(1) : 39-40. 

  35. Shin, H. T. 1997. Study on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ed Habitats. M.S. Thesis, Univ. of Yeungnam, Gyeongsan, 41 (in Korean). 

  36. Son, S. H.. J. Y. Kim. J. I. Jo and D. S. Kong. 2011. Altitudinal Distribution Aspec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a Mountain Stream of Seoraksan. K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5) : 680-688(in Korean). 

  37. Suzuki, K.. T. Shimamoto. Y. Takizawa. H. Kamigaichi. M. Ando and H. Yanagawa. 2011. Nest site characteristics of Pteromys momonga in the Tanzawa Mountains. Journal of the Mam- malogical Society of Japan 51(1) : 65-69. 

  38. Way, D. S. 1978 Terrain analysis. A guide to site selection using aerial photographic interpretation. Van Nostrand. New York. 4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