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탈모 여성의 헤어 증모술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ddle-aged Hair Loss Women's Hair increased Techniques on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175 - 183  

최묘선 (동덕여자대학교 보건향장학과) ,  장창곡 (동덕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탈모인들은 자신의 이미지 개선과 자신감 극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 탈모를 위해 착용하는 가발에 대한 수요와 인식의 변화는 좋아지고 있으나 가발 자체의 탈모, 탈색, 엉킴 현상이 발생하고 부자연스러운 헤어 스타일링과 가발 착용에 드는 소요 시간 등 불편한 부분들이 있어 이를 개선한 새로운 시술방법으로 헤어 증모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모발에 인모 가닥을 엮어 증모시키는 헤어 증모술을 통해 중년 여성 탈모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자는 중년 탈모여성으로 증모 전, 후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헤어 증모술이 중년 탈모 여성의 경제적 만족도, 신체적 만족도, 정신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헤어 증모술이 중년 탈모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증모 후 만족도와 재시술 의향도 높아 뷰티 시장의 블루오션인 헤어 증모술을 통해 고부가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 in the demand and perception of wigs worn for hair loss is getting better, but hair extension is emerging as a new treatment method that improves as there are inconvenient areas such as hair loss, bleaching, and tangling of wigs themselves, and time spent on unnatural hair styling and we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가발을 보완하는 연구의 일한으로 자신의 모발에 인모 가닥을 엮어 증모시키는 헤어 증모술을 통해 중년 여성 탈모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헤어미용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외적인 아름다움 개선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목적을 둔다.
  • 본 연구는 중년 탈모 여성의 헤어 증모술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헤어 증모술 시술이 외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외적인 아름다움과 정신적인 측면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뷰티 시장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가발을 보완하는 연구의 일한으로 자신의 모발에 인모 가닥을 엮어 증모시키는 헤어 증모술을 통해 중년 여성 탈모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헤어미용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외적인 아름다움 개선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중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 탈모다[3]. 탈모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사회생활 및 대인관계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탈모증은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졌으나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출산 및 다이어트, 스트레스 등으로 여성 탈모인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모발의 평균 수명은 어떠한가? 성장이 완전히 멈춰 모낭과 모유두가 분리되는 휴지기가 2개월에서 3개월가량 나타나고 기존의 모발 탈락과 새로운 모발이 생성되는 발생기 주기를 거친다. 모발의 평균 수명은 여성의 경우 약 4년~6년, 남성의 경우 약 3년~5년으로 나타난다. 이는 모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가 늘 끊임없이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모낭과 연결되어 어느 정도 활동을 계속하다가 일시적으로 모낭과 떨어지면서 활동을 멈추고 또다시 모낭과 연결되어 활동하는 성장과 탈모 사이클을 반복하기 때문이다[8]
자신의 모발에 인모 가닥을 엮어 증모시키는 헤어 증모술을 통해 중년 여성 탈모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결과는? 조사 대상자는 중년 탈모여성으로 증모 전, 후 삶의 질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헤어 증모술이 중년 탈모 여성의 경제적 만족도, 신체적 만족도, 정신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헤어 증모술이 중년 탈모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증모 후 만족도와 재시술 의향도 높아 뷰티 시장의 블루오션인 헤어 증모술을 통해 고부가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M. Lee. (2016). The Effects of Hair Loss on Interpersonal Stress, Depression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2. W. B. Kim, D. E. Park & E. J. Park. (2013). Study of juvenile appearance, hair dy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awareness attitud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Beauty art Society, 7(1), 141-151. 

  3. D. H. Kim. (2011). The influence of social impression form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hair loss on the interpersonal anxiety and state anxiety.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Seoul. 

  4. K. H. Kim & K. Y. Kim. (1999). Hair loss study of aesthetic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5(1), 110-111. 

  5. H. K. Lee & J. S. Lee. (2014). A study fake hair using blue ocean technique hair thickening in beauty treatment industry. Journal of beauty industry. 5(1). 51-60. 

  6. Y. M. Lee. (2019). A Study of Hair Thickening Procedure Techniques Using Hair Fiber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3(2), 01-16. DOI : 10.22649/JBAM.2019.13.2.1 

  7. M. J. Shin & C. S. Yoon. (2017). The Study on The Exploratory for the Hair Increased. Journal of Beauty Industry, 11(2), 99-114. 

  8. V. A. Randall, M. J. Thorton & K. Hamada. (1991). Androgen and the hair follicle : cultured human dermal papilla cell. as a model System. Ann. NY AcadS, (642), 355-375. 

  9. J. W. Hyeon. (2004). A study on the cause of androgenetic alopecia and aprocess of gener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10. H. L. Kong & H. Y. Choi. (2014).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Hair Loss and the Improvement of Hair Damage in Middle-Aged Women. The Korean Beauty Management Society, 2(2), 149-154. 

  11. E. R. Simpson & S. R. Daviss. (2001). Mini review: aromatase and the regulation of estrogen biosynthesis some new perspectives. Oxfordshire county : Endocrine Society, 142(11), 4589-4594. 

  12. E. A. Olsen. (2001). Female pattern hair loss. J.Am. Acad. Dermatol, 45, S70-80. 

  13. H. S. Yoo. (2010). A Study on Wig-wearing, Care Realities, and Recognition in People with Alopeciec Hai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4. Y. M. Lee. (2019). A Study of Hair Thickening Procedure Techniques Using Hair Fiber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3(2), 01-16. DOI : 10.22649/JBAM.2019.13.2.1 

  15. M. J. Shin & C. S. Yoon. (2017). The Study on The Exploratory for the Hair Increased. Journal of Beauty Industry, 11(2), 99-114. 

  16. S. M. Lee. (2016). The Effects of Hair Loss on Interpersonal Stress, Depression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17. E. H. Kim. (1996). Study on Relationship beween Self-Care Agen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who had an oper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M. H. Jang. (2008). The Influence of Wearing Wigs on the Quality of Life the Female Cancer Patients Who Started Losing Hair.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Busan. 

  19. T. M. Burns et al. (2012). Quality of life and measures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orders. Muscle&Nerve, 46(1), 9-12. 

  20. S. A. Park. (2014). A Study on Actual Conditi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Elderly Women with wearing Wig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Food and Drug Chung Ang University, Seoul. 

  21. S. H. Jang. (2013). Use of Customized Wig &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Outward Appearanc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Custom wig.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Seoul. 

  22. H. K. Lee. (2014). A Study of Fake Hair Using Blue Ocean Technique Hair Thickening in Beauty Treatment Industry. Journal of Beauty Industry, 5(1), 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