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RACE 관측 TWSA와 TWSC를 활용한 Noah 지면모형기반 토양수분 평가
Assessment of Noah land surface model-based soil moisture using GRACE-observed TWSA and TWSC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4, 2020년, pp.285 - 291  

전종안 (APEC 기후센터, 기후사업본부 기후분석과) ,  김선태 (APEC 기후센터, 기후사업본부 기후분석과) ,  이우섭 (APEC 기후센터, 기후사업본부 기후분석과) ,  김대하 (APEC 기후센터, 기후사업본부 기후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Noah 3.3 지면모형을 이용하여 표층과 근역층(root-zone)의 토양함수비를 추정하고, 이를 위성기반 및 재분석 토양수분자료와 비교·검증하였다. 먼저, Noah 3.3 지면모형으로부터 추정한 4개 토양층 중 지면에 가까운 3개층(즉, 표층으로부터 1 m 깊이까지) 토양함수비를 이용하여 3개층의 깊이 가중평균값을 근역층 토양 함수비로 정의하였다. 이렇게 Noah 3.3 지면모형으로 추정한 토양함수비를 위성기반 표층 토양 함수비(European Space Agency Climate Change Initiatives Soil Moisture Product v04.4, ESA CCI SM v04.4)와 ERA-interim 재분석 표층 및 근역층 토양함수비와 비교·검증하였다. 또한, 전지구의 주요 5개 유역(Yangtze, Mekong, Mississippi, Murray-Darling, Amazon)에 대해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관측 Total Water Storage Anomaly (TWSA) 와 TWS Change (TWSC)를 이용하여 비교·검증하였다. Noah 3.3 지면모형으로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는 동아시아 지역과 남아시아 지역, 호주, 북미와 남미 등 대부분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높은 아노말리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5개 유역에서 호주의 머레이-달링(Murray-Darling)유역에서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4개 유역에서는 대체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Noah 3.3 지면모형은 준실시간 토양수분 모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가뭄감시가 가능하며, 선제적 가뭄 대응 대책 마련에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ah 3.3 Land Surface Model (LSM) was used to estimate the global soil moisture in this study and these soil moisture datasets were assessed against satellite-based and reanalysis soil moisture products. The Noah 3.3 LSM simulated soil moistures in four soil layers and root-zone soil moistures 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Noah 3.3 지면모형을 이용하여 표층과 근역층(root-zone)의 토양함수비를 추정하고 위성기반 토양수분자료와 재분석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하여 Noah 3.3지면모형으로 추정한 표층과 근역층 토양함수비를 비교․검증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PEC기후센터가 설립이유는? , 2015). 이와 같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협력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APEC기후센터가 설립이 되었다(https://www.apcc21.
전지구의 주요 5개 유역은 무엇인가? 4)와 ERA-interim 재분석 표층 및 근역층 토양함수비와 비교·검증하였다. 또한, 전지구의 주요 5개 유역(Yangtze, Mekong, Mississippi, Murray-Darling, Amazon)에 대해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관측 Total Water Storage Anomaly (TWSA) 와 TWS Change (TWSC)를 이용하여 비교·검증하였다. Noah 3.
표층의 토양수분뿐만 아니라근역층(root-zone) 토양수분이 중요한 이유는? 토양수분은 수문순환의 주요한 성분중의 하나이며, 토양으로부터대기로 되먹임작용에 의해 기후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환경과 기후시스템에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특히, 근역층 토양수분은 식생에 의한 증산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증산량을 제한하는 요소로써, 물과 에너지 순환 모두에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표층의 토양수분뿐만 아니라근역층(root-zone) 토양수분도 매우 중요한데, 표층과 근역층 토양수분 모두 Essential Cliamte Variable (ECV)로 World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https://publi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lsamo, G., Beljaars, A., Scipal, K., Viterbo, P., Van den Hurk, B.J.J.M., Hirschi, M., and Betts, A.K. (2009). "A revised hydrology for the ECMWF model: Verification from field site to terrestrial water storage and impact in the integrated forecast system."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0, No. 3, pp. 623-643. 

  2. Cammalleri, C., Micale, F., and Vogt, J. (2016). "A novel soil moisture-based Drought Severity Index (DSI) comining water deficit magnitude and frequency." Hydrological Processes, Vol. 30, pp. 289-301. 

  3. Csiszar, I., and Gutman, G. (1999). "Mapping global land surface albedo from NOAA AVHR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4, No. D6, pp. 6215-6228. 

  4. Dai, A. (2010). "Drought under global warming: A review."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limate Change, Vol. 2, pp. 45-65. 

