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성인의 신체적 특성과 기능적 움직임 검사에 대한 융합적 상관관계 분석
Convergence Correlation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Healthy Adul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87 - 93  

김현승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통합의학과) ,  조성현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체적 특성과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의 융합적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정상 성인으로 193명을 대상으로 단일측정하였다. 자료분석SPSS 26.0 Ver 프로그램으로 T-검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검사 방법 중 능동 뻗은 다리 올림 검사와 몸통 안정성 푸쉬업 검사 영역에서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어깨 가동성 검사와 능동 뻗은 다리 올림 검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FMS의 검사에서 체지방률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능동 뻗은 다리 올림에서 여성이 기능적 움직임의 질이 높았으며, 몸통 안정성 푸쉬업에서는 남성이 기능적 움직임의 질이 높았다. 그러므로 남성은 하지의 유연성을 보강해야하며, 여성은 상체 근력과 몸통의 안정성 운동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vergenc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Overall, 193 adults with normal single measurement value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we used the SPSS Ver. 26.0 statistical program to perform...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인바디의 신체적 특성과 기능적 움직임을 병행함으로써 기초적인 움직임으로 신체의 불균형과 기능 장애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정상인 남녀를 대상으로 인바디 측정값과 FMS을 이용하여 기능적 움직임 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부족한 정보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인바디의 신체적 특성과 기능적 움직임을 병행함으로써 기초적인 움직임으로 신체의 불균형과 기능 장애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정상인 남녀를 대상으로 인바디 측정값과 FMS을 이용하여 기능적 움직임 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부족한 정보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FMS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한 7가지의 기능적 움직임 검사 결과와 인바디의 10가지 항목에 대한 측정값에 의한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FMS는 표준화된 동적 움직임으로 평가하는 틀에서 잠재된 손상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는 하나의 측정 도구로써, 밸런스, 유연성, 근력 등을 판단할 수 있다[3,4].
  •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기능적 움직임 검사의 측정방법에 대해 숙지한 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정자 2명으로 하여금 수행하였다. 측정 시 총 3회 동작을 반복하였고, 왼쪽과 오른쪽 기능을 평가하는 테스트는 기능적 움직임 검사의 기본지침을 따라 왼쪽부터 실시하였고, 양쪽 간의 가장 낮은 점수가 최종 점수가 된다[15].
  •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OO 광역시 OO 대학교에 재학 중인 정상 성인 193명(남자 : 82명, 여자 : 1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하기 전에 연구대상자들로부터 인바디와 FMS의 측정에 대한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 후 참가자의 동의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 Table 4에 제시되었으며, 생체전기저항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MS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FMS는 기본적인 운동 능력에 대한 기초 평가로 잠재적인 상해 위험에 대해 예방할 수 있어 특히 운동선수들에게 많이 사용된다[4,5]. 하지만 과체중이나 비만은 기능적 움직임이 제한되어 일상생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 Duncan과 stanley(2012)은 과체중으로 인한 기능 제한 및 과체중의 결과로, 신체활동 및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와 체질량 지수(BMI)의 간의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9].
Trunk stability push up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인바드 요소는? Deep squat, Trunk stability push up은 인바디의 10가지 항목 중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세포내수분, 세포외수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FMS란 무엇인가? FMS는 미국 물리치료사 Cook의 의학적 근거에 의해 가동성, 안정성의 동작을 기반을 두고 동작으로 인한 불균형과 제한 등의 기능적 동작의 결함을 평가하는 7가지 기능적인 움직임 자세를 통한 도구를 이용한 검사 방법이다[4,5]. FMS는 운동선수 트레이너들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현재 유럽에서는 스포츠팀이나 피트니스센터 등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M. Kim, K. W. Koh, Kim. Y. J & Y. H. Shin. (2011). Status of and Challenges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5), 51-60. 

