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풍 내습 시 자갈 해빈의 지형반응 - 부산 태종대 감지 해빈의 사례
Morphologic Response of Gravel Beach to Typhoon Invasion - A Case Study of Gamji Beach Taejongdae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1, 2020년, pp.19 - 30  

이영윤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학과) ,  장태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갈해빈에 대한 태풍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태종대 감지 자갈해빈에서 2018년 10월에 내습한 태풍 '콩레이'와 2019년 7월의 태풍 '다나스'에 대하여 VRS-GPS, 드론 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전반적인 퇴적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입도분석을 하였으며, 자갈해빈의 회복력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감지해빈의 지형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자갈퇴적물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평균 -6.2Φ에서 -5.4Φ로 세립해지며, 해안선의 수직방향으로는 포말대(swash zone)에서 상대적으로 세립한 구형의 퇴적물(-4.5Φ)이, 범(berm)에서는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편평한 퇴적물(-5Φ - -6Φ)이 나타난다. 감지 자갈해빈은 특징적으로 2열의 범을 갖는데, 해빈의 전방에 정상조건에서 형성되는 하부 범(lower berm)과 약 10 m 후방에 상부 범(upper berm)이 존재한다. 태풍 콩레이 내습 후 감지해빈은 육지쪽에 위치한 상부 범에서 약 1.4 m의 침식이 발생하여 상부 범이 사라졌고, 상부 범의 배후지에서는 평균 약 50 cm 침식되어 그 고도가 낮아졌으나, 하부 범에서의 침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상대적으로 위력이 약한 태풍 다나스의 경우, 내습 직후 감지해빈은 하부 범과 상부 범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평균 80 cm 높이의 퇴적물이 침식되었으나, 반면 배후지에서는 50 cm 높이의 퇴적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내습 후 하부 범에서 빠른 속도로 퇴적이 발생하여 내습 약 3일내에 소실되었던 하부 범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지 자갈해빈이 태풍에 의한 지형변화가 일시적으로 발생하지만, 이후 정상조건에서 태풍 이전의 지형으로 매우 빠르게 회복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갈해빈의 경우 태풍침식에 대한 복원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yphoons on Gamji gravel beach Taejongdae in Busan, we carried out beach profiling using a VRS-GPS system and a Drone photogrammetry for the typhoons 'Kong-rey' invaded in October 2018 and 'Danas' in July 2019. In addition, grain sizes a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o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많은 사질해빈은 현재 지속적인 침식에 노출되어 있으나, 사질해빈과 유사한 외력환경에 놓인 자갈해빈은 태풍에 따른 해안침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2018년 10월 태풍 콩레이와 2019년 7월 태풍 다나스가 한반도를 관통하여, 위의 태풍에 대한 태종대 감지 자갈해빈의 지형반응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하지만 해운대, 송정, 광안리와 같은 사질해빈과 달리, 감지 자갈해빈은 태풍 내습 시 해안침식에 따른 양빈에 대한 결과보고는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부산 태종대의 감지 자갈해빈을 대상으로 태 풍 내습 전후의 지형과 자갈 입도 조사를 통해, 태풍에 대해 자갈해빈은 어떠한 지형반응을 보이는지를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 내습 이후 해빈은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일반적으로 태풍 내습 시, 평상시 파랑보다 더 강한 파랑에너지를 갖는 폭풍해일이 발생하게 되고, 증가한 파랑에너지는 해빈에 심각한 침식을 일으킨다. 태풍 내습 이후 해빈은 정상상태(fairweather)의 파랑에너지 상태에서 천천히 회복되며, 해 빈의 회복속도는 그 지역의 평균 파랑에너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ng et al., 2006; Houser and Hamilton, 2009; Yu et al.
태종대 감지해빈의 특징은 무엇인가? 태종대 감지해빈은 한반도의 동남쪽 끝 부산시에 위치하며, 해빈의 길이는 약 150 m, 해빈 폭은 30-40 m이다(Fig. 1).
감지해빈의 퇴적물 분포는 수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저조위선 아래는 분급이 불량한 자갈들이 퇴적되어 있으며, 점차 수심이 깊어지며 수심 6.5 m 지점부터는 왕자갈(cobble) 이상의 매우 조립한 퇴적물이 존재한다. 이후 수심 7.4 m에는 모래가 분포하기 시작하며, 드물게 왕자갈 퇴적물이 분포하고 있다. 수심 9 m 지점에는 모래들이 연흔 구조를 보이며 연흔의 골 부분에는 잔자갈(pebble)이 분포하고 있다. 수심 11 m 부터는 다시 왕자갈 이상의 매우 조립한 퇴적물이 분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ustin, M.J., Masselink, G., 2006, Observations of morphological change and sediment transport on a steep gravel beach. Marine Geology, 229, 59-77. 

  2. Ham, G.U., Kim, J.H., Jang, D.J., 2002, An investigationstudy on the erosion at Hak-Dong gravel be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4, 65-75. 

  3. Han, M., 2013, Profile change and sedimentary facies of Ulsan Gang-dong Gravel Beach in South Kore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6 p. 

  4. Han, M., 2018, The study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acking sediment movement in gravel beach, Korean Peninsula. Docto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19 p. 

  5. Houser, C. and Hamilton, S., 2009, Sensitivity of posthurricane beach and dune recovery to event frequenc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34, 613-628. 

  6. Lee, Y.G., Shin, H.O., Lee, J.S., Park, I.H., Choi, J.M., 2005, The change of beach sediment composition and geography by typhoon (Naa beach, East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8, 122-133. 

  7. Lee, Y.Y., Chang, T.S., 2019, Erosion and recovery process in Haeundae beach by the invading typhoon Chaba in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0, 37-45. 

  8. Masselink, G., Hughes, M.G., Knight, J., 2014, Introduction to coastal processes and geomorphology. Second edition. Routledge, New York, 432 p. 

  9. Matthews, E.R., 1980, Observations of beach gravel transport, Wellington Harbour entrance,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Geology and Geophysics, 23, 209-222. 

  1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6, Coastal erosion monitoring survey in 2016. 261 p. 

  11. Morton, R.A., Paine, J.G., Gilbeaut, J.C., 1994, Stages and durations of post-storm beach recovery, southeastern Texas Coast, U.S.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 884-908. 

  12. National Typhoon Center, 2018, Typhoon occurrence statistics (1951-2017). http://typ.kma.go.kr/TYPHOON/statistics/statistics_02_1.jsp (December 23 th 2018) 

  13. Orford, J.D., Forbes, D.L., Jennings, S.C., 2002, Organisational controls, typologies and time scales of paraglacial gravel-dominated coastal systems. Geomorphology, 48, 51-85 

  14. Wang, P., Kirby, J.H., Haber, J.D., Horwitz, M.H., Knorr, P.O., Krock, J.R., 2006, Morph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impacts of hurricane Ivan and immediate poststorm beach recovery along the Northwestern Florida barrierisland coast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2, 1382-1402. 

  15. Yu, F., Switzer, A.D., Lau, A.Y.A., Yeung, H.Y.E., Chik, S.W., Chiu, H.C., Huang, Z., Pile, J., 2013, A comparison of the post-storm recovery of two sandy beaches on Hong Kong Island, southern China. Quaternary international, 304, 163-175. 

  16. Zingg, T., 1935, Beitrag zur Schotteranalyse: Schweiz. Mineral. Petrogr. Mitt. 15, 39-1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