  5. Dai, A. (2011).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various forms of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during 1900-2008."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6, D12115. 

  6. Davis, T.W., Prentice, I.C., Stocker, B.D., Thomas, R.T., Whitley, R.J., Wang, H., Evans, B.J., Gallego-Sala, A.V., Sykes, M.T., and Cramer, W. (2017). "Simple processled algorithms for simulating habitats (splash v.1.0): Robust indices of radiation, evapotranspiration and plant-available moisture."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Vol. 10, pp. 689-708. 

  7. de Roo, A.P.J., Wesseling, C., and van Deusen, W. (2000). "Physically based river basin modelling within a GIS: The LISFLOOD model." Hydrological Processes, Vol. 14, pp. 1981-1992. 

  8. Dracup, J.A., Lee, K.S., and Paulson Jr., E.G. (1980). "On the definitions of drough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6 No. 2, pp. 297-302. 

  9. Ek, M.B., Mitchell, K.E., Lin, Y., Rogers, E., Grummann, P., Koren, V., Gayno, G., and Tarpley, J.D. (2003). "Implementation of Noah land surface model advances in the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operational mesoscale Eta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8, p. 8851. 

  10. Gruber, A., Scanlon, T., van der Schalie, R., Wanger, W., and Dorigo, W. (2019). "Evolution of the ESA CCI soil moisture climate data records and their underlying merging methodology." Earth System Science Data, Vol. 11, pp. 717-739. 

  11. Gutman, G., and Ignatov, A. (1997). "The derivation of green vegetation fraction from NOAA/AVHRR data for use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9, No. 8, pp. 1533-1543. 

  12. Heim, R.R.Jr. (2002). "A review of twentieth-century drought indices used in the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3, pp. 1149-1165. 

  13. Kumar, S.V., Peters-Lidard, C.D., Tian, Y., Houser, P.R., Geiger, J., Olden, S., Lighty, L., Eastman, J.L., Doty, B., Dirmeyer, P., Adams, J., Mitchell, K., Wood, E.F., and Sheffield, J. (2006). "Land information system: An interoperable framework for high resolution land surface modeling."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ol. 21, pp. 1402-1415. 

  14. Kuria, D.N., Koike, T., Hui, L., Tsutsui, H., and Graf, T. (2007). "Field-supported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a passive microwave surface emission model for rough, bare, and wet soil surfaces by incorporating shadowing effect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5, No. 5, pp. 1207-1216. 

  15. Landerer, F.W., and Swenson, S.C. (2012). "Accuracy of scaled GRACE terrestrial water storage estim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W04531. 

  16. Long, D., Longuevergne, L., and Scanlon, B.R. (2014). "Uncertainty in evapotranspiration from land surface modeling, remote sensing, and GRACE satellit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0, pp. 1131-1151. 

  17. Miralles, D.G., Holmes, T.R.H., de Jeu, R.A.M., Gash, J.H., Meesters, A.G.C.A., and Dolman, A.J. (2011). "Global land-surface evaporation estimated from satellite-based observation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5, pp. 453-469. 

  18.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GSFC) (2017). Land Information System (LIS) LIS 7.2 Users' Guide, accessed 11 January 2020, . 

  19. Orth, R., and Seneviratne, S.I. (2015). "Introduction of a simple-model-based land surface dataset for Europe."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 Vol. 10, 044012. 

  20. Perkins, S.E., Argueso, D., and White, C.J. (2015).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variability, soil moisture, and Australian heatwav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20, pp. 8144-8164. 

  21. Robinson, D.A., and Kukla, G. (1985). "Maximum surface albedo of seasonally snow-covered lands in the northern hemisphere."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4, No. 5, pp. 402-411. 

  22. Rodell, M., Houser, P.R., Jambor, U., Gottschalck, J., Mitchell, K., Meng, C.-J., Arsenault, K., Cosgrove, B., Radakovich, J., Bosilovich, M., Entin, J.K., Walker, J.P., Lohmann, D., and Toll, D. (2004). "The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5, No. 3, pp. 381-394. 

  23. Tucker, J.J., and Choudhury, B.J. (1987). "Satellite remote sensing of drought condi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23, pp. 243-251. 

  24. Xia, Y., Cosgrove, B.A., Mitchell, K.E., Peters-Lidard, C.D., Ek, M.B., Kumar, S., Mocko, D., and Wei, H. (2016). "Basin-scale assessment of the land surface energy budget in the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operational and research NLDAS-2 system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21, pp. 196-220. 

  25. Zobler, L. (1986). A world soil file for global climate modeling. NASA Technical Memorandum #87802, NASA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N.Y., U.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