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교사의 쌓기놀이에 대한 은유 분석
Metaphor Analysis on Block Pla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287 - 295  

이진희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임진형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들의 쌓기놀이에 대한 은유의 경향과 은유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지역 대학의 보수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집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문장 완성형 은유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은유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와 쌓기놀이의 가치에 관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들의 쌓기놀이 은유의 경향은 2개 범주, 9개의 하위내용으로 분류되었다. 범주에서는 '쌓기놀이의 특성', '쌓기놀이의 가치'의 순서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내용에서는 '쌓기놀이의 특성' 중 '구성하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쌓기놀이의 가치' 중 '성장·발달의 근간'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들의 쌓기놀이 은유의 의미는 '쌓기놀이의 특성' 에서 '구성하기', '표현하기', '상상하기', '즐거움', '자유로움'으로 나타났고, '쌓기놀이의 가치' 에서는 '성장·발달의 근간',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창의성발달'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유아 쌓기놀이의 가치와 교사역할이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ndency and meaning of metaphors for block play. For this purpose, responses from 165 teachers in J area day care centers were collected using sentence completion metapho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ategorization process using a qualitativ...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교육분야에서의 놀이관련 은유분석은 유아교사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적 인식[31], 영아교사들의 영아놀이에 대한 은유분석[32], 영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은유 분석[33],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은유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34]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정놀이 유형에 대한 은유는 역할놀이에 대한 은유분석[35] 연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쌓기놀이에 대한 인식을 은유표현을 활용하여 알아봄으로써, 쌓기놀이 관련 교사 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중에서 쌓기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연구는 양적 연구의 방법을 활용한 연구들로, 은유방법을 활용한 인식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쌓기놀이에 관한 은유분석을 통해 교사들의 인식과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쌓기놀 이지도를 위한 교사지원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은유 (metaphor)는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속성을 구체화, 명료화하여 상대에게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 사실, 상태 등을 압축된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28], 유아교육분야에서도 개념 규명을 위한 은유분석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졌다.
  • 은유에는 개인의 인식과 신념이 반영되어 있으므로[30], 교사들의 쌓기놀이에 대한 시각을 점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은유분석법을 활용하여 쌓기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주관적인 인식과 신념체계를 분석 해보고자 한다.
  • 특히 최근 고시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도 유아 중심의 놀이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는 바, 유아의 흥미, 관심, 자유로움 등 놀이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하고, 교육적·발달적 가치가 편중되지 않도록 쌓기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점을 재고하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본 연구에서는 은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쌓기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교사의 역할에 따라 유아의 놀이가 중단 또는 확장, 발전되기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에게 있어 놀이는 어떠한 수단인가? 유아에게 있어 놀이는 삶 그 자체인 동시에 이 세상을 알아가는 도구이며 발달을 도모하는 수단이다. 유아교육에서는 놀이의 본질적인 특성인 긍정적 정서, 비사실성, 내적동기, 자유선택, 과정중심, 내부에서 부여된 규칙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1], 놀이를 중요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하루 일과에서도 놀이 시간을 가장 비중 있게 계획하고 있다[2].
어린이집 교사들의 쌓기놀이에 대한 은유의 경향과 은유의 의미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수집한 자료는 은유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와 쌓기놀이의 가치에 관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들의 쌓기놀이 은유의 경향은 2개 범주, 9개의 하위내용으로 분류되었다. 범주에서는 '쌓기놀이의 특성', '쌓기놀이의 가치'의 순서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내용에서는 '쌓기놀이의 특성' 중 '구성하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쌓기놀이의 가치' 중 '성장·발달의 근간'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들의 쌓기놀이 은유의 의미는 '쌓기놀이의 특성' 에서 '구성하기', '표현하기', '상상하기', '즐거움', '자유로움'으로 나타났고, '쌓기놀이의 가치' 에서는 '성장·발달의 근간',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창의성발달'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유아 쌓기놀이의 가치와 교사역할이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놀이는 특성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놀이는 특성에 따라 역할놀이, 쌓기놀이, 조작놀이, 물・모래놀이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1]. 이중 쌓 기놀이는 놀잇감의 개방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만드는 기쁨과 함께 성취감을 경험하며, 완성된 구성물을 부수는 즐거움, 부수는 활동을 통한 부정적인 정서의 카타르시스를 체험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J. Lee, Third Edition Theory and Practice of Play for Young Children, p.490, Changjisa, 2005. 

  2. J. W. Lee, H. J. Kim, Revised Instructional Metho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385, Palanmaeum, 2013. 

  3. K. S. Lee, S. R. Choi, "A Qualitative Research on Block Play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5, No.5, pp.95-110, 2004. UCI : G704-000080.2004.25.5.006 

  4. E. H. Ju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ve play"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2005. 

  5. E. H. Park, H. J. Kim, N. R. Hong, H. N. Cho,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block play Instruction, p.94, Palanmaeum, 2013. 

  6. Hirsch, E. S, The Block Book.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cation of Young Children. Washingto, D.C. 2003. 

  7. J. E. Johnson, J. F. Christie, T. D. Yawkey,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Inc, 1999. 

  8. K. R. Kim, Influence of Teacher's Intervention on Preschool Children's Spatial Viewing Ability in block play Are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994. 

  9. C. O. Park, N. M. Jung, K. A. Lim, early childhood play Instruction, p.327, Hagmunsa, 2005. 

  10. S. K. Shin, H. J. Kim, Y. P, "The Effect of the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Sociality",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8, No.5, pp.47-66, 2012. UCI : G704-SER000010376.2012.8.5.006 

  11. F. P. Hughes,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3rd ed.), Pearson Education Inc, Allyn & Bacon, 1999. 

