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한 딸기의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방지 또는 저감화 방법 모색
Microbial Monitoring and Exploring Ways to Prevent or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Strawberr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6, 2017년, pp.485 - 492  

김솔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정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고운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  김수환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딸기의 미생물 오염 수준을 확인하고 수확 단계에서 사용 된 작업자 장갑을 교체하고 유통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딸기에 대한 미생물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수확 단계에서 일반세균의 오염 수준은 토양 평균 $7.12{\pm}0.61{\log}_{10}CFU/g$, 장갑 평균 $6.06{\pm}1.80{\log}_{10}CFU/g$, 딸기 평균 $3.28{\pm}0.98{\log}_{10}CFU/g$, 용수 평균 $3.08{\pm}0.55{\log}_{10}CFU/g$ 순으로 높았다. 수확 단계의 딸기에서 평균적으로 $3.3{\log}_{10}CFU/g$의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저온 및 상온에서 각각 분포 된 딸기에서 $1.85{\pm}0.21{\log}_{10}CFU/g$$2.6{\pm}0.21{\log}_{10}CFU/g$수준의 일반세균 수가 확인되어 수확단계보다는 감소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자의 장갑 교체 및 냉장 유통 조건에 따라 딸기의 일반세균은 작업자의 장갑을 교체하지 않고 처리 한 딸기와 실온에서 유통 한 딸기의 일반세균 수준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확인되었다. 교체 된 장갑을 재활용하기 위해 시판 소독제 clorox로 세척하는 것과 삶아서 세척하는 것은 사용 후 작업자의 장갑에서 오염 된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인 세척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수확 단계에서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냉장 유통 조건이 딸기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at harvest and distribution stages and to suggest a control measure for reducing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strawberries by replacing worker's gloves used at harvest and distribution stages. According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존가스는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살균효과가 차이를 보이며 딸기에는 그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수확단계와 유통단계에서의 미생물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딸기의 미생물 오염 저감 및 예방을 위한 관리점(control point)으로 작업자의 장갑 교체와 유통단계의 온도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사가 중요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사는 암 및 비만 등의 질병을 감소시키는 것이 널리 보고되고 있어 그 소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1) 이와 관련된 농산물의 위생 및 안전 관리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신선농산물은 재배과정에서의 용수, 토양 및 주변환경과 수확단계에서의 작업자 및 비위생적인 작업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2).
신선농산물은 어떤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사는 암 및 비만 등의 질병을 감소시키는 것이 널리 보고되고 있어 그 소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1) 이와 관련된 농산물의 위생 및 안전 관리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신선농산물은 재배과정에서의 용수, 토양 및 주변환경과 수확단계에서의 작업자 및 비위생적인 작업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2). 미국에서는 cantaloupe, tomato, parsley, alfalfa sprout, scallions, radish sprout, 사과주스, 오렌지 주스 등에서 식중독 균이 검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신선농산물이 원인이 되어 식중독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3-4).
딸기의 미생물 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21{\log}_{10}CFU/g$수준의 일반세균 수가 확인되어 수확단계보다는 감소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자의 장갑 교체 및 냉장 유통 조건에 따라 딸기의 일반세균은 작업자의 장갑을 교체하지 않고 처리 한 딸기와 실온에서 유통 한 딸기의 일반세균 수준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확인되었다. 교체 된 장갑을 재활용하기 위해 시판 소독제 clorox로 세척하는 것과 삶아서 세척하는 것은 사용 후 작업자의 장갑에서 오염 된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인 세척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수확 단계에서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냉장 유통 조건이 딸기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J.S., Shim, W.B., Kim, J.H., Kim, S.R., and Chung D.H.: Sanitary microbial distribution at the tomato farms in western Gyeongnam. Korean J. Environ. Health, 32, 77-88 (2006). 

  2. Kim, J.W., and Kim, S.H.: Establishment of washing conditions for salad to reduce the microbial hazard. Korean J. Food and Cook. Sci., 21, 703-708 (2005). 

  3. Yu, K.M., Newman, C., Archbold, D.D. and Hamilton- Kemp, T.R.: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 H7 on strawberry fruit and reduction of the pathogen population by chemical agents, J. Food Prot., 64, 1334-1340 (2001). 

  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ocedures for the safe and sanitary processing and importing of juice. Fed. Regist., 63, 20450- 20486 (2001). 

  5. Won, J.S., Kim, M.H., Han, G.J., Noh, B.S. and Min. S.C.: Preservation of strawberry juice by dynamic high-pressure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80-485 (2015). 

  6. Shim, W.B., Kim, K.Y., Yoon, Y.H., Kim, J.E., Shim, S.I, Kim, Y.S. and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strawberry farms at the harvest stage to establish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based on principle of HACCP, Korean J. Food Sci. Technol., 45,104-110 (2013). 

  7. Park, S.S., Sung, J.M., Jeong, J.W., Park, K.J. and Lim, J.H.: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40-246 (2012). 

  8. Choi, J.K., Shin, I.S., Kim, D.U., and Kim, H.Y.: Control of microorganisms in school refectories and kitchens using ozone water and ozone ga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586-592 (2015). 

  9. Lee, J.S., Kim, J.G. and Park, S.h.: Effects of chlorine wash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of tah T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Korean J. Hort. Sci. Technol., 27, 625-630 (2009). 

  10. Kim, K.M.: Color changes in fresh-cut fruit and vegetables and its pretreatment processing. J. Korea Soc. Packag. Sci. Technol., 14, 23-29 (2008). 

  11. Kim, D.M.: Extension of freshness of minim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Korea J. Hort. Sci. Technol., 17, 790- 795 (1999). 

  12. Sun, S.H., Kim, S.J., Kim, G.C., Kim, H.R and Yoon, K.S.: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roduc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5- 503 (2011). 

  13. Kim, J.E., Kim, I.H., and Min, S.C.: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vegetables and spices using cold plasma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35-741 (2013) 

  14. Byrene, R.D. JR., and Bishop, J.R.: Evaluation of a dry medium culture plate (3M Petri film AC) for laboratory pasteurized counts. J. Food Prot., 54, 308-309 (1991). 

  15. Schraft H. and Watterworth L.A.: Enumeration of heterotrophs, fec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in water: comparison of 3MTM PetrifilmTM plates with standard plating procedures, J. Micro. Methods, 60, 335-342 (2005). 

  16. Beuchat, L. R., Nail, B. V., Brackett, R.E., and Fox, T. L.: Comparison of the Petrifilm Yeast and Mold culture film method to conventional methods for enumerating Yeasts and Molds in foods. J. Food Prot., 54, 443-447 (1991). 

  17. Kim, S.R.: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hazard for the construction of HACCP in non-pasteurized strawberry juice.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