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 고추의 수확, 선별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저감화 방법 모색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rough Monitoring of the Harvesting, Sorting,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Hot Peppe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1, 2020년, pp.60 - 67  

김솔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정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현진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대 ((주)아이엠헬스케어) ,  문효영 (압티지엠제이(주))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미생물 오염 수준과 그 발생원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온도는 냉장 보관 보다 상온 보관일 때 미생물 오염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냉장 보관이 미생물 오염 예방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소형 플라즈마를 이용하였을 때 초기 균 수 대비 5일차에서 일반세균 3.0 log CFU/g 감소, 대장균군, 효모/곰팡이는 불검출로 나타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 없는 경우 5일차에 대장균군이 2.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어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보관 및 유통과정 중의 미생물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발생원인 중 하나인 작업자의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가능한 냉장 유통 방법과 신선 고추의 수확 후 보관 및 유통 중에 소형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다면 고추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 이외에도 다른 신선농산물의 수확, 선별 단계나 유통단계에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 또는 저감화 하는데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hot pepper at harvest, sorting, and distribution stages to suggest a way of reducing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hot peppers by changing work gloves used throughout these processe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the contamin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기업 ㈜아이엠헬스케어에서 판매하고 있는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공기 중 또는 식품 표면에 오염되어 있는 식중독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어 이를 수확 및 유통과정 중 농산물과 포장하였을 때 미생물의 저감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구로 플라즈마를 5일 동안 포장한 고추와 플라즈마와 함께 포장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여 미생물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선별, 유통단계에서 의 미생물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작업 단계 중 신선 고추의 미생물 오염의 저감 및 예방을 위한 관리점 (control point)을 작업자의 장갑과 유통단계의 온도조건으로 선정하여 이를 공정에서의 관리를 통한 미생물 오염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보관 또는 유통단계에 적용하여 신선 고추의 수확, 선별 및 유통단계에서 미생물저감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신선 고추는 대형마트에서 실온과 냉장 조건으로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보관 온도를 달리한 유통환경이 고추의 미생물 오염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수확한 고추에 70% 에탄올 침지 살균한 후 1시간 건조하여 준비하고 농가에서 수집한 고추로부터 일반세균을 증균·배양하여 시료 25 g에 4.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선별, 유통단계에서 의 미생물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작업 단계 중 신선 고추의 미생물 오염의 저감 및 예방을 위한 관리점 (control point)을 작업자의 장갑과 유통단계의 온도조건으로 선정하여 이를 공정에서의 관리를 통한 미생물 오염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보관 또는 유통단계에 적용하여 신선 고추의 수확, 선별 및 유통단계에서 미생물저감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농산물과 같은 야채를 생식하는 식습관이 식중독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유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샐러드 등 여러 종류의 야채를 생식하는 식습관이 늘면서 최근 식중독 원인 식품으로 신선농산물이 빈번하게 지목되고 있다. 신선농산물은 가열하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식중독 원인식품으로 자주 보고되고 있으며, 농산물의 위생 및 안전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재배과정에서의 용수, 토양 및 주변환경과 수확단계에서의 작업자 및 비위생적인 작업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3). 특히 풋고추의 경우 다른 작물보다 상대적으로 재배기간이 길고, 초기 생육기에 강우가 잦으며, 재배기간 동안 온도가 높은 계절을 거치게 되므로 다양한 병해충이나 미생물에 감염될 위험성이 높고4).
신선농산물 중 미생물 오염 저감화 방법중 물리적 처리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신선농산물 중 미생물 오염 저감화 방법은 물리적 처리와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나뉘며, 물리적 처리방법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가스, gamma irradiation, 초고압처리 (high pressure processing, HPP), 초음파 (ultrasound), 플라즈마 등의 기술이 있다7). 이러한 기술들은 살균소독 처리 중 고압이나 살균 등이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고가의 장비가 요구되며, 부적절한 온도 관리로 인한 품질저하, 가스살균 및 조사를 통한 미생물 저감화는 아직 효과가 미비하고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8).
물리적·화학적 미생물 저감화를 신선농산물에 적용하기 힘든 이유는? 화학적 처리방법 중 염소계 살균소독제 (chlorine, hypochlorite 등)는 살균효과가 높으며, 유기산 (lact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tartaric acid 등)은 신선 채소와 과일의 호냉균, 중온균에 강한 살균성이 증명된 바 있다9). 그러나 대부분의 신선농산물은 신선도 유지를 위해 세척하지 않고 출하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어 최근 연구되고 있는 물리적·화학적 미생물 저감화 보다 재배 및 생산 현장의 위생적인 관리를 통한 미생물 오염의 예방 및 저감을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제도를 통해 추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oodsafetykorea, (2019, October 25). Food Poisoning Stat., 2018 food poisoning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 