  12. J. Y. Kim, "A Qualitative Research of Block Play in Korean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4, pp.147-172, 2002. 

  13. S. Reifel, "Block construction: Children's development landmark in representation of space", Young children, Vol.40, No.1, pp.61-67, 1984. 

  14. H. K. Hong, "Fundamental study of geometric practice block play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ol.12, pp.21-32, 2001. 

  15. W. T. Kim, H. J. J, "Analysis of the Meaning on Young Children's Block Play",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25, No.1, pp.99-121, 2017. DOI : https://doi.org/ 10.18 230 / tjye.2017. 25.1.99 

  16. S. Y. Kim, E. Y. Kim, N. R. H,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tatus for Teaching in Block Area", Journal of Future Childhood Education, Vol.22, No.1, pp. 47-72, 2015. UCI : G704-000819.2015.22.1.005 

  17. Y. C. Choi, "Exploring ways to make block play more effectiv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0, No.4, pp.147-164, 2018. UCI : G704-000666.2015.20.4.005 

  18. B. H. Kim, "Study on differences in teachers' operational realities of block play bas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s developmental stages", The Journal of humanities, Vol.39, pp.149-177, 2015. UCI : G704-SER000011989.2015.39..004 

  19. H. H. Seo, "A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er's Strategy for Sociable Behavior of Children resolving Conflict in Block Pla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7, No.1, pp.99-122, 2013. UCI : G704-002073.2013.17.1.008 

  20. G. J. Yu, M. O. Yang, "In the play area in the stacking play area Analysis on young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nge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 in block area",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0, No.2, pp.241-270, 2015. UCI : G704-000666.2015.20.2.005 

  21. E. J. Sung, Y. H. Hong, "An Ethnographic Study on Block Play of Five Year-Old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5, No.2, pp.125-143, 2001. 

  22. S. Y. Lee, D. H. An, "Effects of Block Play-Centered Creativity Program(BP-CCP)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Skill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Vol.15, No.3, pp.102-127, 2015. UCI : G704-SER000002219.2015.15.3.001 

  23. S. A. Ji, "The Effects of Degree of Structure of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Social Behavior, Language,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7, No.6, pp.5-30, 2013. UCI : G704-000814.2013.17.6.004 

  24. J. Y. Kook, Y. H. Hong, "An Ethnographic Study on Math Activity of Young Children in Block-pla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10, No.2, pp.361-386, 2006. 

  25. M. A. Kim, E. J. Cho,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ers' Block Building Activities and Their Map Reading and Map Representation Abil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Vol.13, No.3, pp.259-281, 2013. UCI : G704-SER000008863.2013.13.3.001 

  26. S. H. Kim, "The Effects of Block Play Using Pre-drawing Pictures, Photographs, and Portfolio on Young Children's Reasoning Ability, Mathematic Ability, and Creativity",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69, pp.191-211, 2011. UCI : G704-000724.2011..69.001 

  27. H. J. Kim, S. W. Lee, "The influence of mathematical process activity utilizing block play on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3, No.4, pp.205-229, 2018. DOI : https://doi.org/10.20437/KOAECE23-4-09 

  28. Y. S. Le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Study on Metaphor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9, No.1, pp. 253-275, 2015. 

  29. H. Korkmarz, & Y. Senol, "Exploring first grad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using metaphors: implications for medical curricular", Medical Education Onlinem, Vol.19, pp.1-7, 2014. 

  30. H. J. Ja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Infant through Metaphor Analysis", Journal of Future Childhood Education, Vol.24, No.1, pp.139-156, 2017. DOI : https://doi.org/10.22155/JFECE.24.1.139.161 

  31. S. H. Kim, J. O. Cho, J. O. Lee, "Metaphorical awareness of "Good Pla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8, No.6, pp.161-190, 2018.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6.007 

  32. H. J. Kim, H. A. Seo, "Metaphorical Analysis of Infant Teachers' Perceptions on -Infant Play Activitie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Vol.18, No.4, pp.229-25, 2017. 

  33. J. U. Baek, Y. J. Kim, "Recognition of play by infant teachers through metaphor analysi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Vol.16, No.3, pp.123-151, 2017. DOI : https://doi.org/10.21183/kjcm.2017.09.16.3.123 

  34. K. J. Cho, H. S. Le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Play through Metaphor Analysis", Institute for Education Research, Vol.28, No.4, pp.337-358, 2012. UCI : G704-002088.2012.28.4.009 

  35. J. H. Lim, J. H. Lee, "Metaphorical Analysis on Role Playing of Day 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24, pp.524-531, 2017. DOI : https://doi.org/10.5762/KAIS.2017.18.2.524 

  36. Shwartz, S. L. & Copeland, S. M. Connecting Emergent Curriculum and Standard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 Strengthening Content and Teaching Practice. E. H. Park, E. S. Shin, H. J. Kim, J. H. Lee. Hakgisa, 2013. 

  37. S. J. Kwak, "A Study on Childrns's Emotional Experiences Shown in Role Playing with Peer",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6, No.1, pp.79-109, 2016. DOI :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1.004 

  38. S. A. Chung, "A study of the role of improvisation in children's pretend play: Based on a case of 'palace play'",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2, No.1, pp.417-443, 2012. DOI : https://doi.org/10.18023/kjece.2012.32.1.018 

  39. M. S. Kim, Y. S. Suh, "The Meaning of Children's Experiences in "real" play",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8, No.3, pp.349-368, 2018. DOI :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3.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