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자원 변동과 생식 생태의 변화
Variation in Catch Size and Changes in Reproductive Biology of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Coastal Waters Off Gyeongnam,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1, 2020년, pp.57 - 66  

송세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박종혁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지환성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최정화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김희준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정재묵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김도훈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nual variations in catch size and changes in reproductive biology in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a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astal waters off Gyeongnam, Korea, by coastal trap and coastal compl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의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10여년 전의 과거 연구와 현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포획금지체중과 금어기 설정과 같은 자원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반적인 문어류에 대한 어획실태를 파악하고 2007년에 연구되었던 해역과 동일해역인 경남지역의 사천시와 통영시에서 문어단지와 통발에 의해 채집된 2018년의 참문어의 산란기, 성비, 성숙도, 난소의 조직학적 발달단계, 난경, 포란수 등 전반적인 생식생태 연구를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 10여년 전의 과거 연구와 현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포획금지체중과 금어기 설정과 같은 자원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반적인 문어류에 대한 어획실태를 파악하고 2007년에 연구되었던 해역과 동일해역인 경남지역의 사천시와 통영시에서 문어단지와 통발에 의해 채집된 2018년의 참문어의 산란기, 성비, 성숙도, 난소의 조직학적 발달단계, 난경, 포란수 등 전반적인 생식생태 연구를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 수산자원생물의 지속적인 기초생태학적 연구는 자원 관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이번 논문의 목적은 참문어 어획량의장기적인 변동을 확인하고 생식소의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참문어의 어획량 감소와 성숙체중의 감소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와 동일 지역에서 수행된 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와 비교한 국내 참문어 연구 현황은? 이러한 정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그 생물에 관한 다양한 생태학적 기초연구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 참문어에 대한 국외의 생태학적 연구로는 생물학적 특성(Smale and Buchan, 1981), 먹이생물 조성(Smith, 2003), 생식생태(Silva et al., 2002; Rosa et al., 2004;Rodríguez-Rua et al., 2005) 등으로 매우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참문어를 대상으로 하는 종묘생산기술 연구(Chu and Kim, 1990), 생식생물학적 연구(Kim etal., 2008), 성숙과 산란(Kang et al., 2009)에 관한 연구와 대문어를 대상으로 한 성숙과 산란에 대한 연구(Lee et al., 2014) 외에는 최근의 연구들이 부족한 상황이다.
참문어란 무엇인가? 참문어(Octopus vulgaris)는 문어목(Octopoda) 문어과(Octopodidae)에 속하는 종으로 수심 5-30 m 정도의 암반조하대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는 50 cm 전후의 중형 문어류이다(Hong,2006). 우리나라 전 연안을 포함, 동대서양과 지중해의 열대, 아열대 및 온대 해역의 연안에 분포하며 북서아프리카, 유럽 대서양, 지중해, 일본 등지에서 주요 수산자원으로 이용되며(Mangold, 1997; Guerra, 1997; Hastie et al.
참문어의 분포 지역은? 참문어(Octopus vulgaris)는 문어목(Octopoda) 문어과(Octopodidae)에 속하는 종으로 수심 5-30 m 정도의 암반조하대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는 50 cm 전후의 중형 문어류이다(Hong,2006). 우리나라 전 연안을 포함, 동대서양과 지중해의 열대, 아열대 및 온대 해역의 연안에 분포하며 북서아프리카, 유럽 대서양, 지중해, 일본 등지에서 주요 수산자원으로 이용되며(Mangold, 1997; Guerra, 1997; Hastie et al., 2009), 우리나라 동해에서 주로 어획되는 대문어(Octopus dofleini)와는 구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guado F and Garcia B. 2002. Growth and food intake models in Octopus vulgaris Cuvier (1797): influence of body weight, temperature, sex and diet. Aquat Intl 10, 361-377. https://doi.org/10.1023/A:1023335024053. 

