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_2$ 환경에서의 참문어의 급성 독성반응
Acute Toxic Responses of Octopus vulgaris to $CO_2$ Environment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5 no.1 = no.36, 2009년, pp.11 - 15  

이경선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CO_2$) 해양격리처리 방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해양에 처리된 $CO_2$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족류인 참문어 Octopus vulgaris를 대상으로 고농도 $CO_2$ 환경(1, 2, 3%-$CO_2$)에서의 폐사율 및 1%-$CO_2$ 환경에서의 생리학적 반응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참문어는 혈액채취를 위하여 복부대동맥에 케뉴레이션을 행한 후 호흡실에서 회복시켰다. 회복된 개체에 대하여 헤모림프의 산염기 조절인자에 대한 측정을 행하였다. 참문어는 3%-$CO_2$ 환경에서 72시간 안에 100% 폐사하였다. 헤모림프의 pH는 1%-$CO_2$ 노출 30분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실험종료 때까지 회복되지 않았으며, $[HCO_3^-]$$CO_2$ 노출 후 유의하게 증가하여 8시간에 7.8 mM를 나타내었으나 그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헤모림프 이온$([Cl^-],\;[Na^+],\;[K^+])$들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참문어는 방어, 넙치와 같은 경골어류 및 별상어와 같은 판새류보다 $CO_2$에 민감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sal of the $CO_2$ ocean sequestration necessitat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its consequences to aquatic organisms. This paper describes acute toxic responses to high $CO_2$ environment of a cephalopod, Octopus vulgaris. O. vulgaris was chronically cannulated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2; Driedzic, 198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CO2 환경에서 폐사율을 알아보고, 72시간 동안 반복채혈을 행하면서 참문어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급성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두족류인 참문어를 대상으로 CO2 환경에서의 폐사율을 알아보고, 헤모림프를 채취하기 위하여 복부대동맥에 케뉴레이션을 행하고 CO2 노출 후 헤모림프의 PCO2, [HCO3-], pH, [Cl-], [Na+], [K+]의 경시반응을 조사하였다. 참문어는 1%-CO2 농도에서 노출 72시간에 33%의 폐사율을 보여 1%-CO2 농도구에서 폐사가 일어나지 않는 어류보다 CO2에 대한 내성이 약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2 노출에 따른 참문어의 폐사율은? CO2 노출에 따른 참문어의 폐사율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CO2 1% 농도에서 노출개시 72시간에 33%의 폐사율을 나타내었으며, 2% 농도구에서는 노출 72시간에 50%의 폐사율을, 3% 농도구에서는 노출 48시간에 25%, 72시간에 100%의 폐사율을 나타내었다.
경골어류인 방어의 경우 CO2 환경에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CO2 환경에서 나타난 참문어의 반응은 지금까지 보고된 경골어류 및 연골어류와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경골어류인 방어의 경우 폐사가 일어나는 5%-CO2 농도구에서 노출 3시간 안에 pH가 거의 정상수준으로 회복이 되었으며, 넙치는 48시간 안에 pH의 회복을 보였다(Lee et al., 2003; Hayashi et al.
통계처리를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폐사에 의하여 개체수가 감소된 측정치(72시간의 결과 값)에 대해서는 통계처리를 행하지 않았다. 통계처리는 통계처리프로그램 SigmaStat (Jandel corporation, Version 2.0)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齊藤幸一郞(1972), 電解質としての血液. 齊藤幸一郞 (編), 酸鹽基平衡の基礎, 朝倉書店, 東京. pp. 1-20. 

  2. Cameron, J. N.(1986), Acid-base equilibria in invertebrates in Acid-base Regulation in Animals (ed. N. Heisler), New York, Elsevier, pp. 357-394. 

  3. Claiborne, J. B. and N. Heisler(1986), Acid-base regulation and ion transfers in the carp (Cyprinus carpio): pH compensation during graded long- and short-term environmental hypercapnia, and the effect of bicarbonate infusio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126, pp. 41-61. 

  4. Davenport, H. W.(1974), The ABC of acid-base chemistry, 6th ed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pp. 39-41. 

  5. Driedzic, W. R.(1985), Contractile performance of cephalopod hearts under anoxic condi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117, pp. 471-474. 

  6. Hayashi, M., J. Kita and A. Ishimatsu(2004), Acid-base responses to lethal aquatic hypercapnia in three marine fish. Marine Biology, Vol. 144, pp. 153-160. 

  7. Heisler, N.(1986), Acid-base regulation in fishes. in N. Heisler, ed., Acid-Base Regulation in Animals. Elsevier, Amsterdam, pp. 309-356. 

  8. Hogan, E. M., M. A. Cohen and W. F. Boron(1995), $K^{+}\;and\;HCO_{3}^{-}$ dependent acid-base transport in squid giant axons. II. Base influx. Journal of General Physiology, Vol. 106, pp. 845-862. 

  9. Ishimatsu, A. and J. Kita(1999), Effects of environmental hypercapnia on fish. Japanese Journal of Ichthyology, Vol. 46, pp. 1-13. 

  10. Johansen, K., O. Brix and G. Lykkeboe(1982), Blood gas transport in the cephalopod, Sepia officinali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99, pp. 331-338. 

  11. Kita, J. and T. Ohsumi(2004), Perspectives on Biological Research for $CO_2$ Ocean Sequestration. Journal of Oceanography, Vol. 60, pp. 695-703. 

  12. Lee, K. S., J. Kita and A. Ishimatsu(2003), Effects of lethal levels of environmental hypercapnia on cardiovascular and blood-gas status in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Zoological Science, Vol. 20, pp. 417-422. 

  13. Lenfant, C. and K. Johansen(1965), Gas transport by hemocyanin-containing blood of the cephalopod Octopus dofleini.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Vol. 

  14. McKenzie, D. J., E. W. Taylor, A. Z. Dalla Valle and J. F. Steffensen(2002), Tolerance of acute hypercapnic acidosis by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15. Perry, S. F., R. Fritsche, T. M. Hoagland, D. W. Duff and K. R. Olson(1999),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during external hypercapnia in th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02, pp. 2177-2190. 

  16. Prosser, C. L.(1950), Inorganic Ions. in Prosser C. L. and F. A. Brown, Jr. eds., Comparative Animal Physiology Second Edition. W. B. Saunders Company, London, pp. 57-80. 

  17. Slyke Van, D. D., A. Hiller, R. A. Phillips, P. B. Hamilton, V. P. Dole, R. M. Archibald and H. A. Eder(1950),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183, p. 331. 

  18. Toews, D. P., G. F, Holeton and N. Heisler(1983), Regulation of the acid-base status during environmental hypercapnia in the marine teleost fish Conger conger.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107, pp. 9-20. 

  19. Wells, M. J. and J. Wells(1982), The circulatory response to acute hypoxia in octopu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104, pp. 59-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