  2. Kim, S.A., Lee, J.E., Kim, G.U., Kim, S.H., Shim, W.B., Microbial Monitoring and Exploring Ways to Prevent or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Strawberries. J. Food Hyg Saf., 32, 485-492 (2017). 

  3. Kim, J.W., Kim, S.H., Establishment of washing conditions for salad to reduce the microbial hazard. Korean J. Food and Cook. Sci., 21, 703-708 (2005). 

  4. Vos, J. G. M., & Duriat, A. S., Hot pepper (Capsicum spp.) production on Java, Indonesia: toward integrated crop management. Crop protection, 14, 205-213 (1995). 

  5. Woo, H.I., Kim, J.B., Choi, J.H., Kim, E.H., Kim, D.S., Park, K.S., Evalu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company of red pepper powder. J. Food Hyg. Saf., 27, 427-431 (2012). 

  6. Han, J.H., Lee, Y.S., Song, K.H., An Analysis on Consumers' Perceptions about Consumption of Premium Chili Powder. J. Agric. Economy Associ., 60, 67-83 (2019). 

  7. Kim, J. Y., Han, S. J., Whang, L., Lee, J. H., Choi, I. L., & Kang, H. M., Effects of Chlorine Water and Plasma Gas Treatments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Control of Latuca indica L. Baby Leaf Vegetable during MA Storage. Protected Hort. Plant Fac., 28, 197-203 (2019). 

  8. Kim, H. C., Kim, M. R.,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Korean J. Food Culture, 16, 296-309 (2001). 

  9. Ministry of Education, 2016, School Hygiene Management Guidelines 4th, Korea. 

  10. Mj, N., Heo, R. W., Lee, W. G., Kim, K. Y., Chung, D. Y., Kim, J. S.,... & Chung, D. 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J. Agri. Life Sci., 45, 163-173 (2011). 

  11. Kim, S. R.,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hazard for the construction of HACCP in non-pasteurized strawberry juice. Master cours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005). 

  12. Jung, K. S., Roh, E. J., Ryu, K. Y., Kim, W. I., Park, K. H., Lee, D. H., Heu, S. G., Monitoring of pathogenic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 Korean J. Soil Sci. Fertilizer, 45, 560-564 (2012). 

  13. Kim, S. R., Kim, J. B., Lee, H. S., Lee, E. S., Kim, W. I., Ryu, S. H., Ryu, J. G. Effects of Small-scale Post-Harvest Facility and Hygiene Education on the Level of Microbial Safety in Korean Leeks Production. J. Food Hyg. Saf., 30, 249-257 (2015). 

  14. Kim, K. Y., Song, J. E., Heo, R. W., Lee, W. G., Nam, M. J., Kim, J. S., Chung, D. 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azards for cultivation environment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of soybean. J. Agri. Life Sci., 44, 121-132 (2010). 

  15. Sun, S. H., Kim, S. J., Kim, G. C., Kim, H. R., Yoon, K. S.,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roduc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5-503 (2011). 

  16. Yun, H., Park, K., Ryu, K. Y., Kim, B. S., Analyse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tage of tomato and evaluation of microbial growth in tomato extract. J. Food Hyg. Saf., 28, 174-180 (2013). 

  17. Kim, Y., M., Park, S., K., Shin, I., S., Kang, M., G., Lee, J., W., Lee, D., H., Lee, J., H., Jo, D., M., Kang, D., M.,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From Working Gloves Used in the Processing of Shuck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Korean J Fish. Aquat. Sci., 52, 344-348 (2019). 

  18. Jeong B., H., Reduction effect of bacterial populations by education of employee's in restaurant for hygiene and washing method, master degree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008). 

  19. Kim, J. E., Kim I.H., Sea, C.M.,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vegetables and spices using cold plasma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35-74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