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한약 부작용 규모 추정
Estimation of Adverse Events Scale relating Herbal Medicine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4 no.1, 2020년, pp.27 - 35  

우연주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study was estimation of adverse events [AEs] scale relating herbal medicine in Korea using Korean Medicine Utilization and Herbal Medicine Consumption Survey (National statistics No. 117087). Methods : Using microdata of Korean Medicine Utilization and Herbal Medicin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한약 부작용 규모를 추정하고 한의약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의 부작용이란? 약물의 부작용(side effect)이란, 약물을 정상적인 용량에 따라 투여할 경우 발생하는 모든 의도되지 않은 효과를 말하며, 약물의 투여·사용 중 발생한 바람직하지 않고 의도되지 아니한 징후, 증상 또는 질병을 이상사례(adverse event, AE)라 하고, 약물을 정상적으로 투여, 사용하여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아니한 반응으로서 해당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를 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이라 한다1. 본 논문에서는 부작용이라는 용어로 통칭하며, 이상사례, 약물이상반응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한약의 부작용 규모를 추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하지만 한약은 일부 제제를 제외하면 시판의약품이 아니기 때문에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에 부작용이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일부 제제 외에는 건강보험 급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할 수 없어 한약의 부작용 규모를 파악하기 쉽지 않다. 일부 한방병원을 중심으로 자체 부작용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고 있으나5, 대표성이 확보되지 않아 우리나라 전체 한약부작용 현황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한약과 양약이 모두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의료환경을 고려해볼 때, 한약의 부작용 규모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의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에서 부작용 관련 조사항목은? 보건복지부의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는 3년 주기로 시행되는 전국단위의 국가승인통계(승인번호 제117087호)로서 한방의료서비스(외래 및 입원) 이용실태와 한방의료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한방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및 이용행태, 만족도 등을 조사 분석하여 한의약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조사항목에 지난 1년간 한방외래/입원 진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부작용 경험 유무와 경험한 부작용의 종류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에 맞춰 표본을 층화추출하여 대표성을 확보하였다6.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한약 부작용 규모를 추정하고 한의약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n Society for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Pharmacoepidemiology 2nd Ed. Seoul: SNU Press; 2012 

  2. Choi D, Choi M, Ko A. Current status of pharmaceutical safety management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827-34 

  3. 식품의약품안전처. 2019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제21호. 2019 

  4.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건강보험 빅데이터로 "약물 부작용 줄이고, 국민안전 올리고!".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D4000 [cited on 2020. 1. 31.] 

  5. 최혁재. 의료기관내 한약부작용 보고현황과 활용방안. 2017년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6. 보건복지부, 한약진흥재단. 2017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이용지침서. 2018 

  7. Lazarou J, Pomeranz BH, Corey PN. Incidence of adverse drug reactions in hospitalized patient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JAMA 1998;279(15):1200-5 

  8. Bourgeois FT, Shannon MW, Valim C et al. Adverse drug events in the outpatient setting: an 11-year national analysis.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10;19(9):901-10 

  9. Pirmohamed M, James S, Meakin S et al. Adverse drug reactions as cause of admission to hospital: prospective analysis of 18,820 patients. BMJ 2004;329(7456):15-9 

  10. Jha AK, Kuperman GJ, Rittenberg E et al. Identifying hospital admissions due to adverse drug events using a computer-based monitor.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1;10(2):113-9 

  11. Ernst FR, Grizzle AJ. Dru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updating the cost-of-illness model. J Am Pharm Assoc 2001;41(2):192-9 

  12. Cho JH, Oh DS, Hong SH, et al. A nationwide study of the incidence rate of herb-induced liver injury in Korea. Archives of Toxicology 2017;91(12):4009-15 

  13. Jeong TY, Park BK, Cho JH,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s, used alone or with conventional medicin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2;143:884-8 

  14. Lee KB, Park Y, Lee S. Characteristics of Toxicity Occurring in Outpatients at Korean Medical Clinics in Korea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16;37(1):135-150 

  15. 의약품의 품목허가.신고.심사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9-26호.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행정규칙/의약품의품목허가.신고.심사규정/(2019-26,20190329) [cited on 2020. 3. 3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