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고도 원격탐사 영상 분석을 통한 수륙경계선 추출
Extraction of Waterline Using Low Altitude Remote Sensing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2 pt.2, 2020년, pp.337 - 349  

정다운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이종석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백지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조영헌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저고도 원격탐사 기구인 Helikite를 이용하여 연안지역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획득된 영상에서 4 종류의 영역 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육지와 수괴의 영역을 분할해 낸 후 경계 검출법을 이용해 수륙경계선을 추출하였다. 실측데이터의 부재로 정량적인 비교는 불가능했으나, 수괴와 육지의 구분이 비교적 명확한 적외선(Infrared band) 영역의 영상을 기준으로 각 알고리즘들에 의해 추출된 수륙경계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영상에서 수괴와 육지의 구분이 모호한 부분에서 각각의 알고리즘의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각 알고리즘이 영역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영상의 수치값(Digital number)의 임계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생긴 차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한 수륙경계선의 추출은 향후 연속 모니터링이 가능한 자동 관측시스템과 함께 활용하여 고정지역에서 얻은 수년의 장기간의 데이터를 통해 연안 지역 형태의 급격한 변화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elikite, Low Altitude Remote Sensing (LARS) platform, was used to acquire coastal images. In the obtained image, the land and water masses were divided using four types of region clustering algorithms, and then waterline was extracted using edge detection. Quantitative comparisons w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5), 해당 연구에 사용된 알고리즘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likite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4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륙경계선을 추출한 후, 각 결과들을 취합하여 각각의 알고리즘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적외선 대역 카메라의 경우, 렌즈의 화각이 좁아(가시광선 영역의 약 1/4) 광범위한 영역을 동시에 획득하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넓은 범위의 관측이 가능한 가시광선 대역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확한 수륙경계선을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육안으로 식별에 제한이 있는 가시광선 영상 내의 수륙경계선을 4가지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획득된 영상의 경우 조석 작용으로 인하여 수륙경계선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 영역 분할 알고리즘만으로는 정확한 수륙 경계선의 구분이 힘들 것으로 판단되었다(Ryu and Won, 2002). 따라서 인공지능망(Neural-Network, 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밀한 수륙경계선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인공지능망 알고리즘(이하 NN)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준 입력(input) 데이터를 통하여 반복 학습 후, 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알고리즘이다.
  • 일반적으로 수륙경계선 변화 관측 시 다양한 원격탐사체를 이용하지만, 위성영상의 경우 구름에 의한 결측 자료가 생기고 시간과 공간해상도가 낮으며, 항공기의 경우 기상조건에 제한적이며 비용이 비싸고 운용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어 연안범위의 장기간 모니터링을 진행하기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고도 원격탐사 기구인 Helikite (Hellium+Kite)를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Helikite는 헬륨을 채운 풍선과 기체 하부에 달려 있는 연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원격탐사 기구이며, 풍선과 지상을 연결하는 테더(Tether)를 통하여 일정고도에서 장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에서 수륙경계선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에서 저고도 원격탐사체인 Helikite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4가지의 알고리즘 K-mean, NN, Otsu’s, ACWE)을 이용하여 육지와 수괴를 구분하고 최종적으로 형태학적 영상 처리를 통하여 수륙경계선을 추출하였다.

가설 설정

  • 2. 각 데이터들을 가장 가까운 중심포인트에 할당한다.
  • 3. 모든 데이터들이 군집화 되면, 군집화 된 영역의 K 중심점을 재계산한다.
  • 4. 중심점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반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B. J., Y. K. Lee, and J. K. Choi, 2015. Investigating applicabi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tidal flat zon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461-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n, T. F. and L. A. Vese, 2001. Active contours without edges,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10(2): 266-277. 

