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the 2nd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Cheongju Cit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1, 2020년, pp.5 - 27  

곽동철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국내 지자체들은 경쟁적으로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각 지자체마다 외부 전문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체 현황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청주시는 2011년에 제1차 계획(2012~2016)을, 2016년에 "제2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2017~2021)"을 수립하여 시행해오고 있다. 이 연구는 청주시의 제2차 계획에 대한 중간 점검 성격으로, 2차 계획의 수립 내용과 현안 등을 분석하여 계획 대비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1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였다.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문화 환경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계획의 추진 전략과 운영 성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청주시 공공도서관 발전의 핵심요소인 조직체계 확충과 전문 인력 충원 및 예산지원 확대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competitively shown great interests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public libraries and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With this, an increasing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recentl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ir p...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책과 함께 행복한 시민 문화를 확산해 나가고자 한다. ‘책 읽는 청주’ 시민독서운동으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읽고, 토론하고, 쓰는 독서문화를 누리고, 아기와 엄마가 책을 매개로 바른 양육을 해나갈 수 있는 아기랑 함께하는 책사랑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제2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이후에 발표된 국가 차원의 계획인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9)과 함께, 지자체 차원에서 발표된 최근 연구결과들을 참조하여 최근까지 그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 참조한 지자체 관련 자료로 「2025년 천안시 도서관 장기종 합발전계획」(천안시 2016),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 정책연구」(동 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2017),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미래 정책개발 연구」(충청남도 2018), 「김포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김포시 2019), 「제1차 진천군 도서관 발전 및 독서문화 진흥 종합계획 수립」(진천군 2019), 「충청북도 지역 교육문화 복합공간(도서관) 조성방안 연구용역」(충청북도교육청 2019), 「교육문화관 (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강원도교육청 2019) 등이 있다.
  • ‘책 읽는 청주’ 시민독서운동으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읽고, 토론하고, 쓰는 독서문화를 누리고, 아기와 엄마가 책을 매개로 바른 양육을 해나갈 수 있는 아기랑 함께하는 책사랑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북누리 축제가 2019년 대한민국 독서대전을 개최한 청주의 상징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대표적인 책 축제로 발전시켜 나간다.
  • 특히, 이 연구에서는 필자가 연구책임자를 맡아 제1차 계획에 이어서 수행한 제2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에 대한 중간 점검 성격으로, 2차 계획의 수립 내용과 함께 현안 등을 분석하여 계획 대비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우선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1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 하였다.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문화 환경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 셋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계획과 추진현황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조직체계 확충과 전문 인력 충원 및 예산지원 확대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 특히, 이 연구에서는 필자가 연구책임자를 맡아 제1차 계획에 이어서 수행한 제2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에 대한 중간 점검 성격으로, 2차 계획의 수립 내용과 함께 현안 등을 분석하여 계획 대비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우선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1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주시의 도서관 인프라는 2011년 에 어떻게 되는가? 지금까지 기초지방 자치단체(이하부터 ‘지방자치단체’는 ‘지자체’로 기술함) 차원에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을 연속해서 외부 전문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수립한 곳은 청주시와 천안시 정도일 것으로 여겨진다. 2011년 당시 청주시의 도서관 인프라는 인구 661,793명에 공공도서관 5개 관, 작은도서관 40관이 운영 중이었고, 운영인력 43명, 장서구입비 4억6천5백89만원, 이용자수 1,741,392명 등으로 비슷한 규모의 지자체와 비교하여 도서관 수와 운영인력 규모에서 취약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 당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제외하면 청주시는 2003년 청주시립정보도서관(현재 ‘청주시립도서관’으로 명칭 변경)이 개관되기 전까지는 시립공공도서관이 1개관도 없는 전국 유일의 도청 소재지였다.
청주시 도서관발전계획은 어떤 계획이었는가? 지난 2011년도 제시된 제1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은 기초지자체인 청주시 차원에서 수립한 기초연구였다. 청주시 도서관발전계획은 공공도서관 사업의 정책 당사자인 기초지자체의 도서관사업에 대한 책무를 명확히 하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세부 추진과제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용한 계획이었다. 즉, 제1차 계획은 민선 5기 청주시의 시정 방향으로 제시되었던 “미래의 희망이 자라는 교육문화도시”에 부응하여 도서관 사업의 비전을 “도서관과 함께하는 명품교육문화도시 구현”으로 설정하고, 생활 속의 도서관과 스마트한 도서관, 함께하는 도서관을 목표로 6가지의 세부추진 전략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하였다(청주시립도서관 2011, 132).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중 1차 계획은 어떤 것을 목표로 하였는가? 청주시 도서관발전계획은 공공도서관 사업의 정책 당사자인 기초지자체의 도서관사업에 대한 책무를 명확히 하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세부 추진과제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용한 계획이었다. 즉, 제1차 계획은 민선 5기 청주시의 시정 방향으로 제시되었던 “미래의 희망이 자라는 교육문화도시”에 부응하여 도서관 사업의 비전을 “도서관과 함께하는 명품교육문화도시 구현”으로 설정하고, 생활 속의 도서관과 스마트한 도서관, 함께하는 도서관을 목표로 6가지의 세부추진 전략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하였다(청주시립도서관 2011, 1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9.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to Enable Operation for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s(Libraries) in Gangwon-do. Cheongju: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of Cheongju University. 

  2. Kwack, Dong-Chul. 2012.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Cheongju City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265-283. 

  3. Kwack, Dong-Chul. 2016. "A Study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25-47. 

  4. Kim, Chun-Sik. 2019. "Cheongju City's Efforts to Expand Readings Together Driving Changes in People and Society." 2019 Korea Reading Competition-The city of Reading Books, Cheongju Forum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Culture. Cheongju: the Group of lawmakers who love the library of the Cheongju City Council. 

  5. Kimpo City. 2019.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Kimpo City Public Librarie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6.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2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2014. Sejong: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7.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3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9-2023. 2019a. Sejong: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8.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3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9-2023. Pamphlet. 2019b. [online] [cited 2010. 1. 13.] 

  9.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2017. A Study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oul: Seoul Educational Policy Institute. 

  10. Yoon, Hye-Young. 2019.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e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2): 69-90. 

  11. Chang, Woo-Kwon, Park, Seong-Woo and Yeo, Jin-Won.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 345-367. 

  12. Jincheon-Gun. 2019. The First Comprehensive Developing Public Libraries & Promoting Reading Culture in Jincheon-Gu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3-4450000-000054-01 

  13. Cheongju City. 2018. Meeting Materials of the Cheongju Reading Culture Promotion Committee. Cheongju: Cheongju City Public Libraries. 

  14. Cheongju City. 2016. The Secon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Cheongju City Public Librarie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3-5710150-000001-13. 

  15. Cheongju City Library. 2011.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Cheongju City Public Libraries. Cheongju: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of Cheongju University. 

  16. Chungcheongnam-do. 2018. A Study on the Future Policy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in Chungcheongnam-do. Seoul: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of Jungang University. 

  17.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2019. A study on the Develpoment of Educational and Cultural Complex(library) in Chungcheongbuk-do. Suwon: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of Suwo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8.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online] [cited 2020. 1. 13.] 

  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online] [cited 2020. 1. 13.] 

  20. Hompage of Cheongju City Library. [online] [cited 2020. 1. 13.] 

  21. Hompage of Cheongju City. [online] [cited 2020. 1. 13.] 

  22. Mayor of Cheongju 2020 New Year's Address. [online] [cited 2010. 1. 13.] 

  23. Cheonju Administrative Map. [online] [cited 2010. 1. 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