  2. R. Robinson, H. S. Robinson, G. Bjorke & A. Kvale.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palpation technique for identifying the spinous processes of C7 and L5. Manual Therapy, journal of musculoskeletal physiotherapy science and practice, 14(4), 409-414. DOI : 10.1016/j.math.2008.06.002 

  3. G. Cook. (2010). Movement: Functional movement systems: Screening, assessment, corrective strategies. Information the USA : On Target Publication. 

  4. G. Cook, L. Burton, B. J. Hoogenboom & M. Voight. (2006a). Pre-Participation Screening: The Use of Fundamental Movements as an Assessment of Function - Part 1.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2), 62-72. 

  5. G. Cook, L. Burton, B. J. Hoogenboom & M. Voight. (2006b). Pre-participation screening: the use of fundamental movements as an assessment of function - part 2.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3), 132-139. 

  6. P. Lisman, M. Nadelen, E. Hildebrand, K. Leppert & S. d. l. Motte. (2018). Functional movement screen and Y-Balance test scores across levels of American football players. Biology of Sport: a quarterly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sciences, 35(3), 253-260. DOI :10.5114/biolsport.2018.77825 

  7. V. B. Marques, T. M. Medeiros, F. d. S. Stigger, F. Y. Nakamura & B. M. Baroni. (2017).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in elite young soccer players between 14 and 20 years: composite score, individual- test scores and asymme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2(6), 977-985. DOI : 10.26603/ijspt20170977 

  8. D. P. Cliff, A. D. Okely, P. J. Morgan, R. A. Jones, J. R. Steele & L. A. Baur. (2012). Proficiency Deficiency: Mastery of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nd Skill Components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Journal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20(5), 1024-1033. DOI : 10.1038/oby.2011.241 

  9. M. J. Duncan & M. Stanley. (2012). Functional Move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Weight Status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British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7244):697563. DOI : 10.1155/2012/697563 

  10. M. J. Duncan, M. Stanley & S. L. Wright.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functional movement and overweight and obesity in British primary school children. Sports Medicine, Arthroscopy, Rehabilitation, Therapy & Technology, 5(1), 11. DOI : 10.1186/2052-1847-5-11 

  11. H. S. Jang & J. H. Choi. (2007).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of Male Workers in Daegu.Gyeongbuk Reg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3), 318-326. 

  12. H. M. Park. (2017). A Study of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hysical Health Promotion - Focus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2), 393-412. DOI : 10.21509/KJYS.2017.01.24.2.393 

  13. H. C. Jeong. (2007). Impact of Weekend P.E. Activities on the Body Composition of Elementary Schoolers. a Master's degree. Sport Science of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14. J. Y. So. (2015). Reliability Evidences of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for High-School Baseball Players Utilizing Generalizability Theory. a Master's degree. Sports Industry of Kookmin University, Seoul. 

  15. R. Armstrong.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the Beighton score in dancers. The Physician and sports medicine, 3(10), 1-10. DOI : 10.1080/00913847.2019.1624658 

  16. Jacob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F. T. Perry & M. S. Koehle. (2013). Normative data for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middle-aged adult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7(2), 458-462. DOI : 10.1519/JSC.0b013e3182576fa6 

  18. V. R. Edgerton, S. L. Wolf, D. J. Levendowski & R. R. Roy. (2017). Theoretical basis for patterning EMG amplitudes to assess muscle dysfunc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8(6), 774-751. DOI : 10.1097/00005768-199606000-00013 

  19. F. Garcia-Pinillos, L. E. Roche-Seruendo, P. Delgado-Floody, D. Jerez Mayorga & P. A. Latorre-Roman. (2017).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movement and weight status? A study in Spanish school-age children. Nutricion Hospitalaria, 35(4), 805-810. DOI : 10.20960/nh.1670 

  20. H. J. Kang, W. Y. Park & K. O. An (2015). Gender Differences in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20s Adult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7(2), 1-9. DOI : 10.15758/jkak.2015.17.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