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할해역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환경과학기술연구소
연구책임자 김용환
참여연구자 송태윤 , 김태연 , 김우람 , 김대욱 , 권규택 , 이지윤 , 최상화 , 김성대 , 양희철 , 이문숙 , 박혁민 , 이승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1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등록번호 TRKO201800002338
과제고유번호 1525005039
사업명 해양과학조사및예보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8-03-24
키워드 정보공유체계.관할해역해양자료.해양자료표준화.해양정보관리정책.자료관리정책.Information sharing system.Marine data(Jurisdictional sea area).Ocean data standard.Ocean information Management policy.Ocean data management policy.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2338

초록

O 관할해역 공동활용 체계 구축
• 해양과학조사 DB 수집 대상범위 확대 및 자료수집 체계 구축
• 최신 DB 구축 기술을 활용한 대용량 관리저장체계 구축
• 해양과학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자료의 가공분석 체계 구축
• 사용자 계층별 해양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
O 관할해역 공동활용 기반 연구
• 해양영토관리 통합DB 체계 운영 및 발전방향 연구
• 해양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해양과학조사자료 표준화 및 품질관리기술 개발
• 통합 해양과학정보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제도개선 및 운영방안 도출

Abstract

1. Introduction
1.1. Purpose and Necessity
〇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are
-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arine territory and utilizatio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marine space in the field of ocean policy
- to establish infrastructure for integrate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7
  • Summary ... 17
  • 목차 ... 3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9
  • 제1절 서론 ... 39
  • 1. 연구개발의 목적 ... 39
  • 2. 필요성 및 연구 범위 ... 39
  • 3.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경제적, 산업적 중요성 ... 40
  • 제2절 해양정보 서비스 현황 ... 42
  • 1. 국내 해양정보구축 현황 ... 42
  • 2. 국외 해양자료 운영사례 ... 94
  • 3. 해양정보 서비스 개선방향 ... 167
  • 제2장 발전방향 연구 ... 177
  • 제1절 자료수집/교환 체계 ... 177
  • 1. 국내외 자료수집/교환 사례 분석 ... 177
  • 2. 자료수집/교환 체계 구성(안) ... 194
  • 제2절 자료 분석 및 저장체계 ... 199
  • 1. 자료 분석 및 저장체계 기준 선정 ... 199
  • 2. 해양자료의 특성 및 관리 항목 ... 200
  • 3. Big Data 저장 체계 분석 ... 207
  • 4. 자료 분석 저장체계 구성 방안 ... 266
  • 제3절 해양자료 정보 서비스 사례 분석 ... 271
  • 1. ERDDAP(Environmental Research Divisions Data Access Program) ... 271
  • 2. My Ocean(Ocean Monitoring and Forecasting System) ... 282
  • 제4절 정보 서비스 체계 구성방안 ... 287
  • 1. 표준 프로토콜을 통한 분산형 웹 포털 서비스 체계 구축 ... 287
  • 2. Open Source 기반의 개방형 아키텍처 구성을 통한 시스템간 상호 운용성 증대 ... 289
  • 3. 사용자 중심의 강력한 Publication 제작 도구 지원 ... 290
  • 4. 국제 표준 기반의 풍부한 메타데이터 및 효율적인 검색 수행 기능 제공 ... 291
  • 5.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 ... 292
  • 제5절 해양영토 관련 현안 분석 ... 294
