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청보안의 취약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ats of Wiretapping and Effective Security Management Strategies 원문보기

시큐리티연구 = Korean security journal, v.62, 2020년, pp.347 - 367  

이영호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최경철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우상엽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사회는 지식정보화 되고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측면에서 보면 손쉬운 접근과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통신의 순기능과 함께 도청의 위협이라는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청 위협의 대상은 어느 기관이나 시설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특히 국가안보, 군사·외교정보, 정책 등의 국가 기밀 주요 정보와 첨단 산업핵심 기술, 핵심 R&D 기술, 주요 영업 전략 등의 기업정보와 개인의 사생활 정보 등 불법적인 무선 정보유출로 인한 피해는 해당 영역뿐 아니라 국가적인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아울러 도청장비의 첨단화 추세와 주변국의 도청 능력 신장 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각 기관이나 시설은 도청 위협에 대한 보안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대(對)도청 방지에 대하여 소극적이다. 또한 도청장비의 반입경로 및 은닉장소는 나날이 지능화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對)도청 보안은 여전히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청의 위협으로부터 정보유출을 막기 위하여, 대(對)도청 보안의 취약성을 살펴보고 기술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각종 단행본 및 논문, 신문, 세미나자료 등을 수집하여 문헌연구를 통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對)도청보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향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도청으로 인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각 대상시설 또는 부서를 보안등급화 하고 각 등급에 맞는 도청 방지 및 탐지 장비를 운용하여야 한다. 둘째, 도청보안 등급에 따라 방어 및 탐지 장비를 적용하고, 상시형 도청탐지 시스템은 도청보안 1등급에 적용하여 24시간 감시가 이루어져야 하며 회의실 또는 기타 주요시설에는 휴대형 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시로 탐지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id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oday's society has allowed for easy access and use of data, promoting the process of informationization. Along with the merits of such development, unintended consequences of security risks involving wiretapping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The security threat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청으로 인한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對)도청 보안의 취약성을 살펴보고 기술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도·감청 시스템 및 관련 법규에 대한 선행연구와 더불어 각종 단행본 및 논문, 신문, 인터넷, 세미나 자료 등을 수집하여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연구를 실시하여 문헌연구 하였으며, 대(對) 도청방지 및 탐지에 대한 기술적 접근 방법은 현재 실무에서 활용하고 있는 장비에 대한 자료를 관련업체에 요청·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최근 정보통신기술 발전으로 도청장비 또한 소형화, 첨단화로 보안 위협에 대한 대책이 시급함에도, 주요 기관 또는 시설 등의 대(對)도청 보안대책은 여전히 체계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측면에서의 취약성에 대하여, 특히 도청방지 및 탐지시스템 운용 현황과 도청방지 및 탐지시스템 운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청 위협의 대상은? 그러나 이러한 정보통신의 순기능과 함께 도청의 위협이라는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청 위협의 대상은 어느 기관이나 시설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특히 국가안보, 군사·외교정보, 정책 등의 국가 기밀 주요 정보와 첨단 산업핵심 기술, 핵심 R&D 기술, 주요 영업 전략 등의 기업정보와 개인의 사생활 정보 등 불법적인 무선 정보유출로 인한 피해는 해당 영역뿐 아니라 국가적인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아울러 도청장비의 첨단화 추세와 주변국의 도청 능력 신장 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각 기관이나 시설은 도청 위협에 대한 보안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대(對)도청 방지에 대하여 소극적이다.
정보통신을 이용한 정보의 공유의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정보통신을 이용한 정보의 공유는 인터넷, 이메일, SNS(Social Network System), 스마트폰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통신의 순기능과 함께 해킹이나 악성코드 감염과 같이 부정하게 국가, 기업, 개인의 정보를 빼내거나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등의 침해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사회는 지식정보화 되고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측면에서 보면 손쉬운 접근과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통신의 순기능과 함께 도청의 위협이라는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권오훈, 이명훈, 이재우, 임채호 (2013). 국방망의 지속적인 시실시간 보안관체계. 정보보호학회지, 23(6), 54-66. 

  2. 김성철, 민대홍 (2009). 해외의 통신감청제도 현황 및 시사점.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22-423. 

  3. 김순석, 이용희 (2008). 의사난수발생기를 이용한 새로운 유선전화 도청방지장치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12(6), 1006-1009. 

  4. 김현석, 김일곤, 최진영, 노정현, 유희준 (2005). Diffie-Hellman기반 M-Commerce 프로토콜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A), 226-228. 

  5. 노효선, 정수환, 김영한, 강신각 (2005). 합법적 감청을 위한 표준 아키텍쳐 비교 분석. 대한전자공학회 전자정보통신 학술대회 논문집, 241-244. 

  6. 안정철, 권혁진 (2008). 국방분야 무선 Network 도입을 위한 보안기술 측면의 고려사항. 정보과학회지, 26(11), 128-134. 

  7. 오혁근 (2011).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위한 정보 유출 방지기 디자인 개발. 디자인지식저널, 20, 21-30. 

  8. 윤해성 (2006). 비밀정보 검토에서 바라본 기업보안의 활성화 방안. 치안정책연구, 20, 214-215. 

  9. 이영호 (2015). 도청보안의 국방모델링 연구. 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준복 (2014). 산업스파이 및 M&A에 따른 산업기술유출 대응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경찰학연구, 39, 89-119. 

  11. 좌봉준 (2008). 도청방지.감지 분야 특허 동향. 주간기술동향, 통권1342호. 

  12. 최광복 (2011). 도사이버전 대응을 위한 국방 정보보호환경 분석과 보안관리 모델 연구방향 고찰.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6), 7-15. 

  13. 한국정보통신기술사협회 (2005). 불법감청설비 탐지업 등록제 세부기준에 관한 연구. 

  1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5). 정보통신 표준화 추진체계 분석서. 

  15. Reddy, S. V., Ramani, K. S., et al. (2010). Wireless hacking-a WiFi hack by cracking WEP. 2010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hanghai, 189-193. 

  16.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17. https://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