  3. Choi, J. K., J. H. Ahn, Y. B. Son, D. J. Hwang, and J. H. Ryu, 2020. Application of GOCI to the Estimates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237-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oneus, M., M. Wieser, G. Verhoeven, W. Karel, M. Fera, and N. Pfeifer, 2016. Automated archiving of archaeological aerial images, Remote Sensing, 8(3): 209. 

  5. Foody, G. M., A. M. Muslim, and P. M. Atkinson, 2005. Super-resolution mapping of the waterline from remotely sense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6(24): 5381-5392. 

  6. Hwang, D. J., B. J. Kim, J. K. Choi, and J. H. Ryu, 2020. Precise topographic change study using multi-platform remote sensing at Gomso bay tidal fla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263-2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eong, S. H., B. K. Khim, B. O. Kim, and S. R. Lee, 2013. Shoreline-change rates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SPOT-5 image, Ocean and Polar Research, 35(1):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o, Y. H., J. Sha, J. I. Kwon, K. Jun, and J. Park, 2015. Mapping bathymetry based on waterlines observed from low altitude Helikite remote sensing platform, Acta Oceanologica Sinica, 34(9): 110-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umar, D. and S. Takewaka, 2019. Automatic Shoreline Position and Intertidal Foreshore Slope Detection from X-Band Radar Images Using Modified Temporal Waterline Method with Corrected Wave Run-Up,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 7(2): 45. 

  10. Kim, E., K. Kim, S. M. Kim, T. Cui, and J. H. Ryu, 2020a. Deep learning based floating macroalgae classification using Gaofen-1 WFV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293-3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K., E. Kim, J. M. Choi, J. Shin, W. Kim, K. J. Lee, Y. B. Son, and J. H. Ryu, 2020b. Simulation approach for the tracing the marine pollution using multi-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249-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K. L. and J. H. Ryu, 2020. Generation of large-scale map of surface sedimentary facies in intertidal zone by using UAV data and object based image analysis (OBI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277-2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 J. Choi, and C. H. Joh, 2015. Method to extract coastline chang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5): 473-4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 W., N. W. Park, D. H. Jang, H. Y. Yoo, and H. Lim, 2012. Surface sediments classification in tidal flats using multivariate kriging and KOMPSAT-2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9(3): 37-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i, W., X. Zhang, F. Ling, and D. Zheng, 2016. Locally adaptive super-resolution waterline mapping with MODIS imagery, Remote Sensing Letters, 7(12): 1121-1130. 

  16. Liu, D. and J. Yu, 2009. Otsu method and K-means, Proc. of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brid Intelligent Systems, Shenyang, China, vol. 1, pp. 344-349. 

  17. Lee, Y. K., J. H. Ryu, J. K. Choi, J. G. Soh, J. A. Eom, and J. S. Won, 2011. A study of decadal sedimentation trend changes by waterline comparisons within the Ganghwa tidal flats initiated by human activiti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7(5): 857-869. 

  18. Milenova, B., 1997. Fuzzy and neural approaches in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19. Otsu, N., 1979. A threshold selection method from gray-level histogram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9(1): 62-66. 

  20. Ryu, J. H., J. S. Won, and K. D. Min,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3): 442-456. 

  21. Ryu, J. H. and J. S. Won, 2002.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s to waterline extraction in tidal flat from optic satellite images, Proc. of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Toronto, Canada, Jun. 24-28, vol. 4, pp. 2026-2028. 

  22. Shin, J., K. Kim, and J. H. Ryu, 2020. Comparative Study on Hyperspectral and Satellite Image for the Estima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n Coastal Area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2): 309-3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u, X., C. Zhan, M. Wu, X. Niu, X. Zhang, Q. Wang, and B. Cui, 2019. An improved method for mapping tidal waterways based on remotely sensed waterlines: A case study in the Yellow River Delta, China, Marine Georesources & Geotechnology, 1-9. 

  24. Yuan, X. C., L. S. Wu, and Q. Peng, 2015. An improved Otsu method using the weighted object variance for defect detection, Applied Surface Science, 349: 472-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