  • 1. 해양경계획정 ... 294
  • 2. 해저자원 개발 ... 304
  • 제6절 해양공간정보 생산 방안 ... 310
  • 1. 해양 자료의 정보화 과정 ... 310
  • 2. 해양공간정보 자료의 획득 ... 315
  • 3. 해양공간정보 자료 분석 ... 326
  • 제7절 해양자료 Big data 분석을 위한 도구 ... 333
  • 1. R 패키지를 이용한 해양자료 Big data 분석 ... 333
  • 2. Big data 관리 및 R 통계분석 연동을 위한 도구 ... 340
  • 제8절 대용량 해양자료 백업 적용 방안 ... 345
  • 1. 해양자료 유형별 백업 방안 제시 ... 345
  • 제9절 자료수집체계 및 정보화 서비스체계 구축 ... 352
  • 1. 개요 ... 352
  • 2. 해양정보 활용 교육컨텐츠 현황 분석 ... 355
  • 3. 한국형 e-Navigation system과 서비스 연계방안 ... 372
  • 4. 해양정보 활용 사용자 설문조사 ... 389
  • 제3장 자료수집 체계 ... 403
  • 제1절 해양관측자료 수집 ... 403
  • 1. 자료수집 개요 ... 403
  • 2. 연구과제 자료 수집 ... 412
  • 3. 국내 공개자료 수집 ... 447
  • 4. 국외 공개자료 수집 ... 476
  • 5. 기타자료 수집 ... 494
  • 6. 자료정리 ... 503
  • 제2절 자료 생산계획서 및 메타 조사 양식표 ... 551
  • 1. 자료생산계획서 ... 551
  • 2. 메타조사양식표 ... 561
  • 제3절 자동수집프로그램 개발 ... 577
  • 1. 자료수집 프레임워크 설계 ... 577
  • 2. 자료수집 프레임워크 개발 ... 580
  • 3. 자동 수집 프로그램 기능 추가 개발 ... 585
  • 제4절 자료사용 권한 및 인용문구 정립 ... 592
  • 1. 사례분석 ... 592
  • 2. 자료 사용 권한 및 인용 문구 정립 ... 597
  • 제4장 관리저장 체계 ... 599
  • 제1절 PostgreSQL DB 관리 ... 599
  • 1. 데이터베이스 서버 환경 ... 599
  • 2. 데이터베이스 구성 ... 601
  • 3. 데이터베이스 개선 ... 700
  • 4. 자료입력 ... 706
  • 5. 백업 및 튜닝 ... 728
  • 제2절 격자형 자료 DB 개발 ... 739
  • 1. DB 구조 ... 739
  • 2. 성능 테스트 ... 745
  • 3. DB 사용 매뉴얼 ... 746
  • 제3절 자료 자동 DB 입력 프레임워크 개발 ... 750
  • 1. 프로그램 기능 설명 ... 750
  • 제4절 대용량 자료 품질관리 기능 구축 ... 756
  • 1. 프로그램 설계 ... 756
  • 2. 프로그램 개발 ... 761
  • 3. 품질관리 수행 결과 ... 766
  • 제5장 가공분석 체계 ... 783
  • 제1절 대용량 자료분석체계 개념 연구 ... 783
  • 1. 대용량자료의 분석체계 개념 연구 ... 783
  • 2. 해양자료 분석기법 조사 ... 784
  • 3. 통계분석 도구 조사 ... 802
  • 4. 해양자료 통계분석 장단점 분석 ... 831
  • 제2절 가공분석 정보생산 및 활용체계 구축 ... 835
  • 1. 해양자료 가공분석 수행 프로그램 개발 ... 835
  • 2. 격자기반 메타정보 검색 프로그램 개발 ... 839
  • 3. 위성, 모델 재분석,기후예측 자료를 활용한 해양정보 생성방안 연구 ... 851
  • 4. 기후 지수(기후 상관도) 분석 시스템 개발 ... 996
  • 제3절 해양지수 생산 및 개선 ... 1010
  • 1. 해양영토 모니터링 및 평가지표 개발 연구 ... 1010
  • 2. 해양조사지수 시범 구죽 ... 1041
  • 3. OHI 개선안 도출 ... 1075
  • 제6장 정보 서비스 체계 ... 1217
  • 제1절 해양정보 서비스 체계 ... 1217
  • 1. 정보 서비스 현황 ... 1217
  • 2. 해양자료 정보 서비스 사례분석 ... 1220
  • 3. 정보 서비스 체계 구성방안 ... 1236
  • 제2절 정보 서비스 체계 개념연구 ... 1243
  • 1. 국제표 준 (S-100) 기반의 메타데이터 관리 및 자료 업로드 서비스 적용 ... 1244
  • 2. 국제 표준 기반의 GIS 정보 제공 서비스 구축 ... 1247
  • 3. 전자해도 기반 Map 제공 서비스 ... 1249
  • 4. 그래프 지도 제작도구 ... 1249
  • 5. 커뮤니티 서비스 ... 1254
  • 6. 부가 서비스 ... 1254
  • 제3절 해양정보 포털 서비스 개발 ... 1256
  • 1. 해양정보 포털 개요 ... 1256
  • 2. 포털 설계 ... 1257
  • 3. 포털 기능 상세설명 ... 1353
  • 4. 시범 서비스 결과 보고 ... 1400
  • 제4절 웹 포털 서비스 고도화 ... 1404
  • 1. 포털 재설계 ... 1405
  • 2. 자료등록 고도화 ... 1410
  • 3. 관측자료 검색 기능 고도화 ... 1416
  • 4. 위성/모델/재분석 표출 고도화 ... 1426
  • 5. 격자기반 검색 기능 고도화 ... 1452
