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중심 학습(PBL)에 기반한 수업 지도 내용 탐색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관련 이론을 대상으로-
Investigation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College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6 no.2, 2020년, pp.229 - 251  

황혜정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osu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achiev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the learner's mathematical prerequisite knowledge. In addition, the recent instructional situations or environments hav...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때 예비 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수학교육 관련 교과목들이 개설되어 여러 다양한 수학교육 이론들이 다뤄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준경험주의 구성주의 학습심리학에 관한 이론들을 대상으로 주에 15 걸쳐 진행할 수 있는 수업 지도 내 용을 구성하였다. 즉 각 차시마다 달성해야 하는 학습 목표 및 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거시적 과제를 제시하여 해당 차시에 습득해야 할 전반적인 내용 개념 또는 이론 을 개략적으로 숙지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미시적 과제들을 해결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해당 내용 및 주요 개념을 익히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지향 되는 수업을 이끌고자 하였다 또 차시마다 개인별 또는 모둠별로 학습을 진행한 후 발표 및 토론을 거치고 또한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해당 차시에 다뤄지 는 학습 내용이 견고히 이해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관한 실험 적용이나 통계 검증을 하지 못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향후 본 연 구 결과를 토대로 실험 적용 및 그에 따른 결과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이란? PBL , 은 비구조적이고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제의 제시로부터 학습이 시작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을 익히게 되고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 아가며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으 ․ 로 강미애 송상헌 학생들을 문제 상황 속에 참여시키고 주어진 전 ( , , 2011), 체적 (holistic) 문제 속에서 교수자가 학생들의 사고와 이해를 이끌어 주는 특성을 포 함한다 중심의 학습은 고 (Torp & Sage, 2001). PBL 등사고 능력과 함께 지식을 전이시키고 융합시킬 수 있는 능력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용 , 능력까지 포함하면서 미, , , 래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역량 가령 창의력 문제해 결력 의사소통능력 자기 관리 능력 자기 주도 학습력 , , , ( 등을 아우를 수 있다 안 효정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 2013).
전통적 교수 설계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내세운 백워드 이론은 무엇인가? 전통적 교수 설계의 가장 큰 문제로 특정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해당 단원 내용을 통합적으로 포괄하는 거시적 개념 이 ‘big ideas( )’ 없다는 점을 내세우며 이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Backward Design( )' 199 백워드 이론 을 년에 주창하 8 였 다. 백워드 이론은 학습경험 선정 조· 직 단계와 평가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 제시 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한 . 마디로 백워드 이론은 해당 단원의 전체를 아우르는 학습 목표가 포함된 수행과제를 제시하고, 그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내용을 학 습한 후 학습된 내용을 통해 처 , 음에 제시된 수행과제의 해결을 통해 수업이 완 성되도록 이끄는 설계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Wiggins & McTighe, 2005). 백워 드 이론은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거나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면서 주요한 아이디어나 개념을 익힌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이론과 PBL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의 특징 3가지는? 또 자기 주도적 학습은 , 같이 교사 주도의 , 타인 학습에 비해 자 기 주도성의 능력과 욕구를 가진 존재로 보는 자아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 , 자의 경험을 중시하며 개인에 따라 학습준비도가 다르고 문제해결 중심의 학습 지향성을 가지며 내적 동기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진다 자기 주 (Knowles, 1975). 도적 학습의 특징으로는 첫째, 학습에 대한 의지가 내부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둘 째, 자신에게 맞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내적․외적 자원을 학습자 스스로 선택 하고 찾아낼 수 있어야 하며, , , 마지막으로 학습의 계획 실행 반성 및 평가에 이 르기까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이이 ( , 2012). 든 따라서 학습자의 자 기 주도적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이 기본 전 략이다( , , 200 박영희 이용성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미애, 송상헌 (2011).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학교수학, 13(1), 189-206. 

  2. 강인애(1998).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서울: 문음사.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세종: 교육부. 

  4. 김진호, 이소민 (2008).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한 한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학교수학, 10(1), 105-121. 

  5. 김부미 (2007). 수학 워크북 도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구성 방안 제안. 수학교육학연구, 17(3), 271-293. 

  6. 김슬비, 황혜정 (2015). 예비교사의 문제 생성과 재구성 활동에 관한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9(3), 533-551. 

  7. 박영배 (1996). 수학 교수 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영희, 이용성 (2004). 웹 자료 활용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 4학년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6(1), 37-57. 

  9. 박지현 (2018).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현황과 과제. 교육광장(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17. 

  10. 안효정(2013). 융합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STEAM 기반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염시창, 박철영 (2011).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의 분석-. 수학교육, 50(1), 103-118. 

  12. 윤운성 (2012). 한국형 에니어그램 자기 주도 학습 모형 개발. 에니어그램연구, 9(2), 39-60. 

  13. 이이든 (2012).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종희, 김선희, 김부미, 김기연 (2008). 수학 교과에서 익힘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2(2), 335-352. 

  15. 최주영, 박성선 (2014). GSP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도형의 대칭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59-474. 

  16. 허난(2009).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허난, 강옥기 (2010).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255-274. 

  18. 허혜자, 최정임 (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64. 

  19.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6).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 황혜정, 허난 (2016). 수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융합적 사고력 신장 도모에 관한 의의 -역사 소재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0(2), 161-178. 

  21. 황혜정, 박현주 (2016). 수학 교과에서의 수행과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 탐색 -백워드 이론을 기반으로-. , 수학교육, 55(1), 102-127. 

  22. 홍기칠 (2014).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의 타당화. 사고개발, 10(2), 1-30. 

  23.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24. Brooks, J., & Brooks, M. (1993).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Alexandria, VI: ASCD 

  25. Danielson, C. (1997). A collection of performance tasks & rubrics: Middle school mathematics,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26.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27. Merrill, M. D., Li, Z., & Jones, M. K. (1990). Limitations of First Generation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30(1), 7-11. 

  28. Newman, M. (2004). Problem Based Learning: An exploration of the method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in a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me. London: School of Lifelong Learning & Education, Middlesex University 

  29.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30. Torp, L. & Sage, S. (2001). Problem as Possibilities : Problem-Based Learning K-16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1.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