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전문가그룹 분석: 제품수명주기관리의 관점에서
Analyses of Expert Group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spective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10 no.4, 2020년, pp.89 - 100  

오원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정보학,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김인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축이 되는 것이 스마트 팩토리이다. 스마트 팩토리는 사물인터넷과 지능형 감지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산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최대한 유도하는 체제이다. 스마트 팩토리에서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소비자의 사후 관리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품수명주기관리 기법이다. 제품수명주기 관리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제품수명주기관리 지식영역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분석했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세부 지식영역에 대해서 향후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변화되는 내용을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정성적 자료 분석(Qualitative Data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였다. 전문가의 의견을 기반으로 총 30개의 세부 지식영역으로 구성된 제품수명주기관리에 대해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보완하거나 대비해야 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을 재정립하고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제품수명주기 관리 지식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의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에 대하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을 다시 정의하고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문화, 기술적인 변화 요인을 고려하여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영역, 범위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mart factory is an important axi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factory is a system that induces the maximum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production using the IoT and intelligent sensing systems. The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technique is a method that can actively reflect the c...

주제어

참고문헌 (19)

  1. Amann, K. (2002).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Empowering the Future of Business, CIMData, Inc.? 

  2. Ameri, F. and Dutta, D. (2005).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Closing the Knowledge Loops, Computer-Aided Design and Applications, 2(5), 577-590.? 

  3. Biahmou A., Emmer, C., Pfouga A., Stjepandic J. (2016). Digital Master as an Enabler for Industry 4.0., ISPE TE.? 

  4. Cho, H. S. and Ryu, Y. H., PLM Knowledge, BB Media, 2008. 

  5. CIMdata (1997). The Definition, CIMdata Report.? 

  6. Do, N. (2014). PLM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ife and Power Press. 

  7. Grieves, M. (2005).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Driving the Next Generation of Lean Thinking, McGraw Hill Professional.? 

  8. Grieves, M. (2006). Digital Manufacturing in PLM Environments, CIMdata.? 

  9. Jeon, H. B. (2014). Introduction to PLM,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20(1), 20-26. 

  10. Kim, J. H. (2016).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eking a Strategic Response to Future Social Changes, KISTEP InI. 15(47). 

  11. KPMG (2016). The Factory of the Future, Technical Report.? 

  12. Lee, J. A. & Kim, Y. H. (2014). Industry 4.0 and Creative Economy Strategy for Manufacturing,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echnical Report. 

  13. Oh, W. G. and Kim, I. (2018). The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apability of Smart Manufacturing,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14. Park, H. G. and Kim, Y. H. (2014). Industry 4.0, Germany's Future Manufacturing Blueprint, POSCO Research Institute, POSRI Report. 

  15.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tute (2017). 2016 White Paper of Korea Software Industry. 

  16. Stark, J. (2015).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roduct Lifecycle Management(Volume 1), Springer, 1-29.? 

  17. Stark, J. (2016).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roduct Lifecycle Management(Volume 2), Springer, 1-35.? 

  18. Sudarsan, R., Fenves, S. J, Sriram, R. D., Wang, F. (2005). A Product Information Modeling Framework for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Computer-aided Design, 37(13), 1399-1411.? 

  19. Zancul, E. (2012). PLM Reference Model: A Preliminary Proposal for Reference Model Evolution,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