  2. Choi KH and Kwon DH. 2011. Biological properties of common squid in the Yellow Sea of Korea. J Kor Soc Mar Environ Saf 17, 367-373. http://dx.doi.org/10.7837/kosomes.2011.17.4.367. 

  3. Chu C and Kim SG. 1990.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on seedling production of Octopus vulgari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86, 92-97. 

  4. Cushing DH. 1975. Marine ecology and fish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292. 

  5. De Vlaming VL, G Grossman and F Chapman. 1982. On the use of the gonadosomatic index. Comp Biochem Physiol 73A, 31-39. 

  6. Domain F, Jouffre D and Caveriviere A. 2000. Growth of Octopus vulgaris from tagging in Senegalese waters. J Mar Biolog 80, 699705. https://doi.org/10.1017/S0025315400002526. 

  7. Forsythe JW and van Heukelem WF. 1987. Growth. In: Cephalopod life cycles Vol. 2: Comparative Reviews, PR Boyle, ed. Academic Press, London, U.K., 135-156. 

  8. Guerra A. 1997. Octopus vulgaris: review of the world fishery. In: Lang MA, Hochberg FG, ed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the fishery and market potential of octopus in California.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91-97. 

  9. Hastie LC, Pierce GJ, Wang J, Bruno I, Moreno A, Piatkowski and Robin JP. 2009. Cephalopods in the North-eastern Atlantic: species, biogeography, ecology, exploitation and conservation. Oceanogr Mar biol 47, 11-190. https://doi.org/10.1201/9781420094220.ch3. 

  10. Hong SY.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book, Seoul, Korea, 479. 

  11. Iglesias J, Otero JJ, Moxica C, Fuentes L and Sanchez FJ. 2004. The completed life cycle of the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under culture conditions: paralarval rearing using Artemia and zoeae, and first data on juvenile growth up to eight months of age. Aquat Intl 12, 481-487. https://doi.org/10.1023/B:AQUI.0000042142.88449.bc. 

  12. Imamura S. 1990. Larval rearing of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The progres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me problems remaining. Collect Breed 52, 339-343. 

  13. Itami K, Izawa Y, Maeda S and Nakai K. 1963. Notes on the laboratory culture of the Octopus larvae. Nippon Suissan Gakkaishi 29, 514-520. 

  14. Kang HJ, Kim YH, Kim SY, Lee DW, Choi YM, Chang DS and Gwak WS. 2009. Maturity andSpawning Period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 J Malacol 25, 127-133. 

  15. Kim DS and Kim JM. 2006. Sexual matur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Octopus minor. Korean J Fish Aquat Sic 39, 410-418. http://dx.doi.org/10.5657/kfas.2006.39.5.410. 

  16. Kim YH, Kang HJ, Lee EH, Lee DW, Chang DS and Gwak WS. 2008. Reproductive biology of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 J Malacol 24, 161-166. 

  17. Kim YH, Lee SK, Kim HJ, Ju SM and Lee JS. 2017. Sexual group maturity, fecundity and reproductive cycle of Octopus minor (Cephalopoda: Octopodidae). Kor J Malacol 33, 13-20. http://doi.org/10.9710/kjm.2017.33.1.13. 

  18. King MG. 2007. Fisheries biology,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 ed, Blackwell Publication, Oxford, U.K., 382. 

  19. Kovacic M. 2007. Reproductive biology of the striped goby, Gobius vittatus (Gobiidae) in the northern Adriatic Sea. Scientia Mar 71, 145-151. https://doi.org/10.3989/scimar.2007.71n1145. 

  20. Lee CF, KM Liu, WC Su and CC Wu. 2005. Reproductive biology of the common ponyfish Leiognathus equulu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f Taiwan. Fish Sci 71, 551-562.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5.00999.x. 

  21. Lee SI, Yang JH, Lee HW, Kim JB and Cha HK. 2014.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iant Pacific octopus, Octopus dofleini in the coast of Gangwondo, East Sea. J Kor Soc Fish Tech 50, 154-161. http://dx.doi.org/10.3796/KSFT.2014.50.2.154. 