  • 6. DEM 지형 가시화 ... 1461
  • 7. 통계자료 검색기능 개발 ... 1467
  • 제5절 국내기관 대상 외부자료 연계 활용 ... 1478
  • 1. 외부자료 연계 대상 정보 ... 1478
  • 2. Web Service 구현기술 ... 1484
  • 3. 연계자료 가시화 ... 1488
  • 제7장 해양정보유통 기반기술 개발 및 정책 연구 ... 1490
  • 제1절 해양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화 ... 1490
  • 1. 표준화 방법 ... 1490
  • 2. 국내외 해양자료 표준 현황 ... 1496
  • 3. 해양자료 표준화(안) ... 1503
  • 제2절 해양자료 관리를 위한 품질관리기준 수립 ... 1626
  • 1. 해양자료 품질관리기준 수립 ... 1626
  • 2. 국내외 품질관리기준 현황 ... 1631
  • 3. 해양자료 품질관리기준(안) ... 1644
  • 제3절 해양영토 DB 운영 및 업데이트 ... 1737
  • 1. 해양영토 DB 업데이트 ... 1737
  • 2. 통합 DB 시스템 기능개선 및 운영 ... 1745
  • 제4절 통합 해양과학정보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 1756
  • 1. 해양과학정보 구축 및 활용 제도 현황 ... 1756
  • 2. 국외 해양정보 통합 법제도 사례 분석 ... 1762
  • 3. 해양정보 통합 및 활용체계 추진을 위한 제도 개선방향 ... 1809
  • 4. 해양정보 통합 및 활용체계 추진을 위한 법률 및 규정 제정 방향 ... 1815
  • 5. 해양정보기반 해역관리 효율성 제고방안 ... 1841
  • 제5절 해양영토 DB 기반 해양영토 관리방안 ... 1874
  • 1. 영토 DB 해역별 구축 정보평가 ... 1874
  • 2. 영토 DB 기반 해역별 해양경계획정 방향 제시 ... 1879
  • 3. 해양조사 동향에 따른 해양영토 DB 구축 방향 제시 ... 1891
  • 제6절 [부록 1]해양자료 관리를 위한 국내외 표준 분석 보고 서 (2016.11) ... 1893
  • 1. Ocean Data Standards and Best Practices Project ... 1893
  • 2. SeaDataNet ... 1895
  • 3. ISO 19115 ... 1899
  • 4. World Ocean Database ... 1901
  • 5. World Ocean Circulation Experiment ... 1905
  • 6. 미국 NODC MULDARS ... 1908
  • 7. 일본 JODC ... 1921
  • 8. WHOI B CO -DMO ... 1923
  • 9. OBIS ... 1924
  • 10. GBIF ... 1926
  • 11. 미국 NGDC ... 1928
  • 12. 미국 MGDS ... 1932
  • 13. 미국 NCEI netCDF Templates ... 1936
  • 14. 국 립 수산과학원 정선관측자료 ... 1938
  • 15. 한국해 양 과 학 기 술 원 해양자료 DB ... 1939
  • 제7절 [부록 2]해양자료 품질관리기술 분석 보고서 (2016.11) ... 1940
  • 1. 해양물리자료 품질관리기술 현황 ... 1940
  • 2. 해양화학자료 품질관리기술 현황 ... 2006
  • 3. 해 양 생 물 자 료 품 질 관 리 기 술 현 황 ... 2051
  • 4. 해양지질자료 품질관리기술 현황 ... 2080
  • 제8절 [부록 3]해양과학정보구축 ... 2118
  • 1. 해양과학정보 통합구축 국외 사례 ... 2118
  • 2. 국내 제도현황 분석 ... 2153
  • 3. 해양정보 통합 및 공동활용 체계구축을 위한 법제도 연구 방향 ... 2159
  • 제8장 표준작업절차서(SOP) ... 2163
  • 제1절 자료수집체계 ... 2163
  • 1. 자료 수집 계획 ... 2163
  • 2. 자료수집 ... 2166
  • 3. 확인 및 검토 ... 2181
  • 4. 처리 ... 2186
  • 제2절 관리저장체계 ... 2206
  • 1.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개요 ... 2206
  • 2. 데이터베이스 자료입력 ... 2214
  • 3. 웹포털을 통한 자료입력 검증 ... 2230
  • 4.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모니터링 ... 2232
  • 제3절 정보 서비스 체계 ... 2236
  • 1. JOISS 정보서비스 개요 ... 2236
  • 2. JOISS 정보서비스 환경 설치 ... 2240
  • 3. JOISS 정보서비스 관리 업무 ... 2259
  • 4. JOISS 정보서비스 운영 절차 ... 2286
  • 제4절 별첨 ... 2292
  • 1. 자료 생산 계획서 ... 2292
  • 2. 메타조사 양식표 ... 2294
  • 끝페이지 ... 2298

표/그림 (300)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