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남해안 고창 해빈의 표층 지형 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Variation on the Gochang Beach, Southwe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6, 2015년, pp.533 - 542  

강솔잎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양우헌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전승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창 해빈은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동호리, 광승리, 명사십리 해빈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은 대조차, 개방형, 직선형 해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해빈에서 표층 지형 변화와 퇴적물 집적률의 연평균과 계절 특성을 연구하였다. 2014년 겨울(2월), 봄(5월), 여름(8월), 가을(11월)과 2015년 겨울(2월)의 5계절 동안, 3개 측선을 따라 총 315개 지점에서 지형 고도를 측정하였다. 해안선에 수직인 각 측선은 30 m 간격의 21 지점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의 2014년 연평균 집적률은 -0.081 m/yr로 침식이 우세하였다. 지역별 연평균 집적률은 동호리 해빈 -0.091 m/yr, 광승리 해빈 -0.051 m/yr, 명사십리 해빈 -0.10 m/yr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chang bea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long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comprising the Donghori, Gwangseungri, and Myeongsasipri beaches from north to south. The Gochang beach is characterized by macro-tide, open-coast, linear shoreline, and sand substrates.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시계열적인 해빈 지형변화를 추적하여 계절별 해빈 단면 변화를 밝히는 연구가 있지만(예, Kim and Jang, 2011; Davis, 2015), 해빈 지형의 연간 변화와 집적률 파악을 위해서는 수년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서해안의 개방형 해빈 환경인 동호리, 광승리, 명사십리의 고창 해빈에서 2014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1년 간 5회 계절별 측량 결과에 근거하여, 고창 해빈 지형의 계절별 변화를 통해 표층 퇴적물의 침식과 퇴적 경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창 해빈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 고창 해빈은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동호리, 광승리, 명사십리 해빈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은 대조차, 개방형, 직선형 해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해빈에서 표층 지형 변화와 퇴적물 집적률의 연평균과 계절 특성을 연구하였다.
고창 해빈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고창 해빈은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동호리, 광승리, 명사십리 해빈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은 대조차, 개방형, 직선형 해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고창 해빈에서 수행된 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2). 대부분 모래 퇴적물로 구성된 고창 현생 해빈은 계절별 표층 퇴적상(So et al., 2009, 2010, 2012)과 층서 발달(KIGAM, 2003; Yang et al., 2006)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계절별 해빈 지형 및 집적률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우리나라 서해안 해빈에 관한 주요 연구는 해빈 퇴적물, 퇴적층, 퇴적환경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 왔고, 조간대 지형 변화에 대한 연구는 해안침식에 의한 해안선 후퇴율과 해안침식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Ch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exander, C.R., DeMaster, D.J., and Nittrouer, C.A., 1991, Sediment accumulation in a modern epicontinental-shelf setting: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98, 51-72. 

  2. Baek, Y.S., Chun, S.S., and Shin, S.J., 2009,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structures and ichofacies in the Doouri open-coast 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 187-208. (in Korean) 

  3. Boak, E.H. and Turner, I.L., 2005, Shoreline definition and detection: a review.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1, 688-703. 

  4. Carter, R.W.G. and Woodroffe, C.D., 1994, Coastal evolution: Late Quaternary shoreline morpho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17 p. 

  5. Chang, J.H., 1995, 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43 p. (in Korean) 

  6. Chang, J.H., Kim, Y.S., and Cho, Y. G., 1999, Tidal-flat sedimentation in a semienclosed bay with erosional shorelines: Hampyong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17-126. (in Korean) 

  7. Cho, J.W., Lim, D.I., and Kim, B.O., 2001, Observation of shoreline change using an aerial photograph in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317-326. (in Korean) 

  8.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Elsevier, Amsterdam, 313 p. 

  9. Davis, R.A. Jr.,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ger, New York, 716 p. 

  10. Davis, R.A. Jr., 2015, Beaches in space and time: a global look at the beach environment and how we use it. Pineapple Press, 168 p. 

  11. Davis, R.A. Jr. and Fitzgerald, D.M., 2004, Beaches and coasts. Blackwell Science Ltd., Malden, 419 p. 

  12. Hobbs, C.H., 2012, The beach book: science of the shore.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5 p. 

  13. Kim, J.S. and Jang, D.H., 2011,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8, 39-51. (in Korean) 

  14.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13, Tidal bench mark. http://sms.khoa.go.kr/koofs/tbm/tbm.asp?tl_id502 (May 10th 2015) 

  1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3, Study on the coastal geology of west coasts and the terrestrial wetlands, I. Study on the coastal geology of west coasts. KR-03(final)-04, 242 p.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4-2015a, Monthly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ystem data.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data_yearly.jsp (May 10th 2015)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4-2015b, Monthly weather report.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data_monthly.jsp (May 10th 2015) 

  18. Korea Ocea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KORDI), 1991, A study on the intertidal zone environment of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III). 162 p. (in Korean) 

  19. Lee, B.J. and Lee, S.Y., 2001, Geological report of the Gochang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47 p. (in Korean) 

  20. Lee, H.J., 2014, A review of sediment dynamical processes in the west coast of Korea, eastern Yellow Sea. Ocean Science Journal, 49, 85-95. 

  21. Lim, D.I., Jung, H.S., Chu, Y.S., Park, K.S., Kang, S.W., and Yang, S.Y., 2002, A study on shoreline change in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I. Seacliff erosion and retreat.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148-156. (in Korean) 

  2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2015, Vertical datum between land and ocean height system. http://www.ngii.go.kr/geoid/lecture/popup/land_sea_system.do (May 10th 2015) 

  23. Pilkey, O.H., Neal, W.J., Kelley, J.T., and Cooper, J.A.G., 2011, The world's beaches: a global guide to the science of the shorelin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83 p. 

  24. Ryu, S.O., 1998,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stratigraphy of Hampyo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92 p. (in Korean) 

  25.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 in a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 481-492. 

  26. Ryu, S.O. and Chang, J.H., 2005, Characteristics of tidal beach and shoreline changes in Chonsu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584-596. (in Korean) 

  27. Ryu, S.O., Chang, J.H., Cho, J.W., and Moon, B.C., 2004, Seasonal variations of sedimentary processes on mesotidal beach in Imja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9, 83-92. (in Korean) 

  28. Ryu, S.O., Kim, J.Y., and Chang, J.H., 2001,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on the tidal flat of Muan bay, southwestern co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30-39. (in Korean) 

  29. Shepard, F.P., 1977, Geological oceanography. Crane, Russak & Company, Inc., New York, 214 p. 

  30. So, K.S., Ryang, W.H., Choi, S.L., and Kwon, Y.K.,, 2012,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497-509. (in Korean) 

  31. So, K.S., Ryang, W.H., Kang, S.I., and Kwon, Y.K., 2010,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Dongho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708-719. (in Korean) 

  32. So, K.S., Ryang, W.H., and Kwon, Y.K., 2009,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yeongsasipri tidal flat, Gochanggun, SW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81-188. (in Korean) 

  33. Yang, B.C. and Chun, S.S., 2001, A Seasonal model of surface sedimentation on the Baeksu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Geosciences Journal, 5, 251-262. 

  34. Yang, B.C., Dalrymple, R.W., and Chun, S.S., 2005, Sedimentation on a wave-dominated, open-coast 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summer tidal flat-winter shoreface. Sedimentology, 52, 235-252. 

  35. Yang, B.C., Dalrymple, R.W., Chun, S.S., and Lee, H. J., 2006, Transgressive sedimentation and stratigraphic evolution of a wave-dominated macrotidal coast, western Korea. Marine Geology, 235, 35-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