  22. Lee SH, Kim YH and Shin MG. 2017a. Spawning characteristics of Amphioctopus fangsiao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Kor J Malacol 33, 131-136. http://doi.org/10.9710/kjm.2017.33.2.131. 

  23. Lee SH, Shin MG and Kim YH. 2017b. Fisheries biology of Octopus minor in the Deukry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Kor J Malacol 33, 179-183. http://doi.org/10.9710/kjm.2017.33.3.179. 

  24. Lee SH, Song SH, Jeong JM, Choi JH and Kim YH. 2018. Fisheries biology of Octopus minor in the Tando Bay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Kor J Malacol 34, 95-100. http://doi.org/10.9710/kjm.2018.34.2.95. 

  25. Liu KM, Hung KY and Chen CT. 2001. Reproductive biology of the big eye Priacanthus macracanthus in the north-eastern waters off Taiwan. Fish Sci 67, 1008-1014. https://doi.org/10.1046/j.1444-2906.2001.00355.x. 

  26. Mangold K. 1997. Octopus vulgaris: review of the biology. In: Lang MA, Hochberg FG, ed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the fishery and market potential of octopus in California.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85-90. 

  27. Mangold K and von Boletzky S. 1987. Cephalopodes. In: Fiches FAO d'Identification des Especes pour les Besoins de la Peche (Rev. 1) Mediteranee et mer Noire. Zone de Peche 37, W Fischer et al., eds. FAO, Rome, Italy, 633-714. 

  28. Rodriguez-Rua A, Pozuelo I, Prado MA, Gomez MJ and Bruzon MA. 2005. The gametogenic cycle of Octopus vulgaris (Mollusca: Cephalopoda) as observed on the Atlantic coast of Andalusia (South of Spain). Mar Biol 147, 927-933. https://doi.org/10.1007/s00227-005-1621-x. 

  29. Rodriguez C, Carrasco JF, Arronte JC and Rodriguez M. 2006.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Curvier, 1797) juvenile ongrowing in floating cage. Aquaculture 254, 293-300. http://doi.org/10.1016/j.aquaculture.2005.10.053. 

  30. Rosa R, Costa PR and Nunes ML. 2004. Effect of sexual maturation on the tissue biochemical composition of Octopus vulgaris and O. defilippi (Mollusca: Cephalopoda). Mar Biol 145, 563-574. https://doi.org/10.1007/s00227-004-1340-8. 

  31. Sanchez P and Obarti R. 1993. The biology and fishery of Octopus vulgaris caught with clay pots on the Spanish Mediterranean coast. In: Recent advances in fisheries biology, T. Okutani et al., eds.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77-487. 

  32. Silva L, Sobrino I and Ramos F. 2002. Reproductive biology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1797 (Cephalopoda: Octopodidae) in the Gulf of Cadiz (SW Spain). Bull Mar Sci 71, 837-850. 

  33. Smale MJ and Buchan PR. 1981. Biology of Octopus vulgaris off the Coast of South Africa. Mar Biol 65, 1-12. https://doi.org/10.1007/BF00397061. 

  34. Smith CD. 2003. Diet of Octopus vulgaris in False Bay, South Africa. Mar Biol 143, 1127-1133. https://doi.org/10.1007/s00227-003-1144-2. 

  35. Villanueva R. 1995. Experimental rearing and growth of planktonic Octopus vulgaris from hatching to settlement. Can J Fish Aquat Sci 52, 2639-2650. https://doi.org/10.1139/f95-853. 

  36. Wilk SJ, Morse WW and Stehlik LL. 1990. Annual cycles of gonadsomatic indices as indicators of spawning activity for selected species of finfish collected from the New York bight. Fish Bull 88, 775-786. 

  37. Zhang CI. 1991. Fisheries resource ecology. Woosung Publ co.,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